[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

 1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1
 2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2
 3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3
 4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4
 5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5
 6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6
 7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7
 8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8
 9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9
 10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10
 11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11
 12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12
 13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13
 14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 정치와 사회] 명절을 통해 본 북한 민간 사회-일상사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 명절 풍습 조사의 목적

Ⅱ. 본론

1. 북한 정부의 민속 명절 폐지
(1) 민속 명절 폐지의 정치적 배경
(2) 북한 민간 사회의 반응

2. 북한 정부의 민속 명절 부활과 사회주의 명절 제정
(1) 민속 명절 부활 및 사회주의 명절 제정의 정치적 배경
(2) 북한 민간 사회의 반응


Ⅲ. 결론 : 북한 명절 풍습 조사의 함의

본문내용
한편 남한에서의 명절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명절 : ① 해마다 일정하게 지키어 즐기거나 기념하는 때. 우리나라에는 설날, 대보름날, 단옷날, 한가윗날, 동짓날 따위가 있다. ② 국가나 사회적으로 정하여 경축하는 기념일.
(네이버 국어사전)

위의 두 정의를 비교해보면 북한에서의 명절의 정의는 ①과 ④는 우리나라와 비슷하지만 ②, ③의 경우는 북한의 정치적인 요소가 강하게 개입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북한에서의 명절은 사회주의적 명절과 민속명절로 요약된다. 북한의 명절이 전통적인 전통에서 변화해가는 과정은 단기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북한의 사회 형성과 맞물려 오랜 세월에 거쳐 지금의 모습으로 완성되어 온 것이다.







1. 북한 정부의 민속 명절 폐지


(1) 민속 명절 폐지의 정치적 배경


분단 직후 명절을 보내는 문화는 남북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다. 곧이어 발생한 전쟁으로 인하여 인구의 이동 등 전래의 마을공동체적 명절맞이풍습을 이어가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고, 북한의 경우는 아직 지방 곳곳까지 사회주의의 영향력이 퍼지기 이전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격적인 사회주의 건설기로 접어들면서, 특히 농촌생활이 협동농장 중심으로 바뀌면서 농민의 가치관과 생활기반도 바뀌었고 이에 따라 많은 전통명절들이 사라지거나 축소 조정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기반에는 '8월 종파사건' 등 북한 내부의 문제가 있었다. 8월 종파사건은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연안파와 소련파가 공개적으로 김일성을 비판한 사건을 말한다. 하지만 이 계획은 김일성파에 사전에 발각이 되어 결국 비판을 가했던 무리들은 중국으로 망명을 한다. 이에 따른 중국의 개입으로 김일성파의 세력에 위기가 찾아오기도 한다. 하지만 결국은 1958년 3월에 개최된 제 1차 당대표자회를 통해 종파문제의 청산이 선언됨으로써 김일성파의 승리로 마무리 되게 된다. 남근우, [북한의 복종과 저항의 정치], 2008, pp29
이 사건을 계기로 북한의 정치 구도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하는 형태가 완성되어 간다. 정치 계열에서의 등용 또
참고문헌
※ 참고문헌 (단행본)
유영옥, 『현대북한론』, 홍익재, 2007
유영옥, 『유교수의 북한사회』, 홍익재 , 2004
민족 21엮음,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선인, 2004
강복학 外 22인, 『북한 50년』, 연합통신, 1995
주강현, 『북한의 민족생활풍습』, 대동, 1994
『풍습으로 본 북한의 주민생활』, 공보처, 1993
주강현, 『북한민속학사』, 이론과실천, 1991
김호섭 외, 『우리 나라 민속명절』, 근로단체출판사, 1991
김남식 외, 『북한사회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현장문학사, 1989
남근우, 북한의 복종과 저항의 정치, 2008


※ 참고문헌 (신문 및 잡지)
데일리NK 2009년 1월 1일자, ‘北주민 설명절 ‘공동사설 학습’에 바빠‘
데일리NK 2008년 9월 13일자 ‘북 부유층은 추석 때 555원 묘에 묻는다’
『北韓』 2008년 3월호
연합뉴스, 2008년 2월 8일자, ‘北도 설맞이 공연.민속놀이 잇따라’
데일리NK, 2005년 9월 16일자 ‘최덕신 월부, 북한 추석성묘 바꿔놨네’
최척호, '북한의 피서 문화와 추석 명절', 『통일경제』 2001년 9․10월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