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

 1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1
 2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2
 3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3
 4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4
 5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5
 6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6
 7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7
 8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8
 9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9
 10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10
 11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11
 12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12
 13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전통극과 희곡의 역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전통극과 희곡

2. 전통극의 기원

3. 삼국시대의 전통극

4. 고려·조선시대의 전통극

5. 근대 전환기 이후의 극

6. 토론해볼 내용
7. 참고해보면 좋을 자료
본문내용
 전승 자료에 나타난 전통극 ❶탈춤극 >> 탈춤극에 관한 자료로 현재 전해지는 것은 20세기에 채록·정리된 것이지만 탈춤극은 기본 춤사위, 장단이나 사설의 구성 원리 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설에서 지역이나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부분적인 개성을 발전시켰기 때문에 조선 시대에 연행되던 것과 현전 자료는 근본적으로 커다란 차이는 없을 것
 비전문적인 탈춤극
비전문적인 탈춤극이란?
 여러 지방에서 마을 주민들을 중심으로 전승되던 비전문적인 탈춤극
비전문적인 탈춤극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수영야류, 동래야류, 통영오광대, 고성오광대, 하회별신굿탈놀이, 강릉관노가면극, 북청사자놀이
서울과 경기도의 산대놀이
산대놀이는 서울 및 경기도 지방에서 전승되던 탈춤극, 가면은 사실적이며 손질이 많이 가해짐, 춤사위는 섬세한 중부지방의 무용적 전통, 다양한 명절날과 기우제에 연희됨
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 전승 자료로 전해지는 탈춤극은 비전문적인 탈춤극과 전문적이고 상업적인 탈춤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먼저, 비전문적인 탈춤극을 다음과 같은 표를 통하여 살펴보자
황해도 일대의 탈춤극
해서(海西)탈춤이라 부른다, 월남한 예능인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음, 빠른 사위의 깨끼춤을 추는 봉산탈춤형과 느린 사위의 해주탈춤형이 있음, 사각형의 가면이 많음, 봉산탈춤은 해서탈춤형인데 단오날이나 공적 행사에서도 공연되며 아전들에 의해 전승되었다고 짐작됨
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경상남도의 야류와 오광대
경상남도의 낙동광 동쪽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가면극을 야류(野流)라고 부르고, 서쪽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가면극을 오광대라 한다, 야류와 오광대의 가면은 주술적임, 경상남도의 덧배기춤을 근간으로 한 춤사위, 말뚝이 가면, 영노와 비비 가면, 문둥이 가면
 수영야류,
동래야류,
통영오광대,
고성오광대
 경상북도의
하회별신굿탈놀이
경북 안동군 풍천면 하회동의 별신굿,굿의 한 절차로 등장하는 연극, 이 탈놀이의 가면은 한국인의 표정과 골격을 매우 잘 표현함, 각 배역에 따른 등장인물의 개성을 잘 포착함, 한국 나무가면의 걸작, 정월 15일에 열림,
 강원도의
강릉관노가면극
관노들에 의해 연행되던 탈춤극, 각 과장이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특징을 지님, 한국 탈춤극 가운데 유일한 묵극, 단오날에 공연됨

 함경도의
북청사자놀음
함경도 북청군에서 전승되어 온 것, 월남한 놀이꾼들에 의해 보존되고 있음, 정월 15일 밤에 열림, 벽사진경(사귀를 쫓고 경사로운 일을 맞이함)을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