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1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
 2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2
 3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3
 4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4
 5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5
 6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6
 7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7
 8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8
 9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9
 10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0
 11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1
 12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2
 13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3
 14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4
 15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5
 16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6
 17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7
 18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8
 19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19
 20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

시작. 들어가는 마당

1.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과 사상의 정의
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배경
나.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및 특징
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학자
라.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의 비교

2.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관점
가.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관점
↳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의 특징
↳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의 지식관과 교과관
↳ 포스트모더니즘식의 교육방법
나. 참고자료 :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적용이론으로서의 구성주의

3.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사상의 현재로서의 의의
가. 현재로서의 의의
나.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의 한계

4. 교사철학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의의
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어떤 면이 교육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는가?
나. 우리가 교사가 되었을 때 포스트모더니즘 요소를 어떻게 교육현장에 반영할 것 인가?
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자주 거론되는 열린교육, 대안교육, 홈스쿨 등도 결국 포 스트모던 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교육체제 혹은 학교를 위한 실험들이다. 이러한 교육체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은?
라. 참고자료 : 대안학교, 열린교육, 평생교육, 홈스쿨링

본문내용
넷째, 포스트모더니즘에 입각한 교육은 학생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를 수정할 것을 요구한다. 전통적인 교육에서 학생은 지식이나 가치를 주어지는 대로 배워나가고 수용해 나가야 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세계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형성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학생 개개인이 발휘할 수 있는 능동적인 역할과 주체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저해해 왔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의식에 볼 때, 그들이 미성숙자라고 하여 학생들의 목소리를 소외시켜서는 안 되며, 그들도 인간 주체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학생을 백지로 보거나, 미성숙을 이유로 단순히 배움의 대상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그들은 단순히 지식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그것을 재해석하고 재창조하는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존재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에 기초하는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기호, 사유 및 행동 양식 등에 깊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고 이해해야 한다. 나아가 교육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그들이 지닌 비판적 능력과 창의성 그리고 상상력을 충분히 신장, 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의 특징
: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은 교육에 대한 획일적이고 고정적인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고 자 한다. 즉 공교육의 재 개념화를 요청한다. 하지만 교육에 전통적 관점과 견해를 강력히 비판하면서도 대체할 이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한계점) 교육은 체계적으로 논리적인 연구와 논의가 아직은 미비하다는 점이다.(한계점) 아직 정확한 이론으로서 정립이 되지 않아 공교육을 전체적으로 바꾸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여겨지고 대안적으로 몇몇의 시도가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는 학습자 중심, 평생교육 강조, 전인적 교육중시, 구성주의, 수행평가, 가치명료화 접근, 문화기술연구 등이 있다.

▷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의 지식관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생각이 점차 확산되면서 지식의 지위가 변화하였다. 인지적 지식만을 지식으로 인정하는 대사서적 지식관은 포스트모던 사회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서 기술적인 요소, 윤리적인 요소, 미적인 요소가 인지적 요소와 대등한 지식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이들 요소로 이루어진 다양한 지식을 가진 사람만이 포스트 모던사회의 다양한 삶의 양식을 창조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여겨진다. 즉, 계몽주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