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사

 1  [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사-1
 2  [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사-2
 3  [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사-3
 4  [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사-4
 5  [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사-5
 6  [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사-6
 7  [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들어가기 전에

Ⅱ. 본론
1. 식민 치하 한국의 궁핍화 현상과 이에 대한 민족적 저항
2. 식민지 현실을 직시하는 새로운 ‘시’ 형식의 발견 ; 현실과 초월의 의미
3. 한글 소설 문체를 통한 개인과 사회의 발견
1) 염상섭과 최서해 - 식민지 시대의 이해와 표현
2) 김동인과 현진건 -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고뇌
4. 아서구적 일제에 의해 마비된 식민지 지식인의 지성 - 임화

Ⅲ. 끝맺으며
본문내용

Ⅱ-2. 현실과 초월의 의미 ; 식민지 현실을 직시하는 새로운 시 형식의 발견
1920년대 한국 시의 과제는 첫째, 식민지 현실을 직시하면서 둘째, 한국인에게 새로운 비전을 보여줄 새로운 시 형식을 찾는 것이었다. 여기서 새로운 시 형식을 찾는다는 것은 새로운 정형시를 찾는 것과 시를 거의 완전히 해체해 버리는 것의 두 가지를 말하며, 이는 자유시나 그 극단적 형태인 산문시에서 잘 드러난다. 그리고 이 새로운 시형의 탐구라는 과제와 씨름한 대표적인 문인으로는 김소월, 한용운, 이상화를 들 수 있다.
우선 김소월은 새로운 정형시에 많은 관심을 쏟았다. 그리고 4·4조의 창가 리듬에서 벗어나 새로운 리듬을 발견하려 애쓰면서 7·5조를 실험하였다. 그러나 이 7·5조의 리듬은 엄격한 것이 아니라 6․4조 등으로 변형 혹은 재구성이 가능한 형태로서, 이를 통해 그가 7·5조의 운율을 단순한 자수(字數)율 자수율이란 글자 수에 따라 운율을 세는 것을 말하며, 김소월은 이러한 자수율보다는 호흡 기간과 운율의 관계를 더욱 긴밀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ex)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6․4조
산에는 꽃(2글자 분량의 호흡 기간) 피네 / 꽃이 피(2글자 분량의 호흡 기간)네 → 7․5조
로 파악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공식적인 자수 율격을 해체하여 새로운 정형시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그의 완전한 공로이다.
반면, 김소월과 달리 한용운과 이상화는 자유시에 지대한 관심을 쏟았다. 이들의 자유시, 그리고 그것의 한 극단적인 형태로서의 산문시는 이전에 나타났던 주요한의 부정적 산문시와는 다른 것이다. 주요한의 자유시·산문시는 말을 해체하기 위해 반복과 감탄사를 과용하면서 사설시조나 판소리의 리듬에 사로잡혀 있었지만, 한용운·이상화의 경우에는 말을 적절히 절제하면서 시 형식을 해체시켰다. 즉, 직접적인 반복 없이 가능한 한 다른 이미지를 동원하여 대체했던 것이다. 이는 이미 이 두 시인이 언어를 절제할 수 있는 힘을 가졌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시는 하나의 공간을 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이미지들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