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

 1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
 2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2
 3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3
 4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4
 5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5
 6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6
 7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7
 8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8
 9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9
 10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0
 11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1
 12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2
 13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3
 14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4
 15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5
 16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6
 17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7
 18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8
 19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19
 20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본문】其끵三삼百·四·十·씹六·륙
【본문】 其끵三삼百·四·十·씹七·
【본문】其끵三삼百·四·十·씹八·
【본문】其끵三삼百·四·十·씹九: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一·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二·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三삼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四·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五: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六·륙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七·칧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八·
【본문】其끵三삼百·五:十·씹九:
【본문】其끵三삼百·六·륙十·씹
【본문】其끵三삼百·六·륙十·씹一·
【본문】其끵三삼百·六·륙十·씹二·
【본문】其끵三삼百·六·륙十·씹三삼
【본문】其끵三삼百·六·륙十·씹四·
【현대역】
【주해】
【배경설화】
[참고 문헌]
본문내용
[중세국어 자료 강독]
월인천강지곡(중) 346-364

•월인천강지곡(중) 346-364에 해당하는『월인석보』권20은 마하가섭이 석존으로부터 正法 傳持의 임무를 받게 된 인연과 사리불의 滅度에 관한 인연 등 제자들의 이야기와, 孝養에 대한 석존의 설법, 그리고 보시와 효양에 관한 본생담등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 『대방편불보은경(大方便佛報恩經)』이 저경의 중심을 이루고 있고, 그 외에『태자수대나경(太子須大拏經)』·『경덕전등록(景德傳登錄)』·『불조통기(佛祖統紀)』·『전법정종기』등이 편입되어 있다.


【본문】其끵三삼百·四·十·씹六·륙
五:趣·츙ㅣ 如來ㅅ 父:뿡母:실· 菩뽕提똉· 일·우시·니 生生 劫·겁劫·겁·에 孝·心심·이시·니
如來 五:趣·츙ㅅ 父:뿡母:ㅣ실· 恩惠·· ·펴시·니 劫·겁劫·겁 生生·애 慈心심·이시·니

【현대역】
오취(五趣)가 여래(如來)의 부모(父母)이시므로 보리(菩提)를 이루시니, 생생(生生) 겁겁(劫劫)에 효심(孝心)이시니.
여래(如來)가 오취(五趣)의 부모(父母)이시므로 은혜(恩惠)를 펴시니, 겁겁(劫劫) 생생(生生)에 자심(慈心)이시니.

【주해】
• 일우시니 : 이루시니. 일-[成]+우(사동 접미사)+시+니.
• 보리(菩提) : 부처님의 깨달음. 깨달음의 지혜. ① 보디의 음역. 정각(正覺)의 지혜. 불(佛), 연각(緣覺), 성문(聲聞) 등이 각 각 그 능력에 따라 얻은 깨달음의 지혜. 그 중에서도 특히 석가모니의 깨달음을 ‘아뇩다라 삼막 삼보리’라고 하는데, 이는 더할 나위 없는 최상 최고의 깨달음이라는 뜻이다. 불교에서는 보리를 얻는 것은 삶을 완성하는 것이며, 더 이상 태어나지 않고 윤회의 흐름을 끊는 것이며, 일체지(一切智)를 얻어서 열반의 기쁨에 젖는 것이라 한다. [동의어] 각(覺), 지(智), 지(知), 도(道), 불지(佛智).
• 생생(生生) : 태어나는 생애마다. 여기서 생(生)은 ① 여러 가지의 원인과 조건이 모여서 유위법(有爲法)이 생겨나는 것. 현상계의 사물이 생겨나는 것. [동의어] 야다(惹多)
• 겁겁(劫劫) : 돌아오는 겁마다. ‘겁’은 세계가 성립되고 존속하고 파괴되고 공무(空無)가 되는 하나하나의 기간. 지극히 긴 세월. 여기서 겁(劫)은 ① 칼파의 음역. 장시(長時), 대시(大時) 등으로 번역. 통상적인 시간의 단위로 잴 수 없을 만큼 매우 길고 긴 세월을 가리키는 말. [동의어] 갈랍파(羯臘波). [원]겁파(劫波).
• 자심(慈心) : 불쌍히 여기는 마음. ① 자비로운 마음. ② 보살의 10장양심(長養心) 중 하나.

【배경설화】
• 저경 :『대방편불보은경(大方便佛報恩經)』권제1 서품(序品) 제1 효양품(孝養品) 제2
• 내용 :불제자 아난이 와사성에 들어가 탁발하다가 가난한 바라문의 아들이 부모를 정성으로 효양함을 보고 찬탄했는데, 6(師) 외도(外道)의 무리가 부처는 태어난 지 7일 만에 어머니를 돌아가게 한 불효자라고 비난하여, 아난이 돌아와 부처님께 불법에 효양함이 있는가 물은 데 대하여, 부처님이 『대방편불보은경(大方便佛報恩經)』을 설하기 전의 풍경.

• 월인석보 그 때 여래께서는 대중들에게 에워싸여 공양하고 공경하며 존중과 찬탄을 받았는데, 그 때에 아난이 부처님의 위신력(威神力)을 이어받아 아침에 왕사성에 들어가서 차례대로 걸식하였다.
그 때 성(城) 안에 어느 한 바라문의 아들이 부모에게 효도로써 봉양하다가 그 집이 망하고 살림살이가 없어졌으므로 늙은 어머니를 업고 또한 차례대로 걸식하면서 만약 좋은 음식과 향기롭고 맛있는 과일을 얻으면 어머니에게 받들어 올렸고 만약 나쁜 음식이나 시든 채소와 마른 과일을 얻으면 자신이 먹었다.
아난이 이를 보고 마음으로 기뻐하며 이 사람을 게송으로 찬탄하였다.

장하고 장하도다
선남자야!
부모를 봉양함이
기특하여 미치기 어렵구나.

어느 한 범지(梵志)3)는 바로 6사(師)4)의 무리로서, 그 사람이 총명하고 말을 잘하며, 네 가지 베다[圍陀典]와 역수(歷數)ㆍ계산과 점상(占相)의 길흉이며 음양의 변화를 모두 통달하였고, 사람의 마음을 미리 알며, 또한 대중에게 교의를 제창하여 인도하는 스승이었는지라 많은 사람이 우러러 받들었으나, 삿된 이론에 집착하였고 이끗[利養]을 위하여 바른 법을 해쳐 없앴으며, 마음에 시새움을 지녀 부처님ㆍ가르침ㆍ승가를 헐뜯었다.
그가 아난에게 말하였다.
“그대의 스승 구담(瞿曇)은 모든 석가종족의 아들로 스스로가 착하고 좋으며 큰 공덕이 있다고 말하지만, 오직 공연한 이름뿐이요 진실한 행이 없소.
그대의 스승 구담이야말로 실로 악인입니다. 낳자마자 7일 만에 그 어머니가 목숨을 마쳤으니, 어찌 악인이 아니겠소.
궁성을 넘어 나갔으므로, 부왕은 괴로워하며 정신 이상이 되어서 기절하여 땅에 넘어진 것을 얼굴에 물을 뿌려 7일 만에야 깨어날 수 있었는데, ‘어찌 하여 오늘 나의 아들을 잃어버렸느냐’라고 소리 높여 크게 울고 슬피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기를, ‘나라는 바로 너의 소유다. 나는 아들이 너 하나뿐이었는데 어찌하여 나를 버리고 깊은 산에 들어간단 말이냐’라고 하였다.
그대의 스승 구담은 은혜를 모르는 지라 돌이켜 살피려 하지 않고 마침내 떠나갔으니, 그러므로 마땅히 이는 불효한 사람인 줄 알아야 하오.
부왕은 그를 위하여 궁전을 세웠고 구이(瞿夷)에게 장가들었는데도 부부의 예를 행하지 아니하여 그를 몹시 걱정하게 하였으니, 그러므로 은혜가 없는 사람인 줄 알아야 하리다.”
아난은 이 말을 듣고서 마음에 부끄러워하며 걸식을 마치고 돌아와서 부처님 계신 곳에 나아가 땅에 엎드려 발에 예를 올리고 물러나 한 편에 서서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의 법 중에는 부모에게 효도로써 봉양함이 있습니까?”




3) 바라문의 생활 가운데 4기(期)가 있는데, 이것은 제1기로 스승에게 가서 수학하는 동안을 말한다. 8~16세, 혹은 11~22세 까지로 이 기간에는 스승에게 가서 수행에 기본이 되는 것들을 배운다.
4) 외도(外道)의 무리들을 말한다.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누가 너에게 이런 질문을 하게 하더냐.
천신들이냐, 사람이냐, 사람 아닌 것이냐, 아니면 네 자신의 지혜의 힘으로 여래에게 묻는 것이냐?”
아난이 말하였다.
“여러 하늘ㆍ용ㆍ귀신과 사람이며 사람 아닌 것이 와서 시킨 것은 없습다. 아까 걸식하다가 길에서 6사의 무리인 살차니건(薩遮尼乾)을 만나 헐뜯음과 욕설을 당하였습니다.”
아난이 앞에서 있었던 일을 여래에게 말하였다.
그 때 세존께서 기쁜 듯이 빙그레 웃으시며 그 입[面門]5)으로부터 다섯 빛깔의 광명을 놓으시니, 동방으로 한량없는 백천 만억 부처님 국토를 지나갔다.
거기에 한 세계가 있었으니 이름이 상승(上勝)이요, 그 부처님의 명호는 희왕(喜王) 여래(如來)ㆍ응공(應供:공양 받을 만한 이)ㆍ정변지(正遍知:다 옳게 깨달은 이)ㆍ명행족(明行足:지혜와 행을 갖춘 이)ㆍ선서(善逝:잘 간 이)ㆍ세간해(世間解:세상을 아는 이)ㆍ무상사(無上士:위없는 선비)ㆍ조어장부(調御丈夫:다루기 장부)ㆍ천인사(天人師:하늘과 사람의 스승)ㆍ불 세존이시며, 나라의 이름은 엄성(嚴盛)이었다.
그 국토는 편편해서 유리(琉璃)가 땅이었고, 황금의 줄로써 길 옆 경계를 쳤으며, 칠보로 된 나무가 줄 지어 섰는데 그 나무는 모두 높이가 한 화살길[箭道]이며 꽃과 열매와 가지와 잎이 차례로 장엄되어 살살 부는 바람에도 움직여서 미묘한 음성을 내었으므로 중생들이 듣기를 좋아하며 싫증낼 줄 몰랐다.
곳곳에 모두 흐르는 샘과 목욕하는 못이 있었는데 그 못은 깨끗하여 금모래가 깔려있고 여덟 가지 공덕의 물[八功德水]6)이 그 속에 가득 찼으며, 그




5) 면문에 대해서는 입, 이마, 인중이라는 세 가지 주장이 있다.
6) 맑고(澄淨)ㆍ시원하고(淸冷)ㆍ달고(甘美)ㆍ부드럽고(輕輭)ㆍ윤택하고(潤澤)ㆍ편안하고(安和)ㆍ갈증을 해소하고(除饑渴)ㆍ모든 근을 기르고(長養諸根)하는 등의 여덟 가지이다.



못의 사방 변두리에는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인 파두마화(波頭摩花)와 분다리
참고문헌
강순애(2001), 『월인석보』권20, 아세아 문화사. pp1-128
허웅(1975),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유창돈(1964/2005), 이조어사전, 연세대학교출판부.
김기종(2006),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영배(2004), 『역주 월인석보』권 2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p1-42.
남광우(1997), 교학 고어사전, 교학사
안병희․이광호(1990),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정우영((2002), ‘월인석보 권20의 어휘연구’, 「국어학」131, 국어국문학회. pp219-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