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

 1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
 2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2
 3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3
 4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4
 5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5
 6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6
 7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7
 8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8
 9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9
 10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0
 11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1
 12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2
 13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3
 14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4
 15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5
 16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6
 17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7
 18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8
 19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19
 20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영학] 서울시 동생행복 프로젝트 액션러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액션러닝의 개념
2. 액션러닝의 모델과 방법
(1) 모델
(2) 방법론
(2.1) 과학적 접근방법
(2.2) 경험적 접근방법
(2.3) 비판 성찰적 접근방법
(2.5) 암묵적 접근방법

Ⅱ. 본론
1. 프로젝트의 배경 및 목적
2.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
3. 액션러닝의 모델 및 방법 적용
(1) 적용원칙
(2) 분석영역
(3) 행위절차-
(3.1) Finding out
구조적 문제의 파악
비구조적 문제의 파악
① 멘티(학생)과 학교와의 의사소통 문제
② 학교의 교직원 간의 의사소통 문제
③ 서울시자원봉사센터와 서울시교육청과의 의사소통 문제
④ 서울시청과 서울시교육청과의 의사소통 문제
(3.2) Rich picture)
(3.3) Root definitions
(3.4) Conceptual models
(3.5) Acting

Ⅲ. 결론
1. Acting의 결과
2. 느낀점

본문내용
비구조적인 문제의 파악

SSM에 따르면 조직의 생존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의사가 구성원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나타나는 개방적이고 참여적인 조직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를 동행프로젝트에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동행프로젝트의 목적은 학습 격차를 해소와 가정의 사교육비를 절감을 도모하고 초, 중, 고교생들의 교육 및 예체능 활동에 대한 수요를 충족함에 있다. 따라서 동행프로젝트가 계속적으로 생존하기 위해서는 그 목적에 따라 지속적으로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동행프로젝트 내의 각 조직이나 조직 내 구성원들의 개방적이고 참여적인 활동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당사자들 간의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 조는 동행프로젝트 내 각 조직 구성원들과의 인터뷰 및 통계자료를 통해 동행프로젝트의 공통적이고 중요한 문제가 조직 구성원 간 의사소통에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트프 시스템 사고의 핵심적인 원칙에 위배되는 것으로 액션러닝의 모델로 SSM을 선정한
우리 조에 있어서 유의 있는 사안이기에 동행프로젝트의 비구조적인 문제로 의사소통 문제를 채택하였다. 인터뷰와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우리가 밝힌 유의적인 의사소통 문제는 다음과 같고 인터뷰 전문은 첨부자료에 첨부하였다.

① 멘티(학생)과 학교와의 의사소통 문제(첨부자료 1, 2, 3 참조)
우리 조는 멘티와 학교와의 의사소통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멘티, 동행 담당 교사, 교감과의 인터뷰를 시도하여 각자의 입장에서 그 문제점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먼저 우리 조원(멘토)와 멘티와의 인터뷰를 통해 멘티의 의견이 학교에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멘티는 현재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2:1 튜터링을 1:1 튜터링으로 전환해 줄 것을 학교에 건의했으나 기각 당한 것에 대하여 불만을 표출했다.
그리고 동행 담담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서는 동행 담당 교사가 동행 프로젝트의 목적과 현실과의 괴리를 인지하고, 그에 대한 원인(성취동기부여와 정서적 지지의 무경험)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행에 옮기지 않은 점은 학교와 멘티 사이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왜냐하면 멘티를 동기부여하고 정서적 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멘티와 동행 담당 교사 간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인데, 이러한 행위를 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교감과의 인터뷰를 통해선 동행 프로젝트 운영에 멘티의 의견이 거의 반영되지 않음을 시인할 정도로 멘티와 학교 간의 의사소통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접적인 인터뷰는 아니지만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멘티와 학교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다음의 표는 프로그램 분야별 멘토 배치 현황을 나타낸다.

2010년 1학기
구분 일감 수(개) 배치인원(명)
계 2,630 4,959
교과목학습지도 1,669 3,347
도서관활동지원 401 616
초등학교보육교실 297 514
특기적성 212 309
체험학습지원 51 173

위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멘토의 활동이 교과목학습지도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어 문제점이 예상된다. 교과목학습지도, 도서관활동지원, 보육교실 지원, 특기적성지도 그리고 체험학습지원이라는 5가지 프로그램 중 각 학교가 운영할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멘티들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멘티는 customer(수혜자)인 동시에 조직의 내부 구성원이므로 이들의 의견이 학교가 운영할 프로그램의 선정 여부에 적절히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입시위주의 교육과정에 지친 멘티들이 예체능 교육 지원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는데, 특기적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 및 멘토 배치인원이 지나치게 적은 것을 보면 멘티들의 의견이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은 것을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② 학교의 교직원 간의 의사소통 문제(첨부자료 3 참조)
학교의 교직원 간의 의사소통 문제도 교감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교감은 학교의 대내적 활동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지위에 있으므로 동행 프로젝트에 대하여 어느 정도 지식이 있어야 학교의 동행 프로젝트도 적절하게 운영될 수 있다.
하지만 교감과의 인터뷰를 통해 교감은 현재 동행 프로젝트의 문제점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고,
예산 관리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다. 이는 동행 담당 교사와 교감 간의 의사소통이 적절하게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이다.

③ 서울시자원봉사센터와 서울시교육청과의 의사소통 문제(첨부자료 4 참조)
동행프로젝트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는 곳이 서울시자원봉사센터이므로 이 조직과 그 조직의 상급기관인 서울시교육청과의 의사소통 문제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서울시자원봉사센터의 간사와의 인터뷰에서도 들어났듯이 예산 부족의 문제를 절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상급기관에 예산 증액의 요구를 하려고 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부족한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대안으로 생각하는 태도로 볼 때 수직적인 측면에서 의사소통이 적절하게 이루어 지기 힘든 조직문화가 서울시교육청과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사이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예산은 국민의 세금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므로 공무원은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의무를 가진다. 따라서 만약 충분한 예산이 할당됐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자원봉사센터 내부의 비효율로 인하여 필요한 업무에 투입할 자금이 적은 것이라면 이는 서울시자원봉사센터 내부의 의사소통 문제로도 볼 수도 있고, 서울시교육청은 서울시자원봉사센터를 적절하게 감독하지 못한 것이므로 역시 두 조직 간의 의사소통 문제로 볼 수 있다.

④ 서울시청과 서울시교육청과의 의사소통 문제(첨부자료 5 참조)
동행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조직인 서울시청과 서울시교육청 사이에 유의적인 의사소통 문제가 있다면 동행프로젝트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 조는 이러한 문제점을 발견하기 위하여 서울시교육청의 직원과 인터뷰를 하였다.
먼저 서울시교육청과의 인터뷰를 시도하였는데 담당 직원이 바쁜 스케쥴을 이유로 이유로 대면 인터뷰를 거절하여 전화 상으로 짧게 인터뷰를 할 수 밖에 없었다. 현재 동행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서울시청에서는 예산을 수립하고 서울시교육청에서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