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

 1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1
 2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2
 3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3
 4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4
 5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5
 6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6
 7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7
 8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8
 9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9
 10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10
 11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11
 12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신간호학] 조울증(양극성 장애) 사례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 일반적 사항 ]]

[[ 병태 생리 ]]
조울증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

◈ 정의

치료
경과 및 예후
[[ 간호 진단 ]]

Ⅰ. 피해의식과 관련된 폭력 위험성: 타인

Ⅱ. 망상으로 인한 대처기전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Ⅲ. 부적절한 개인적 자원과 관련된 사회적고립(Social isolation)

[[ Reference ]]


본문내용
[[ 간호 진단 ]]
주관적
자료
[대상자]
(도움을 주고자하며 얘기를 들어주겠다는 치료진의 말에)
"내 애기 들어주는 사람이 어디 있어.”
(왜 주민들을 괴롭히냐는 질문에 울고 욕하면서)
“너무 하는 거 아니야, 남편 없다고 이렇게 사람을 괄시해.”
(정말 유리를 깨지 않았냐는 질문에)
“없어요 없어. 몰라요 저는. 그런 사실이 없어요. 정말이에요 맹세코.”
“매일 매일 자기들이 화분 던지고, 여자가 내 허리 때리고, 머리도 세 번이나 잡혔다고요.”
객관적
자료
▸ 진단명 : Bipolar disorder
▸ 의사 소견: 환청, 망상이 내재화되어 있음.
▸ 이웃 집 화분 깨뜨림.
▸ 이유 없이 물건을 던져 이웃집 창문을 깨뜨림.
▸ 흉기(낫)를 들고 이웃 주민 위협 함.
▸ 지나가는 사람에게 갑자기 시비 걸고, 때리며 악질이라고 욕함.
▸ 벽돌로 주민의 가슴팍을 때리고 발로 밟고 눕혀서 끌고 다닌 폭력경험 있음.
▸ 자신의 난동 행동 부인하고 남의 탓으로 돌리며 자신이 피해자라고 주장함.
▸ 자신이 잃어버린 열쇠 이웃에게 내놓으라고 난동 부림.
▸ 마을 주민들이 대상자를 만날까봐 길거리에서 숨거나 불안해하는 모습 관찰함.
▸ 마을 주민 증언 : 마주쳤다 하면 공포의 대상이고 살인날까봐 무서움
▸ 마을 주민의 신고로 경찰 출동이 잦고, 처벌해도 소용이 없음
간호
진단
피해의식과 관련된 폭력 위험성: 타인
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에 자신의 감정에 대해 표현한다.

▸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저변에 갈려있는 감정을 표현하고 증상과의 연관성을 인식하여 표현한다.
▸ 대상자는 퇴원 후에도 타인을 손상시키거나 해롭게 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
중재
1. 자신 또는 타인에게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주변 환경 물건들을 제거한다. (벨트, 유리제품 등)
공격적이고 잠재적인 폭력행위를 운동 또는 진흙 빚기 등으로 전환하여 해소하 도록 한다.
2. 대상자가 감정표현을 잘 할 수 있도록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을 활용한다.
3. 피해의식 발언을 했을 경우 무시하지 않고 대상자 자신이 그 의미와 현실성을 다시 한 번 판단해볼 수 있도록 물어보며 돕는다.
4. 대상자가 세상에 혼자라는 느낌을 갖지 않도록 옆에서 지지해준다.
5 하루에 한번 이상 다른 환자와 함께 대화하는 시간을 갖는다.
6. 다른 환자들과의 대인관계를 계속적으로 관찰한다.
7. 대상자의 행동과 대화 주제를 계속적으로 관찰한다.
8. 부적절한 행동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지적한다. 사람들 앞에서는 말하지 않고 대 상자의 방으로 들어가서 말한다.
9. 마을 주민들에게 대상자의 상태가 질병 때문임을 설명하고, 치료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교육한다.
10. 대상자로 인한 마을 주민들의 정신적 피해를 위해 검진을 실시하고 필요시 정 신보건센터나 낮 병동을 소개해 준다.
11. 가족의 지지가 필요함을 대상자에게 설명해주고 올바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 록 협조를 구한다.
10. 대상자가 퇴원 후에도 심리사회적 치료를 지속하기 위해 지역 정신 보건센터나 낮 병동을 소개해준다.
Ⅰ. 피해의식과 관련된 폭력 위험성: 타인

참고문헌
[[ Reference ]]

▸ SOS
http://static.youku.com/v1.0.0131/v/swf/qplayer.swf?VideoIDS=XMjA0NDI0ODY0&embedid=MjAyLjMwLjE1LjIzNQI1MTEwNjIxNgJ3d3cubmV0c2tvLmNvbQIv&showAd=0

▸ 김강미자 외. (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 현문사.
▸ 이강자 외. (2006). 정신간호총론. 서울: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