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

 1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1
 2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2
 3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3
 4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4
 5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5
 6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6
 7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7
 8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8
 9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9
 10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10
 11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11
 12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12
 13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13
 14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14
 15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15
 16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 제주 방언의 유입과 잔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머리말



Ⅱ. 제주도 방언과 고어와의 연관성

1. 중세어의 잔존
1) 지리적 원인
2) 역사적 원인 3) 언어적 근거


Ⅲ. 제주도 방언과 다른 나라말과의 연관성

1. 아이누어의 유입
1) 역사적 원인
2) 언어적 근거

2. 남방계어의 유입
1) 역사적 원인
2) 언어적 근거


Ⅵ. 맺음말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문법의 유사점

①오쿠꽈 가쿠다

“낼 오쿠꽈?” (내일 오겠습니까?)
“가쿠다. 오후엔 병원 강 와사쿠다.” (가겠습니다. 오후엔 병원 갔다 와야 하겠습니다.)
위 대화를 살펴보면 제주방언의 선어말 어미 /-쿠-/는 /-겠-/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신라 향가와 고려의 구결에서 ‘-고다’로 끝나는 구절들이 있는데, 제주방언에서 ‘-코다/쿠다’와 비슷하다. 제주도의 구비문학을 살펴보면 /-쿠다게/도 쓰인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최범영, 앞의 책, p. 185






제주방언에는 신라말, 고려말의 형태를 지키고 있는 말이 많이 존재한다. 이는 고립되어 있는 지리적 특성 상 서울 중심의 언어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기에 지켜올 수 있었던 것이다. 제주방언의 방언 시계는 2010년 현재까지도 고려시대를 가리키고 있다.

② 들어가곡 나오곡

제주방언과 중부권방언을 비교해 보면 중부권방언의 어미 /-고/가 제주방언에서 /-곡/으로 반사되는 것을 찾을 수 있다. 신라향가, 고려향가에서도 /­곡/이 쓰이는데, 후기 중세한국어로 들어오면서 /­고/로 변화한 것이다.



김영돈 선생이 채집한 해녀의 노래 일부분을 살펴보자.

참고문헌
Ⅶ. 참고문헌

1.참고 서적

강정희, 『제주방언 형태 변화 연구』, 역락, 2005
국립국어원, 『방언 이야기』, 태학사, 2007
국립제주박물관, 『한국문화와 제주』, 서경, 2003
김공칠, 『탐라어연구』, 한국문화사, 1999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2
최범영, 『말의 무늬』, 종려나무,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