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

 1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1
 2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2
 3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3
 4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4
 5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5
 6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6
 7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7
 8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8
 9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9
 10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10
 11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11
 12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12
 13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13
 14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14
 15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15
 16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저자사항
1-1. 이덕무
1-2. 박제가


Ⅱ. 내용사항
2-1. 내용과 구성
2-2. 책에 대한 평가


Ⅲ. 판본사항
3-1. 권수제면
3-2. 관련참고자료


Ⅳ. 참고문헌

Ⅴ. 부록
본문내용
Ⅱ. 내용사항

2-1. 내용과 구성

이 책은 목판본. 4권 4책. 규장각 도서. 정조가 직접 편찬의 방향을 잡은 후 규장각 검서관 이덕무(李德懋) ·박제가(朴齊家)와 장용영 장교 백동수(白東修) 등에게 명령하여 작업하게 하였으며 1790년(정조 14)에 간행되었다.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란 제명에서 ‘무예(武藝)’란 무(武)에 관한 기예를 뜻하고, ‘도보(圖譜)’는 어떠한 사물을 실물의 그림을 통하여 설명함으로써 계통을 세워 분류하는 것을 의미하며, ‘통지(通志)’는 곧 모든 것을 망라한 종합서를 말한다. 24가지의 무예가 실려 있는 ‘무예도보통지’라는 무예서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무예도보통지’는 선조 31년(1598)에 한교(韓嶠) 1556년(명종 11)∼1627년(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앙(士昻), 호는 동담(東潭).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적을 토벌하였으며, 그 공으로 벼슬길에 나가기 시작하여 사재감참봉·예빈시주부·군자감판관 등을 거쳐 죽산·의흥의 현감을 역임하였다. 유저로는《무예제보 武藝諸譜》 등이 있다.

가 편찬한 6가지 무예로 이루어진 ‘무예제보(武藝諸譜)’와 영조 35년(1759)에 사도세자가 주도하여 편찬한 18가지 무예로 이루어진 ‘무예신보(武藝新譜)’를 모체로, 한·중·일 삼국의 서적 145종을 참고하여 1790년에 완성된 종합무예서이다. ‘무예도보통지’는 이전에 편찬된 ‘무예제보’와 ‘무예신보’의 내용을 함께 담고 있어 임진왜란 이후의 우리나라의 창(槍), 검(劍), 권(拳) 등을 이용한 무예의 발달과정과 그 실체를 구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한 벌의 책은 조선의 전투기술사를 이루고 있으며, 전투기술을 중심으로 한 역사, 사회적 문제가 종합적으로 다루어진데 있어 18세기 말엽에 조선이 지닌 ‘무예(武藝)’에 대한 개념이 오늘 우리들이 관념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판이하였음을 알게 한다. 과거적인 ‘군기(軍技)’를 엿보게 한다든지, ‘무예’ 예기의 24기를 역사적으로 의식한 데에서 종합적으로까지 중시되었던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무예도보통지’의 발간과 관련하여 이 책의 발간 부서인 장용영(壯勇營) 조선 후기 국왕의 호위를 맡아보던 숙위소(宿衛所)를 폐지하고 새로운 금위체제(禁衛體制)에 따라 조직·개편한 국왕 호위군대.

의 장용영고사(壯勇營古事) 장용영과 관계된 옛일을 기록한 필사본 책이다. 정조 9년(1785)에서 정조 24년(1800)까지의 16년간의 기록이 나와 있다. 필사 연도는 1801년에서 1834년까지의 순조 연간으로 추정된다. 불분권 9책이었던 것이 현재는 제 4책이 결락되어 8책 결본으로 전해지고 있다.
2책에 ‘무예도보통지’가 만들어진 과정에 대한 기록이 나와 있다. 이 속에는 편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① 단행본
◦ 正祖 / 命選 / 李德懋 ; 朴齊家 [共] 著, (實演.完譯)무예도보통지, 서울 : 학민사, 1996.
◦ 나영일 저, 정조시대의 무예 = Martial arts in the era(1776-1800) of King Jeongjo(正祖)
◦ 곽동철, 「무예도보신지」, 무예연구소. 1949.
◦ 노영구 외, 「정조대의 예술과 과학」, 문헌과 해석사. 2000.
◦ 육태안, 「우리무예이야기」, 학민사. 1990.
◦ 서인선, 「국술」, 스포츠라이프사. 1980.
◦ 김대경, 「한국의 곤과 검」, 하도낙서. 1996.
◦ 유봄학, 「정조대왕의 꿈」, 신구문화사. 2001.
◦ 이성무, 「조선초기양반연구」, 일조각. 1985.
◦ 임동권, 정영호, 「한국의 마상무예」,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1997.

② 학술저널
◦ 김준혁,「正祖의 『武藝圖譜通志』 편찬 의도와 壯勇營 강화」.『중앙사론』제21집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5), pp.290~315.
◦ 곽낙현,「《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 수록된 도검자세에 관한 고찰 -雙手刀(쌍수도), 銳刀(예도), 提督劍(제독검), 本國劍(본국검)을 중심으로-」.『 체육사학회지』제12권 1호(한국체육사학회, 2007), pp.85~98.
◦ 최복규, 「《무예도보통지》 무예론에 관한 연구 - 수련과 비교를 중심으로 -」.『 체육사학회지』제12권 2호(한국체육사학회, 2007), pp.29~44.
◦ 배우성, 「제 28 회 한국고전연구심포지엄 『 무예도보통지의 종합적 검토 』 : 정조의 군사정책과 『 무예도보통지 』 편찬의 배경」.『 진단학보』제91권 (진단학회, 2001), pp.331~354.
◦ 이용복, 「이달의 책 : 민족무예의 역사성 확보 - 『 무예도보통지 』」.『사회평론』제96권 3호 (월간 사회평론 길, 1996), pp.222~223.
◦ 최복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무예 분류의 특징과 그 의미」.『한국체육학회지』44권 4호(2005년 7월), p. 45-54.

③ 관련인터넷정보원자료
◦ 국립중앙도서관(http://www.nl.go.kr/index.php)
◦ 국회도서관(http://www.nanet.go.kr)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문화콘텐츠닷컴 무예도보통지(http://yjc.culturecontent.com/)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소개와 구성, 한국무예로서의 의미, 보병무예(18기)와 마상무예(6기)의 원문과 해석을 볼 수 있다. 또한 24반무예의 개요, 3D viewer, 재현동영상, 재현사진, 카툰, 플래시를 제공하고 있다. 보병무예(18기)와 마상무예(6기)의 무과시험에 대한 개요, 무사캐릭터, 소품에 대한 사진도 포함되어 있다.
◦ 푸른깨비의 무예24기(http://muye24ki.com/)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스물 네 가지의 기예인 무예24기를 무예도보통지를 통하여 단계의 동작을 그림을 덧붙여 세부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특이한 점은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설명을 영어로도 추가하여 외국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수원 화성과 무예24기의 역사적 의의, 마상무예, 무예 수련, 동영상, 자료실, 게시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 무예24기보존회(http://www.muye24ki.or.kr/)
무예도보통지의 소개, 범례, 의의, 복식과 무예24기, 무예24기보존회소개, 무예24기 정신, 무예24기 형성배경, 무예24기 구성, 정조대왕 등의 인물에 대한 소개, 그리고 수원화성과무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십팔기보존회(http://sippalki.com/html/main.php)
무예도보통지에 의해 온전히 전해지고 있는 18가지의 종합병장무예, 십팔기에 대한 소개와 역사, 십팔기 종목설명에 대한 설명과 그림을 볼 수 있다. 국기십팔기에 대한 자주묻는 질문과 답변을 볼 수 있는 십팔기FAQ메뉴와 십팔기보존회소개, 연혁 및 활동내역, 무예에 대한 여러 가지 칼럼들을 제공한다.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하는 서비스. 역대 인물 분류별, 관직명 검색, 성씨 및 본관정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