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

 1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
 2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2
 3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3
 4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4
 5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5
 6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6
 7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7
 8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8
 9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9
 10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0
 11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1
 12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2
 13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3
 14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4
 15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5
 16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6
 17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7
 18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8
 19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19
 20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이정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

가. 환경적 측면

나. 경제적 측면

2. 신재생에너지의 수출의 필요성



Ⅱ. 본 론
1. 신재생에너지의 소개

가. 신재생에너지의 정의

나. 신재생에너지의 종류

2. 신재생에너지 현황

가. 세계 에너지 동향 및 전망

나. 외국의 신재생에너지 동향

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3.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가.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나.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라. 지원제도

4.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현황

가.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출의 전략

나. 신재생에너지 수출의 효과

5.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출전략의 문제점

본문내용

3. 신재생에너지 현황
1970년대 그리고 1980년대 초 신·재생에너지의 괄목할 만한 성장은 무엇보다도 1970년대 석유파동 이후 각국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던 연구개발과 보급, 정책적 지원에 힘입은 바 크다. 당시에는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 대상은 주로 대수력과 바이오에너지, 지열발전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와서 이러한 제1세대 신·재생에너지 기술은 점차 성장세가 둔화되고 제2차세대 신·재생에너지원인 태양광발전과 풍력 등이 새롭게 등장하여 주력 신·재생에너지 자원으로 각광을 받으며 보급이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선진국 내에서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면서 좀 더 청정하고 환경 친화적인 그리고 기술집약적인 에너지원을 선호하면서 정부차원에서 RD&D 투자와 시장 확대정책을 적극적으로 전개한 결과로 해석된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과 보급을 위한 정책을 펴고, 관련 법·제도를 마련한 국가는 몇몇 선진국에 한정되었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개도국을 포함하여 더욱 많은 국가들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과 보급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지원정책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IEA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는 개별 정책수단의 개별적 추진보다는 종합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정책수단의 지속성과 예측가능성이 보장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참여함으로써 가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가. 세계 신·재생에너지 동향 및 전망
세계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은 약 1,493백만toe로서 세계 총 1차에너지 공급량 11,741백만toe의 12.7%를 차지하고 있다.(각주1 이 수치는 IEA의 통계기준에 의한 것이고 이를 BP통계기준, 즉 재생에너지 발전을 1차에너지 환산기준을 적용하면 약 21억toe로서 1차에너지 기준 18%를 차지함.) 원별로 살펴보면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