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

 1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
 2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2
 3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3
 4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4
 5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5
 6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6
 7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7
 8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8
 9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9
 10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0
 11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1
 12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2
 13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3
 14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4
 15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5
 16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6
 17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7
 18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독교교육사] 제 13장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Ⅰ. 서론


Ⅱ. 신정통주의와 교육

A. 신정통주의 사상
1. 시대 배경 및 내용
2. 칼 바르트

B. 신정통주의 기독교 교육학자
1. 쉘톤 스미스(Shelton Smith)
2. 랜돌프 밀러(Randolph C.miller)
3. 제임스 스마트(James Smart)
4. 루이스 쉐릴(Lewis J.sherrill)


Ⅲ. 복음주의와 교육

A. 복음주의 사상
1. 시대 배경 및 내용
2. 복음주의의 특징

B. 복음주의의 교육 활동
1. 교회 교육
2. 기독교학교 운동
3. 가정생활 교육

C.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학자
1. 로이스 르바(Lois E. Lebar)
2. 게네 게츠(Gene A. Gets)
3. 로렌스 리차드(Lawrence O. Richards)


Ⅳ. 개혁주의와 교육

A. 개혁주의 사상
1. 시대 배경 및 내용
2. 구원론

B. 개혁주의와 기독교교육
1. 개혁주의와 기독교교육의 원리
2. 개혁주의와 기독교교육의 방법

C. 도전과 응전
1. 현대문명의 도전
a. 과학문명의 도전
b. 세속화의 도전
2. 개혁주의의 응전

D. 개혁주의자들의 교육 사상
1.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2. 프랭크 게이블라이엔(Frank E. Geabelein)
3. 놀만 하퍼(Norman E. Harper)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칼 바르트

근대 신교사에 있어서 1918년에 출판된 칼 바르트 교수의 「로마서 강해」이상으로 강한 폭풍우를 일으킨 저서는 또 없을 것이다. 100여 년 동안 세계 신학을 석권하여 오던 자유주의 신학의 근본 전체를 뒤흔들어 놓았던 바르트는 철두철미 하나님의 말씀에서 그의 신학을 수립하려고 했다. 인간이 신을 발견하는 것이 아닌, 그리고 인간의 종교 경험도 아닌 하나님의 말씀은, 신의 성실성 그 자체이며, 인간을 향한 비타협적인 부정 속에서 새로운 긍정과 화해를 모색하시는 신의 은총이라고 보았다. 이렇듯 신 중심의, 더욱이 그리스도와 성서 중심의 새로운 신학적 역점은 새로운 신학 운동을 자극시키는 열쇠가 되었다. 이렇게 그리스도 사건을 하나님계시의 전무후무한 일회적 사건으로 본 칼 바르트는 그리스도에서 하나님은 인간과 전 역사를 행하여 말씀하셨고, 인간은 이 말씀에 회개로 응답하도록 불리움을 받았다고 보았다. 바로 이 말씀은 복음으로서, 성서는 설교와 함께 이 복음에 대한 증언이었다.


B. 신정통주의 기독교 교육학자

1. 쉘톤 스미스(Shelton Smith)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비판이 신학계에 일어났고 특히 라인홀드 니버 (Reinhold Niebuhr)를 중심으로 한 신정통주의 신학의 옹호가 더하여 갔다. 이러한 즈음에 쉘톤 스미스는 진보주의에 근거를 둔 종교교육 운동을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스미스는 신정통주의 신학으로부터 강한 충격과 영향을 처음 받은 사람이다. 은준관, op,cit, p. 165.

스미스는 1934년에 “종교교육자들은 바르트의 사상과 씨름하여 보라”고 제안하였다. 이것은 당시의 종교교육 운동자들에게 일대 도전이었다. 그 이유는 첫째로, 바르트의 사상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이 강조되었고 기독교교육의 기준은 성경 안에 계시된 예수 그리스도였다. 교육의 주제는 듀이나 코우가 강조하였던 ‘인간 삶의 정황’대신에 성경을 교육과정의 주제로 삼을 것, 둘째로 바르트 신학에 근거한 교육학은 인간의 죄성에 바탕을 둔 인간학과
참고문헌
참고문헌

․ 정정숙, ⌜기독교교육사⌟ (서울: 베다니,2007)
․ 정정숙, ⌜기독교교육학⌟, (서울: 베다니, 2008)
․ 황대우, ⌜칼빈과 개혁주의⌟ (서울: 도서출판 깔뱅, 2009)
․ 유윤종, ⌜복음주의와 기독교교육⌟
․ 은준관, ⌜교육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6)
․ 한춘기, ⌜기독교 교육신학 Ⅰ⌟ (서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