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

 1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
 2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2
 3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3
 4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4
 5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5
 6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6
 7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7
 8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8
 9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9
 10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0
 11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1
 12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2
 13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3
 14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4
 15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5
 16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6
 17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7
 18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8
 19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19
 20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사]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리얼리즘 소설과 시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프로문학의 성립

1. 팔봉 ․ 회월의 활약
1) 팔봉 ․ 회월의 정신적 상황
2) 팔봉 ․ 회월의 평론
3) 계급문학시비론

2. 조직
1) 염군사
2) PASKYULA
3) KAPF
4) 조직론의 논거

Ⅲ. 논쟁 ― 자체내의 문제점

1. 마르크스주의문학론
1) 그들의 문학관
2) 외재적 비평형태

2. 내용과 형식논쟁
1) 논쟁의 발단
2) 내용 ․ 형식의 본질
3) 형식의 중요성에 대한 시비
4) 결산

3. 목적의식론

4. 아나키스트와의 논쟁

5. 대중화론
1) 「전기」파의 대중화론
2) 팔봉의 대중화론

6. 농민문학론

7. 창작방법론(1)
1) 창작방법의 의미
2) 소련에 있어서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논의
3) 일본에 있어서의 창작방법논의
4) 한국에 있어서의 창작방법논의
5) 결산

8. 창작방법론(2)

Ⅳ. 맺음말

Ⅴ. 참고문헌

Ⅵ. 기존 연구 논문 목록
본문내용

2) 외재적 비평형태
외재적 비평이란 청야계길에 의해 1925년 말 경에 제기된 것이다. 작품을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예술가를 사회적 존재로 보아 그 현상, 그 존재의 사회적 의식을 결정하는 비평을 의미한 것이다. 작품, 작가를 개인 중심에서 사회적 의식으로 방향을 돌리는 것이 외재적 비평이며 이는 문화사적 비평, 혹은 객관적 비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외재적 비평이 프로문학 비평의 「과학주의」수립의 기초가 되었다. 청야의 외재적 비평이 한국에 도입된 것은 1927년 무렵, 목적의식론이 대두될 시기에 해당한다. 이때의 대표적 비평가로는 팔봉, 회월, 무애를 거론할 수 있다.
1926년 말부터 계급문단의 쟁점으로 부각된 방향전환론은 식민지 시대 사회 운동 자체가 요구하고 있는 방향전환의 요건을 문학 운동의 차원에서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계급 문학 운동의 방향전환은 계급문학 운동 자체의 내적인 성숙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외부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제기되었으며, 그 논리와 실천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시각의 충돌을 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그 본질적인 의미와 성격을 간단하게 규정할 수는 없는 일이다. 권영민, 앞의 책, p. 85.

외재적 비평이란 말은 프로문예비평 또는 객관적 비평이라는 말로 대체되는데, 과학적 비평(사회과학)이란 말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비평의 방법, 기능의 자각이 이 때부터 가능한 지평을 연 것이라는 데 한국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외재적 비평은 지도원리로서의 태재를 가졌다는 것이 최대의 강점일 수 있다. 원래 비평이란 독자의 비평기능을 대표하여 문학의 동향에 발언하고 평가에 참여할 때만이 그 권위가 확보되는 것이라면, 당시 프로문예비평은 아무리 정론성의 일견이라 할지라도 그리고 아무리 유치한 논리였더라도 그것이 가능했던 것이다. 처음으로 지식 계급에서 정치, 철학, 경제, 예술의 상호관련을 고찰하는 방법을 배우게 한 것은 외재적 비평의 커다란 매력이었고, 의의였다고 볼 수 있다.

2. 내용과 형식논쟁

1) 논쟁의 발단
프로문예비평이 감당해야 할 두 가지 중요한 문제가 있다면, 그 하나는 문예 본질에 대한 것이고 이 본질론에서 빚어진 내용 항목을 현실적으로 적용, 처리하는 것이 그 다른 하나이다. 그러나 전자의 확립이 1920년 초기엔 종가인 소련에서도 아직 완수되지 못했다는 점에 상도할 때, 여타 종파국에서의 혼란은 추측할 수 있는 일이다. 그 결과 이때의 비평사는 논쟁사의 모습을 띠게 된다. 이 논쟁은 외부와의 것과 자체 내에 비중을 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후자 가운데 가장 원론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는 내용과 형식논쟁이다. 내용과 형식문제는 창작 방법과 직결되기도 했지만 작품평가의 기본적 방법이 되었음에 큰 의의를 가진
참고문헌
Ⅴ. 참고문헌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99.
권영민, 󰡔한국 계급문학 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김영민, 󰡔한국문학비평논쟁사󰡕, 한길사, 1992.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1993.
김재석, 「카프 농민문학론의 비판적 검토」, 󰡔문학과 언어󰡕 제 13권, 文學과 言語硏究會, 1992.
김팔봉ㆍ홍정선, 󰡔김팔봉문학전집󰡕 제2권, 문학과지성사, 1988.
박명용, 「한국 프롤레타리아 문학 연구 : 비교문학적 시점에서」, 홍익대 대학원 박사논문, 1991.
박영희, 「최근 문예인론의 신전개와 그 경향」, 󰡔동아일보󰡕, 1934, 1.
박영희, 「무산예술운동의 집단적 의의」, 󰡔조선지광󰡕 제 65호, 1927, 3.
박영희, 「번뇌자의 감상어」, 󰡔開闢󰡕, 70號, 1926.
백은주, 「임화 시의 낭만성 연구를 위한 試論」,《한국시학연구》, 한국시학회, 2006.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카프 문학운동연구󰡕, 문학비평사, 1994.
이승철, 「카프의 방향전환기를 전후한 문학논쟁 고찰」,《어문논총》,청주대학교, 1993.
임규찬, 「팔봉 김기진의 프로문학론에 대한 고찰」,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6.
임화, 「낭만적 정신의 현실적 구조」, 󰡔임화 평론집 문학의 논리󰡕, 서음출판사, 1989.
임화, 「위대한 낭만적 정신」, 󰡔동아일보󰡕, 1936, 1.
임화, 「사실주의의 재인식」, 󰡔동아일보󰡕, 1937, 10, 13.
정경운, 「임화의 낭만주의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0.
조홍규, 「팔봉 김기진의 대중화론 고찰」, 󰡔인문과학연구󰡕제 18권. 조선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1996.
한강희, 「八峰 金基鎭의 藝術大衆化論에 關한 一考察」,󰡔首善論集󰡕 제 14권,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學生會, 1989.
한상현, 「카프 비평의 내면성 연구 : 카프 비평의 집단적 내면성 연구」, 경기대 대학원 석사 논문, 2010.

Ⅵ. 기존 연구 논문 목록

곽승미, 「김남천 문학 연구 : 인식적 미학적 원리로서의 근대성」,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 문, 2000.
김기한, 「백철문학론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1.
김우진, 「김남천 소설의 창작기법연구 : 일제말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석사 논문, 2010.
김정우, 「소설의 계급인식 고찰 : 첨부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논 문, 2009.
민연옥, 「김남천 소설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박진미, 「해방시기 안함광의 민족문학론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3.
서승희, 「최재서 비평의 문화 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서진리, 「임화시의 혁명적 낭만주의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2008.
이광재, 「1920-30년대 한국과 중국 프로문학운동 비교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논 문, 2000.
이진형, 「임화의 소설 이론 연구 : 본격소설론의 형성과 구조」,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 문, 2001.
정재흠, 「懷月 朴英熙 文學 硏究 : 프로文學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조영실, 「김기진의 프로문학비평 연구 : 비평방법 및 창작방법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3.
차입방, 「장광자와 임화의 리얼리즘 고찰」,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5.
홍승연, 「사회주의 리얼리즘 논쟁의 역사적 고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Shagalova, Anastasia, 「러시아의 RAPF가 KAPF에 끼친 영향」, 배제대학교 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