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

 1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1
 2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2
 3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3
 4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4
 5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5
 6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6
 7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7
 8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8
 9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9
 10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10
 11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11
 12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12
 13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13
 14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14
 15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15
 16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16
 17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강릉매화타령`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 비교 및 `매화`의 미미한 비중의 의미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과 그리고 비슷한 유형의 소설들
1-1
1-2
1-2-1 발견의 경위
1-2-2 를 의 이본으로 보는 이유
1-3 의 비교 대상: , ,


2. , , , 비교 분석
2-1 , , , 화소 분석
2-1-1 의 화소분석
2-1-2 의 화소 분석
2-1-3 의 화소 분석
2-1-4 화소 분석
2-1-5 vsvsvs 비교 분석

2-2 , , , 인물 유형 분석 및 비교
2-2-1 인물 유형 분석
2-2-2 인물 유형 분석
2-2-3 인물 유형 분석
2-2-4 인물 유형 분석
2-2-5 vsvsvs 인물 비교 분석

2-3 에서 미미하게 드러나는 ‘매화’의 비중과 그 의미 분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1-2 의 화소 분석

(1) 세종 때 재상 집안의 두 아들, 김생과 이생은 동문수학한 친구사이다.
(2) 과거시험결과, 김생은 장원급제를 하고 이생은 진사가 된다.
(3) 김생의 제의로 이생은 평양으로 향한다.
(4) 김생이 베푼 주연에서 이생은 김생의 행위를 비난한다.
(5) 김생은 이생을 훼절시키기 위해 계략을 짜고 오유란에게 명령한다.
(6) 오유란은 과부행세를 하며 이생을 유혹한다.
(7) 이생은 오유란에게 유혹 당한다.
(8) 오유란과 이생은 밀회를 즐긴다.
(9) 오유란에 대한 이생의 집착은 더욱 강해진다.
(10) 김생은 이생에게 전할 가짜 편지를 작성한다.
(11) 이생은 서울에서 온 가짜 편지를 받는다.
(12) 이생은 서울로 상경한다.
(13) 서울로 가는 도중, 이생은 두 번째 가짜 편지를 받고 평양으로 돌아온다.
(14) 이생은 오유란의 가짜 무덤을 발견한다.
(15) 이생은 오유란의 자결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며 자책한다.
(16) 이생은 김생에게 오유란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김생은 사실을 모른척한다.
(17) 오유란은 귀신행세를 하며 이생을 찾아온다.
(18) 오유란과 함께 있고 싶어 이생은 자살을 결심한다.
(19) 이생은 가짜시신을 본다.
(20) 이생은 오유란과 함께 홑옷만 입고 거리에 나가 토식한다.
(21) 오유란은 이방과 공모한다.
(22) 이생은 자신의 죽음을 착각한다.
(23) 귀신행세를 하는 오유란과 알몸인 이생은 김생이 베푼 연회에 간다.
(24) 김생은 담뱃대로 나체인 이생을 찌른다.
(25) 이생은 자신이 살아있음을 자각한다.
(26) 이생은 서울로 돌아간다.
(27) 이생은 복수의 뜻을 두고 수학한다.
(28) 이생은 장원급제를 하고 암행어사가 된다.
(29) 이생은 평양으로 내려온다.
(30) 이생은 기생과 함께 있던 김생을 망신 준다.
(31) 이생은 김생과 대면하고 화해한다.
(32) 이생은 오유란과 대면하고 오유란을 용서한다.
(33) 이생과 김생은 둘 다 정승의 자리까지 오르고 44년 동안 우정을 지속시킨다.

여색에 대해 경직된 태도를 가지고 있던 이생이 어떻게 그 태도를 변화하게 되었는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서사 단락은 이생이 기생 오유란에게 훼절을 당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발단, 전개, 결말의 3단계 구조로 나누어진다. 발단은 훼절 사건이 벌어지게 된 배경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특히 이생과 김생의 관계가 중점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전개는 이생이 김생과 오유란의 계략에 넘어가 훼절 당하여 사람들에게 망신을 당하게 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결말에서는 훼절 사건 이후 이생과 김생의 화해를 다루고 있다. 특히나 오유란전은 내기와 공모의 구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여색에 미혹되지 않는다는 장담(내기)을 한 주인공 이생과 이를 넘어뜨리려는 주변 인물의 체계로 구성되는 이 형식은 ‘주인공 이생 vs 공모자(1)-김생 vs 공모자(2)-오유란’ 의 형식을 취한다. 그러나 주인공과 공모자들의 대립관계가 심각한 것은 아니라는 특징을 가진다. 주인공의 경직된 관념이 현실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정도의 갈등은 있어도 주인공과 공모자의 첨예한 갈등은 드러나지 않는다. 때문에 주인공의 패배나 비속화 자체에 중점이 가는 것이 아니라 이로 인한 웃음 유발 형식을 취한다.

참고문헌
4. 참고문헌

김석배(2002),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古小說 硏究
((The) research of the old Korean novel) Vol.14 No.-
김석배(2004), 의 판짜기 전략, 문학과언어학회
김헌선(1993), 발견의 의의, 국어국문학회
김헌선(1993), 과 형성 소고, 경기교육논총3
남상윤(2003), 실전 판소리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미선(2004), 연구,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박일용(2002), 구성과 더늠형 사설 생성의 측면에서 본 판소리의 전승 문제 : ,
, 의 예를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이정훈(1997), 강릉매화타령계 소설의 남성 성의식,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진숙(2000), 강릉매화타령 연구, 경기대학교
인권환(1996), 판소리 사설연구: , , 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동양학 연구소
한정미(1999), 의 전반적 이해, 판소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