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금오신화 분석

 1  [고전소설론] 금오신화 분석-1
 2  [고전소설론] 금오신화 분석-2
 3  [고전소설론] 금오신화 분석-3
 4  [고전소설론] 금오신화 분석-4
 5  [고전소설론] 금오신화 분석-5
 6  [고전소설론] 금오신화 분석-6
 7  [고전소설론] 금오신화 분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론] 금오신화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3. 결론
2. 본론 3.1 금오신화의 위상
2.1 전등신화 및 전기의 영향
2.2 줄거리 소개
2.3 당시의 시대상황 및 김시습의 작자의식
2.4 금오신화의 서사적 특징
본문내용
「취유부벽정기」
개성의 상인 홍생(洪生)이 달밤에 술에 취하여 대동강 부벽루에 올라가 고국의 흥망을 탄식하는 시를 지어 읊었는데, 마침 한 아름다운 여인이 나타나 홍생의 글재주를 칭찬하면서 음식을 대접하였다. 이에 홍생은 여인과 시로써 화답하며 즐기다 신분을 물었는데, 그 여인은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긴 기자의 딸로서 천상계에 올라가 선녀가 되었다고 하며, 달이 밝자 고국 생각이 나서 내려왔다고 자신을 소개하였다. 이후 여인은 홍생의 청을 받고 시 한수를 더 지은 뒤 공중에 높이 솟아 가버렸는데, 어디로 갔는지 알 수가 없었다. 이후 홍생은 귀가하였으나 그 여인을 연모하다가 병을 얻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홍생은 그 여인이 옥항상제께 아뢰어 자신도 하늘에 올라가게 된다는 내용의 꿈을 꾸고는 문득 세상을 떠난다.

「남염부주지」
경주에 사는 박생(朴生)은 열심히 공부하였으나 과거에 합격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뜻이 높고 인품이 훌륭하였다. 그는 귀신·무당·불교 등의 이단에 빠지지 않으려고 유교경전을 읽었고, 세상의 이치는 하나뿐이라는 뜻이 확고하였다. 어느 날 꿈에 박생은 저승사자에게 인도되어 염부주라는 별세계에 이르러 염왕과 사상적인 담론을 벌이게 된다. 유교·불교·미신·우주·정치 등 다방면에 걸친 문답을 통하여 염왕과 의견일치에 이르고, 많은 깨달음을 얻는다. 염왕은 박생의 참된 지식을 칭찬하고 그 능력을 인정하여 왕위를 물려주겠다며 세상에 잠시 다녀오라고 하였다. 꿈을 깬 박생은 가사를 정리하고 지내다가 얼마 뒤 병이 들었다. 이에 박생은 의원과 무당을 불러 병을 고치지 않고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용궁부연록」
글에 능하여 그 재주가 조정에까지 알려진 한생(韓生)은 어느 날 꿈속에서 용궁으로 초대되어 가게 된다. 용왕의 청을 받고, 새로 지은 누각의 상량문을 지어주었더니, 용왕은 그 재주를 크게 칭찬하고 잔치를 베풀어 대접하였다. 잔치가 끝난 뒤 용왕의 호의로 한생은 세상에서 볼 수 없는 진귀한 물건들을 골고루 구경하였다. 하직할 때 용왕은 구슬과 비단을 선물로 주었는데, 한생은 꿈에서 깬 뒤에도 선물이 그대로 있음을 확인하고는 이 세상의 명리를 구하지 않고 명산으로 들어가 자취를 감추었다.
참고문헌
참고자료

최일범,『매월당 김시습의 생애와 철학사상』, 사회과학원, 사상, 통권 제30호 1996, pp. 237~246
박희병, 「금오신화의 소설미학」, 『한국한문학연구』제18권, 한국한문학회, 1995.
이대형, 『금오신화연구』, 보고사, 2003.
안창수, 『한민족어문학』, 한민족어문학회, 제26집 1994, pp. 103~126
조혜란, 신선희, 정선희 외 2명, 『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난 삶과 죽음』, 보고사, 2010.
오대혁, 『금오신화와 한국소설의 기원』, 역락, 2007.
이원수, 『한국 고전서사문학 연구』, 경남대학교출판부, 2010.
박혜숙, 「금오신화의 사상적 성격」,『韓國文學史의 爭點』, 集文堂,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