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

 1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1
 2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2
 3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3
 4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4
 5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5
 6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6
 7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7
 8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8
 9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9
 10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론] 판소리 심청가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시대상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론

2. 심청가의 전승과정
1) 판소리 심청가

① 초앞 대목

② 부친 봉양 대목

③ 장승상 부인 대목

④ 중타령 대목

2) 심청가와 심청전의 선후관계

① 심청가 -> 심청전
② 심청전 -> 심청가
3. 다른 시각에서 심청가 보기

1) 역할의 입장에서 본 조선시대 의식

① 심봉사 입장

② 심청 입장

③ 뺑덕어미 입장

4. 현대적 변용
1) 판소리 심청가

2) 채만식의 심봉사

3) 최익훈의 달아달아 밝은 달아

5. 결론



본문내용
① 초앞 대목
초앞 대목은 공간과 심봉사 부부에 대해서 소개를 하는 것이다. 초기에는 심봉사의 사는 곳과 이름이 분분하고, 그의 신분은 일가친척 없는 가난한 사람이라고 밖에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다 19세기 중기 이후에 오면서 공간적 배경은 황해도 황주 도화동으로 심봉사는 심학규로 바뀌었으며 그의 신분은 명문가문으로 가난한 맹인이지만 성품 있는 인물로 설정되었다. 또한 양씨부인이 곽씨부인으로 바뀌면서 그의 품앗이 종목도 초기의 품앗이 같은 서민행위에서 삯바느질, 삯질삼등으로 바뀌었다.

② 부친 봉양 대목
초기에는 심청이 부친을 위해서 동냥을 하는 면이 여러 고사를 통해 당연시 되었다. 그러나 후기에 올수록 이 대목의 길이가 길어졌으며 두 차례 바뀌게 된다. 박순호 창본을 보면 심청이가 동냥을 동네사람들이 꾸짖고, 부정적으로 평한다. 그러나 정권진 창본을 보면 초기의 심청가인 유교 효사상이 두드러진다. 동네사람들은 칭찬을 하고 심청이 또한 아버지 대신 생활을 꾸려나가는 점을 보람차게 느낀다.

③ 장승상 부인 대목
초기 심청가는 장자부인이 심청이를 수양딸로 삼으려고 했다는 단순한 구절밖에 나와 있지 않다. 후기는 장자부인이 장승상댁 부인으로 바뀌었으며, 장자부인이 심청이를 대하는 태도또한 달라진다. 심청이를 선녀로 비유해 그녀의 가치를 높였으며, 수양딸의 제시와 거절과정을 자세하게 담아냄으로써 심청이의 효성을 극대화하였다. 이는 아니리와 창으로 구성된 면을 보아서도 초기보다 훨씬 길이가 길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심청이가 인당수에 빠진 후에 장승상부인이 그 소식을 듣고, 심청이의 화상을 그리며 시를 지었다는 대목에서 그녀의 효를 기린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덧붙이자면 장승상부인의 화상그림 대목은 후기 판소리에 모두 다 실린 것은 아니다.

참고문헌


- 단행본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6.
최혜진, 판소리의 전승과 연행자, 도서출판 역락, 2003.


- 논문

고은미,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판소리-여성이미지비평을 중심으로, 2000.
김난주, 굿과의 관계에서 본 판소리의 기원, 서울대학교 국문학 연구회, 1986.
김석배, 심청가와 기대지평의 전환2, 『선주농촌 제1집』, 금오공과대학교 선주문화연구소, 1998.
김유미, 판소리에 나타난 서사적 요소의 현대적 수용양상, 『한국어문교육』5, 고 려대학교 국어교육학과, 1991.
김현철, 판소리의 패로디 연구, 『한국극예술연구』11, 2000.
정양, 뺑덕어미 小考, 한국민속학회, 1999.
이유진, 판소리 의 형성에 대한 재론, 판소리 학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