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

 1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1
 2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2
 3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3
 4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4
 5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5
 6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6
 7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7
 8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8
 9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9
 10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10
 11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11
 12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12
 13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13
 14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14
 15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강과 간호] 심전도 case PBL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ECG interpretation 심전도의 이해

1. 심전도의 뜻

2. 심전도 해석하기

3. 12유도

Ⅱ. 부정맥 (심부정맥)

Ⅲ.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CPR)

Ⅳ. 제세동기 (Defibrillator)

Ⅴ. Cardioversion(심율동 전환술)

Ⅶ. Emergency Drug

본문내용
1. 심폐소생술의 정의
: 심정지 환자의 소생을 위해 동원되는 모든 치료방법을 의미한다.
기본 인명구조술
(Basic life support : BLS)
심정지 환자가 발견된 현장에서 의료기구의 사용 없이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으로 응급처치를 시행하는 것
전문 심장구조술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
ACLS)
심정지 환자가 병원에 도착한 이후에 의료진에 의하여 시행되는 제세동 및 약물투여 등의 전문 응급처치


2. 심폐소생술의 의의
: 심정지 후 1분이 경과 시마다 생존율이 7~10%씩 감소하나, 심폐소생술 시행 시에는 생존율이 분당 3~4%로 감소폭이 준다.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율이 3배 이상 높고, 20분 이상 지연된 경우에는 소생이 불가능하거나 심장이 소생이 되더라도 중증 뇌손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빠른 처치가 중요하다.

3. 심폐소생술의 단계
: C(Compression)-A(Airway)-B(Breathing)의 순서로 변경되었다(단, 신생아 제외). 신생아의 심정지는 주로 질식성이기 때문에 병인이 심장에 의한 경우가 아니라면 A-B-C의 순서를 적용하여 3:1의 비율로 시행한다. 만일 구조자가 심폐소생술에 대한 트레이닝이 되어 있지 않다면 Hands-Only (compression) CPR만을 시행 토록 한다. 교육받은 구조자에 의해 시행될 경우에는 30:2의 비율로 시행한다.
: 새로운 가이드 라인을 통해 흉부 압박 및 조기 제세동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약물 투여, 전문 기도 유지술의 시행이 흉부압박 및 전기충격(제세동)에 현저한 중단 및 지연을 유발해서는 안 된다.
①환자 발견 및 구조 요청
‘호흡 상태 확인 과정‘은 제외되었다. ’맥박 확인‘은 의료진의 경우에만 10초 이내에 시행한다. 의료진은 환자가 무호흡인지, 비정상 호흡을 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는데, 무호흡이거나 가쁜 호흡인 경우 심정지 환자 발생을 응급의료체계에 알리고 조기 제세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②흉부 압박에 의한 인공 순환 (Compression)
무반응의 환자가 무호흡을 하거나 가쁜 호흡(gasps)을 한다면 ‘보고, 듣고, 느끼고’의 호흡 확인은 시행하지않고 흉부 압박의 과정으로 넘어간다.
㈀인공순환의 목적
: 심정지 환자의 적절한 뇌혈류와 관상동맥혈류의 유지. 뇌혈류의 유지는 소생과 뇌 손상의 정도를 결 정하고, 관상동맥혈류량은 심박동의 회복과 관련이 있다.
㈁환자의 자세
: 환자를 통나무 굴리기(Log roll) 방법을 사용하여 딱딱하고 평평한 바닥에 반듯이 눕힌다. 환자를 앙 와위(supine position)로 눕힌 후,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압박 위치의 결정
: 흉골의 중간 아랫부분으로, 하 흉골각(infrasternal notch)으로부터 2횡지 정도 거리의 흉골 위를 압 박한다. (양쪽 유두를 연결한 선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 소아의 경우, 유두 가상선과 흉골 교차점 보 다 손가락 하나의 넓이만큼 아랫부분을 압박한다.
압박 시
자세
⦁구조자의 상체를 압박부위의 바로 위쪽에 위치시키고 양 팔꿈치를 곧게 펴서 어깨, 손목, 팔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체중을 실어 압박. 구조자의 손가락이 환자의 가슴에 닿지 않도록 하여 흉골 및 늑골의 골절, 심낭과 흉강 출혈 등의 합병증을 예방한다.
⦁소아의 경우 두 손가락으로 하며 구조자가 2인이면 두 손으로 환자의 가슴 감싼 후 양손의 엄지로 압박. 체구가 크면 손바닥으로 압박.
압박의
깊이
⦁성인 : 최소 2인치 (약 5cm)
⦁유아, 아동 : 흉부전후직경의 최소 1/3 (유아 : 약 4cm, 아동 :약 5cm)
압박의 속도
분당 최소 100회. 압박수축기와 이완기의 비율은 50:50.
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
⦁만 1세 이상의 환자의 경우 흉부압박:인공호흡 비는 30:2
⦁구조자 2인이 아동, 유아에게 시행 시 15:2
⦁신생아의 경우 3:1. 2인 구조자이고 심정지의 병인이 심장일 경우 15:2
㈃압박 방법
③기도 유지 (Airway)
무의

환자
하악거상법
(head tilt-chin lift maneuver)
환자의 머리를 등 쪽으로 신전시키고 턱을 받쳐주는 방법. 구조자가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등쪽으로 밀고, 다른 손의 검지와 중지로 환자의 턱(하악골)을 받친다. (단, 턱 주위의 연조직을 압박하면 기도가 폐쇄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삼중기도
조작
(triple airway maneuver)
하악전굴법(jaw-thrust maneuver), 두부후굴법(head-tiltmaneuver)을 동시에 시행하면서 엄지손가락으로 환자의 입을 벌리는 방법. 하악전굴법은 환자의 머리 쪽에서 두 손으로 하악골 각을 받쳐 하악골이 앞쪽으로 밀려나오도록 하는 것이다. 경추손상 의심 환자에게는 하악전굴법만을 시행한다.
이물
질에
의한
폐쇄
하임리히법
(Heimlich
maneuver)
영아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게 사용되는 방법으로, 횡격막을 급격히 상승시켜 기도 내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물질이 나오게 한다.
흉곽압박법
(chest
thrust)
임산부, 비만으로 하임리히법이 불가한 경우 적용한다. 환자의 등쪽에서 환자의 가슴을 감싸안고, 한 손의 주먹을 환자의 흉골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강하게 뒤쪽으로 압박한다. 소아는 거꾸로 들고 등을 두드린다.
⦁무의식 환자는 혀와 인두를 구성하는 근육의 이완, 비강 충혈 및 분비물 등에 의하여 기도가 폐쇄되며, 연구개와 후두개가 판막의 역할을 하여 들숨, 날숨 시에 폐쇄되기도 한다.

⦁구강인두 삽관을 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삽관 후에는 기관 내 튜브의 위치가 적절한지 평가하여 튜브가 식도로 잘못 삽관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지속적인 정량적 파형 카프노그래피는 기관내 삽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심정지 전후 시기 동안의 카프노그래피의 지속적 사용이 권장된다.

④인공호흡 (Breathing)
구강 대 구강
응급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호흡보조법이다. 두부후굴-하악거상법으로 기도 유지 후, 공기가 새지 않도록 구조자의 입을 환자의 입에 밀착시켜 공기를 불어 넣는다. 가시적 흉부상승이 있는지 확인한다.
구강 대 비강
입을 열 수 없거나 구강 폐쇄 환자, 심한 구강 내 손상, 이물질에 의한 구강폐쇄의 경우 시행한다.
구강 대 절개구
기관절개술 환자에게 절개구를 통하여 인공호흡을 시행한다. 환자의 절개구에 입을 밀착시켜 공기를 불어넣는다.
구강 대 마스크
인공호흡에 의한 전염질환 감염의 위험이 없고, 고농도의 산소가 포함된 인공호흡을 시행할 수 있다.
백-마스크
두 명의 구조자가 있는 경우 시행하는데, 한 명의 구조자는 환자의 머리 쪽에서 마스크를 얼굴에 밀착시키고 다른 한 명은 백을 누른다.
⦁인공호흡 시 20cm H₂O 이상의 압력으로 시행하면 환자의 위로 공기가 주입되어 위 팽만, 역류, 구토를 초래하므로 낮은 압력으로 시행해야 한다. 위 확장 방지와 인공호흡 시의 역류 및 흡인을 방지하는 방법인 ‘윤상연골 압박(cricoid pressure)’은 권장되지 않는다. 이는 전문 기도 확보를 지체시킬 위험이 있으며, 위 방법 적용 후에도 흡인이 발생할 수 있다.
⦁인공호흡을 시행하면서 흉곽을 관찰하고 양측 흉부에서 호흡음을 청진하며 적절한 삽관이 이루어져 인공호흡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환자의 고개를 옆으로 돌리고 턱은 들어올려 기도 개방 시키면서 산소를 공급한다. 실제로는 환자의 흉부를 관찰하면서 흉부가 부풀어오르는 정도의 폐환기량을 유지한다. 6~8초마다 인공호흡 1회(분당 호흡 8~10회), 호흡당 약 1초의 속도로 시행한다.
⑤약물 요법
순환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경동맥, 대퇴동맥의 맥박을 촉지하거나 심초음파, 호기말 이산화탄소압(PETco2) 을 측정한다. 2개의 정맥주사 라인을 확보하여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정맥 내 혈장을 증가시킨다. epinephrine, vasopressin 등의 약물을 투여하면서 심전도를 분석한다. 단, atropine은 무맥성전기활성/무수축성 (무맥성 심정지) 관리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epinephrine
교감신경 자극으로 말초혈관 수축하여 관상동맥 및 뇌관류압 증가. 3~5분마다 1mg 투여
vasopressin
혈관의 평활근 수축시켜 말초형관저항을 증가시켜 관상동맥 관류압, 뇌혈류량 및 뇌로의 산소공급을 증가시킴. 심실세동에 쓰임.
epinephrine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투여량을 40단위로 대체 가능.
amiodarone
항부정맥제로 심실세동, 심실빈맥에 사용됨. 첫 번째 투여량은 300mg bolus, 두 번째 투여량은 150mg.


⑥심폐소생술 중 환자의 재평가
혈액순환 회복 증후가 관찰되는지 10초간 확인하고, 호흡 회복을 사정한다. 호흡 회복 시 환자를 회복자세로 취해주고, 혈액순환은 회복되었으나 호흡은 회복이 안 되었을 경우 인공호흡을 지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