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

 1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1
 2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2
 3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3
 4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4
 5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5
 6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6
 7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7
 8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8
 9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9
 10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10
 11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11
 12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12
 13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13
 14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14
 15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일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역사 교과서 왜곡 파동과 한일 관계
제 1 차 교과서 파동과 한일 관계
제 2 차 교과서 파동과 한일 관계
제 3 차 교과서 파동과 한일 관계
제 4 차 교과서 파동과 한일 관계
제 5 차 교과서 파동과 한일 관계
제 3 장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구조적 배경
제 1 절 천황 존치
제 2 절 주어진 헌법
제 3 절 불완전한 재판
제 4 절 지속적인 개혁의 실패
제 4 장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직접적 원인
제 1 절 일본 사회의 우경화 현상
제 2 절 교과서 검정 제도의 문제점
제 3 절 교과서와 국민의 인식
제 5 장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제3차 교과서 파동(1986)과 한일 관계

제 3차 파동은 ‘신편 일본사’ 교과서의 내용에서 비롯되었다. ‘신편 일본사’에는 과거 침략 행위를 부정하고, 이를 합리화 하여 일본 민족의 우월사상을 강조하였다. 동시에 아시아 민족들을 멸시하는 내용들을 담고 있어 아시아인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이 때 발생한 문부상 후지오 마사유키의 망언은 국제여론을 더 들끓게 만들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성의 있는 시정조치를 강력하게 촉구하였으며, 구체적인 시정안을 작성하여 일본에 전달하였다. 후지오 마사유키는 1986년 7월, 10월, 11월에 걸쳐 잇따라 망언을 하였고, 일본 정부는 결국 문무상의 파면을 지시했다. 또한 문제가 된 교과서를 수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일단락 지었다.
세계적인 차원에서 냉전적 국제질서가 해체되는 1990년대 들어 상황은 변화하기 시작했다. 한국은 1987년 정치적 민주화를 달성하였고, 경제규모를 더욱 확대하여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달성하였다. 이제 일본과의 역사문제에도 관심을 둘 수 있는 여유가 생긴 것이다.
새로운 사회적 흐름은 민간 차원에서 처음으로 두 나라의 역사교과의 내용을 공통으로 검토하는 연구활동을 가능하게 했다. 1991년부터 1993년 사이에 한국 측의 ‘국제교과서 문제연구소’와 일본 측의 ‘일한역사교과서 연구회’가 모두 네 차례 심포지엄을 열고 근대 한일관계사에 관한 교과서 서술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토론 과정에서 많은 논의가 오고 가면서 한일 간에 다른 역사인식이 무엇인지 명확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학문적 쟁점과 더불어 어떻게 협력할 것인가를 둘러싸고도 많은 논의가 있었다. 한일 간 공통의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문제는 두 나라 사이의 미묘하고도 복잡한 정치적 현안과 더불어 교육제도의 차이 등으로 성공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1945년 이후 처음으로 두 나라 역사교과서를 공동 연구했다는 데 의미가 있었다.
이 때를 기점으로 두 나라 역사교육 관계자 사이에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었고, 그 중 일부는 지금도 한일간 역사대화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2007년 3월에
참고문헌
참고 문헌

국제이해교육의 개념/ 서종문 / 유네스코 국제이해교육 연구회 / 2007
독도문제의 학제적 연구 / 배진수 외 6명 / 동북아 역사 재단 / 2009
동아시아 역사교과서의 주변국 인식 / 11 / 연민수 / 동북아역사재단 / 2008
미래를 여는 역사 : 한중일이 함께 만든 동아시아 3국의 근현대사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 위원회 / 한겨레신문사 / 2005
세계의 교과서 한국을 말하다 / 이길상 / 푸른숲 / 2009
'역사교과서 문제'를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내셔널리즘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주요 일간지 사설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박수옥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2006
역사교과서의 대화 / コンドウ, タカヒロ, 1963- / 역사비평사 / 2006
역사인식 논쟁 / 15 / タカハシ, テツヤ / 동북아역사재단 / 2009
일본 우경화의 동향과 교과서의 역사왜곡 :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지원세력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 유상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2005
일본인의 전쟁관과 한일관계 :여론조사를 중심으로 /이상훈 2007 日本硏究. 제33호 (2007년 9월), pp.7-28 韓國外國語大學校 日本硏究所
우리역사 독도 / 호사카 유지 / 책문 / 2009
일본의 교과서 검정제도 / 박은 / 한국외대 교육 대학원 역사교육전공 / 1992
일제강점기 교과서 연구의 대상과 방법 / 허재영 / 경진 출판사 / 2009
패배를 껴안고 :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 Dower, John W., 1938- / 민음사 / 2009
한중일 3국의 근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 김한종 외 6명 / 고구려 연구재단
한중일의 역사와 미래를 말한다 / 김용문,진순신 / 문학사상사 / 2000


외교통상부 동북아 1과 일본 역사 왜곡 교과서 대책반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한국 관련 내용 수정 요구 자료" 2001
다카하시 데쓰야, 「역사인식논쟁」, 동북아역사재단, 2009
팔크 핑엘, 「교육을 통한 갈등 극복과 상호 이해의 촉진 : 국제교과서 개정과 화해의 기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