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

 1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
 2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2
 3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3
 4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4
 5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5
 6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6
 7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7
 8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8
 9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9
 10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0
 11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1
 12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2
 13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3
 14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4
 15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5
 16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6
 17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7
 18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8
 19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19
 20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문화컨텐츠] 허리띠 양식과 북방 기원설 극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허리띠 양식에 대한 잘못된 생각
2. 북방계통론 검토
3. 가죽과 직물의 요대
4. 대구와 교구
5. 과대와 패식
6. 닫는 글
본문내용
복식사가 전반적으로 북방 계통이라는 견해가 多
→ ‘대’ 역시 북방민족 고습 계통으로 봄.

현재의 ‘대’는 장식용 성격이 짙음.

고대의 ‘대’
☞ 단순한 장식 뿐 아니라 신분까지도 나타냄.

고구려, 신라에서 ‘대’를 중요하게 여겼다고 볼 수 있는
벽화가 있음.
☞ 따라서 우리나라 복식에 있어 ‘대’는 중요한 성격을
지님.
◇ 북방 계통이라는 견해

“요대가 ‘고습민족의 경우 필요 불가결한 복식요소인데,
대가 혁대였다가 농경사회에 정착하면서 포제로 바뀌었을 것이다.”

“중국학자 왕우청의 고습에 대한 견해를 들어
‘고구려 복식에서 보이는 대가 고습의 특징과 같다’고 함.”

“중국식의 대대(大帶)와는 달리 호복제(胡服)의 혁대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후에 포백대로 돼서도 매듭을 짧게 매는
형식을 취해 활동하기 편리하게 했다.”

“고고학 연구자들은 ‘과대와 요패는 본래 기마 유목민들의
풍속이었던 것이 중국으로 들어온 것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직접 또는 간접으로 그러한 것을 배운 모양이라고 주장.”

☞ 위의 주장들은 모순.
◇ 반박 견해

- 고조선은 건국 당시 이미 농경사회에 진입.
☞ 따라서 고대 한민족을 유목민족으로 보는 것은 잘못.

고조선 시대에 이미 높은 수준의 다양한 직물들과 높은 수준의
청동 가공 기술 보유.
☞따라서 재료가 가죽에서 직물로 바뀌었다는 견해는
성립할 수 없음.

- 고조선은 초기부터 복식의 재료로써 가죽과 직물 및 금속 재료
들을 병행하여 사용했음이 문헌자료와 고고학의 출토 자료
로써 확인 됨.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