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1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
 2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2
 3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3
 4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4
 5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5
 6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6
 7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7
 8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8
 9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9
 10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0
 11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1
 12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2
 13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3
 14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4
 15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5
 16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6
 17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7
 18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8
 19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19
 20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온라인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론: 문제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및 관련 문헌 고찰

1) 상호작용성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1) 상호작용성

(2) 상호작용의 인지적 효과

(3) 상호작용의 정서적 효과

(4) 상호작용성의 부작용

2) 상호작용성의 행위적 측면

3. 연구문제 및 가설

4. 연구방법

1) 연구방법과 실험설계


2) 척도의 구성

(1) 인지적 효과

(2) 정서적 효과

3) 피험자 선정

4) 실험과정

5. 연구결과

1) 일반 온라인 신문과 인터랙티브 뉴스의 인지적 효과 차이 분석

2) 일반 온라인 신문과 인터랙티브 뉴스의 정서적 효과 차이 분석

3) 세대별 온라인 신문과 인터랙티브 뉴스의 인지적 효과 차이 분석

4) 인터넷 사용시간별 일반 온라인 신문과 인터랙티브 뉴스의 인지적 효과 차이 분석

5) 온라인 신문 사용시간별 일반 온라인 신문과 인터랙티브 뉴스의 인지적 효과 차이 분석

6) 주관적 컴퓨터 능숙도와 인지적 효과의 관계 분석

6. 논의 및 제언




본문내용
3. 연구문제 및 가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조사에서 나타난 바를 반영하여 중앙일보의 ‘인터랙티브 뉴스’의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상호작용성이 인지적으로,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중앙일보의 ‘인터랙티브 뉴스’의 이용자들은 인지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일반 온라인 뉴스 수용자들에 비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낼 것이라는 것을 연구문제로 가설을 세워보았다.

[가설1] 인터랙티브 뉴스 이용자는 일반 온라인 뉴스 수용자에 비해 기사 내용에 대해 더 효과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것이다.

[가설2] 인터랙티브 뉴스 이용자는 일반 온라인 뉴스 수용자에 비해 뉴스에 대해 더 긍정적인 정서 반응을 보일 것이다.

[가설1]과 [가설2]의 경우에는 인터랙티브 뉴스 이용자와 뉴스 수용자의 전반적인 인지적, 정서적인 반응을 검증하는 것이다. 하지만 뉴스 수용자들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결과가 될 것이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미디어 이용 양상 등을 기준으로 수용자를 구분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나이에 따라서, 그리고 미디어 이용 양상 중 인터넷 매체의 사용량, 온라인 뉴스 이용시간에 따라서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오프라인의 종이신문에 더 익숙한 세대와 온라인 신문에 더 익숙한 젊은 세대의 차이는 인터랙티브 뉴스와 일반 온라인 뉴스에서 인지적으로 차이를 보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종이 신문은 일방적으로 정보를 수용하는 차원의 읽기를 요구한다면, 온라인 신문은 종이신문에 비해 상호작용의 기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온라인 신문에 익숙한 젊은 세대가 인터랙티브 뉴스에서도 더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고 예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 중사용자는 경사용자에 비해 상호작용적 매커니즘에 익숙하고 클릭하는 등의 행위에 보다 빈번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인터랙티브 뉴스에서 더 효과적으로 반응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인터넷 사용 중 온라인 뉴스를 이용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사람이 인터랙티브 뉴스에서 더 효과적으로 반응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클릭하는 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앞서 상호작용의 행위적 측면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인지적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예상과 사전조사를 배경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도출되었다.

[가설3] 젊은 세대는 인터랙티브 뉴스에서 중년의 세대보다 더 효과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참고문헌


권희정(1998). 웹 광고 효과에 미치는 상호작용성의효과. 󰡔한국언론학보󰡕, 42권3호, 38∼65.
김소영ㆍ주영혁(2001). 지각된 상호 작용성과 웹 사이트 충성도에 관한 연구: 매개 변수로서 플로우(flow)의 역할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2권4호, 185∼208.
김은미·임소혜·함선혜(2008). 웹페이지의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관여도가 정보처리와 정서적 반응에 끼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Vol.52, No.4, 250~277.
김재영(2001). 인터넷 뉴스사이트 유형별 비교분석 : 상호작용성과 정보형태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Vol.16, No.3, 136~167.
김철호(2007). 상호작용성과 컨텐츠로서의 웹정보에 대한 상황적 관여도가 웹 기반 정보 회상과 정보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18권3호, 199∼227.
박연성·심지미(2006).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성이 관계몰입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논총」, Vol.24, No.1, 19~46.
윤상현(2000). 󰡔관여수준에따른인터넷광고효과에관한연구: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경영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최환진(2000). 웹사이트의상호작용성을중심으로본인터넷광고의효과과정. 󰡔광고연구󰡕, 제47호, 61∼89.
Andersen, P. B. (1997). A theory of computer semio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iely, D. (2000). Controlling the information flow: Effects on consumers’ decision making and preferen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7, 233∼248.
Bucy, E. P. (2004a). Interactivity in society: Locating an elusive concept. The Information Society, 20, 375∼385.
Eveland, W. P. Jr., & S. Dunwoody (2002). An investigation of elaboration and selective scanning as mediators of learning from the Web versus print.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6(1), 34∼53.
Everett, A. (2003). Digitextuality and click theory: Theses on convergence media in the digital age. New Media: Theories and Practices of Digitextuality. Anna Everett & John Caldwell (eds.), NY and London: Routledge, 2003. 1∼28.
Ha, L., & E. L. James (1998). Interactivity Reexamined: A Baseline Analysis of Early Business Web Sites.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2, 457∼74.
Karson, E. J., & P. K. Korgaonkar (2001),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internet advertising and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23(2), 53∼72.
Liu, Y. (2003). Developing a scale to measure the interactivity of websit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June, 207∼216.
McMillan, S. J., & Downes, E. J. (1998). Interactivity: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definitions and models. Paper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Baltimore, MD.
Morris, M., & C. Ogan (1996). The internet as mass medium, Journal of Communication 46(1), 39∼50.
Newhagan & Rafaeli, 1996;
Nilsson, L. (2000). Remembering actions and words. In The Oxford handbook of memory, E. Tulving, & F. I. M Criak (eds.), 137∼148. NY : Oxford University Press.
Sicilia, M., S. Ruiz, & J. L. Munuera (2005). Effects of interactivity in a Web site: The moderating effect of need for cognition. Journal of Advertising, 34(3), 31∼44.
Sundar, S. S., Kalyanaraman, S., & Brown, J. (2003). Explicating website interactivity: Impression formation effects in political campaign sites. Communication Research, 30, 30∼59.
Tremayne. M., & S. Dunwoody (2001). Interactivity, information processing and learning on the World Wide Web. Science Communication, 23(2), 111∼134.∼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