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백자와 선비문화

 1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
 2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2
 3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3
 4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4
 5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5
 6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6
 7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7
 8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8
 9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9
 10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0
 11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1
 12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2
 13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3
 14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4
 15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5
 16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6
 17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7
 18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8
 19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19
 20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 백자와 선비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Ⅱ. 선비문화
1. 선비란 무엇인가
2. 선비의 삶
1) 선비의 교육
2) 선비의 정신
3) ‘의(義)’를 바탕으로 한 선비 사상
4) 선비의 하루와 일생
3. 선비 문화
1) 풍류를 즐기는 선비의 삶
2) 선비와 육예(六藝)
Ⅲ. 백 자
1. 백자의 유행
1) 백자의 수용
2) 백자의 확산
2. 성리학의 흐름과 백자의 변화
1) 백자에 반영된 성리학 사상
2) 시대흐름에 따른 백자의 변화
① 15~16세기
② 17세기
③ 18세기
④ 19세기
Ⅳ. 결 론
참고문헌
그림자료
본문내용

3. 선비 문화

1) 풍류를 즐기는 선비의 삶

조선 선비의 길이 오로지 인내와 고행의 연속이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들에게도 오락이 있었고 낭만이 있었다. 그들은 사랑채[그림1]라는 독자적인 생활공간을 보장받았다. 사랑채는 선비가 학문에 침잠할 수 있고 뜻이 맞는 벗과 교류할 수 있는 문화적 생활공간으로서, 대체로 간결하고 담백한 품위를 유지했다. 실용적인 목가구로 문방사우(文房四友)를 아우르고 선비 정신의 발로인 백자(白磁)로 생활 기구를 삼는 이 공간에서 묻어나는 것은 은은한 묵향이었다. 마음에 맞는 벗과 시를 읊고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쓰는 것은 간결하고 담백한 선비의 사랑방 기품이나 다를 바가 없었던 것이다.
조선 선비 풍류 생활의 기본자세는 학문과 예술을 일치하려는 학예일치(學藝一致)정신에서 나왔다. 학문적으로는 문(文)사(史)철(哲)을 전공 필수로 하여 이성을 체득하였다. 예술적으로는 시(詩),서(書),화(畵)[그림2]를 교양 필수로 하여 감성을 길렀다. 이렇게 학문과 예술을 체질화한 자, 즉 이성과 감성이 균형 있게 잘 조화된 인격체가 조선 왕조가 설정한 학예 일치의 이상 인간형이었다. 선비들은 그림이나 글씨를 손끝의 잔재주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독서를 통해 문자향(文字香:글에서 나오는 향기)과 서권기(書卷氣:책에서 나오는 기운)가 가슴속에 쌓여서 흘러 넘쳐야 비로소 좋은 그림과 좋은 글씨가 나온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인식은 글을 쓰는 기본자세인 도문일치론(道文一致論) 성리학을 국시로 하는 조선왕조에서는 도(道, 학문)와 문(文, 文章 내지 詞章)이 일치되어야 한다는 도문일치론이 송의 문학사조를 그대로 반영되어 주도적인 문학이론이 되었다.
과 같다. 문장이란 화려한 수식의 나열이 아니라 도(道)를 표현하는 매체이므로 도(道)와 문장은 일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2) 선비와 육예(六藝)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