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

 1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
 2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2
 3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3
 4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4
 5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5
 6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6
 7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7
 8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8
 9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9
 10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0
 11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1
 12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2
 13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3
 14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4
 15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5
 16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6
 17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7
 18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8
 19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19
 20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문법] 부정문, 부정(不定)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부정문의 정의

2. 부정문의 분류와 재정의
2.1. 수사 의문문
2.2. 이중 부정문
2.3. 부정 접두
2.4. 부정 낱말
2.5. 회의문과 확인문
2.6. ‘-잖니’
2.7. ‘없-’, ‘모르-’
2.8. 부정문의 재정의

3. 부정문의 유형 Ⅰ
3.1. 장·단형 부정문의 정의
3.2. 장·단형 부정문의 차이
3.2.1. 이원론적 입장
3.2.2. 일원론적 입장






4. 부정문의 유형 Ⅱ
4.1. ‘안’ 부정문
4.2. ‘못’ 부정문
4.3. ‘말다’ 부정문

5. 부정의 영역
5.1. 초점과 강세
5.2. 내포문의 부정 서술어
5.3. 부정문의 중의성
5.4. 절, 부사어와 부정문의
연관 관계
5.5. 부정문과 담화전제

6. 그 밖의 논의들
6.1. 부정 극어
6.2. 부정소의 옮김

※ 참고문헌

본문내용
4.2. ‘못’ 부정문

‘못’ 부정문은 외부의 원인, 혹은 능력의 부정으로 인해 그 행위가 일어나지 못하는 것을 표현할 때 쓰인다. ‘능력 부정’ 또는 ‘타의 부정’이라고도 한다.

(28) 가. 나는 이 짐이 너무 무거워 못 들겠다.
나. *나는 그녀를 못 만나고 싶다.
다. *나는 그 일을 후회하지 못했다.

‘못’ 부정문은 동사가 서술어일 때 쓰인다. 하지만 모든 동사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의도는 있지만 능력이 부족하거나 외부의 환경이 적절치 않아 일어나지 않은 일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28가)는 가능하지만, (28나, 다)처럼 의도를 나타내는 표현 또는 능력만 있다면 피하고 싶은 상황과 ‘못’은 어울리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의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는 ‘-려고’, ‘-고자’, ‘-고 싶-’ 등이 있으며 피하고 싶은 의미를 가진 동사로는 ‘실패하다’, ‘후회하다’, ‘걱정하다’, ‘당하다’ 등이 있다.

(29) 가. *길이 못 넓다
나. *그 아이는 못 똑똑하다.
다. 그 아이는 똑똑하지 못하다.

한편 ‘못’ 부정문은 동작주의 능력을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문장 내에서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우에는 거의 어울리지 못한다. 다만 (29다)와 같이 일부 장형 부정문의 형식에서는 형용사를 서술어로 하는 ‘못’ 부정문이 쓰이기도 하는데, 이때 형용사는 능력 부정의 의미 특성 보다는 대상의 기대 또는 기준에 미치는 못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형용사로는 ‘만족하다’, ‘우수하다’, ‘똑똑하다’, ‘좋다’ 등이 있다.


4.2.1. ‘못’의 의미

‘못’은 상태동사와 쓰일 때엔 ‘타의 부정’이라고 하기 힘든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해 여러 논의가 있었다. 박순함(1967)은 상태동사에 쓰인 ‘못’을 ‘강조부정’의 뜻을 갖는다고 하였는데 이는 ‘못’에 의미를 부
참고문헌
※참고문헌


고영근·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박정규(2002), 『국어 부정문의 체계적 연구』, 보고사
서정수(2006), 『국어문법』, 한세본
남기심(2001, 『현대 국어 통사론』, 태학사
임홍빈(1998), 『국어 문법의 심층』(제3권), 태학사
이관규(2007), 『학교문법론』, 월인
김동식(1981), 「부정 아닌 부정」, 한국언어학회
홍종선(1980), 「國語 否定法의 變遷硏究」, 고려대학교
이세영(2001), 「‘말다‘구성 연구」, 동아대학교
이영헌(1979), 「국어부정법의 통어적 특성」, 外國文化硏究
박순함(1967), 「A transformational Analysis of Negation in Korean」, Michigen University.
이홍배(1970), 「On Negation in Korean」, 語学硏究
송석중(1967), 「「부정의 양상」의 부정적 양상」, 國語学
김종록(1993), 「국어 접속문 구성에서의 부정법」, 한국어문학회
김영욱(1986), 「국어 부정문의 유형」, 서울대사대선청어문
시정곤(1997), 「국어의 부정극어 허가조건」, 한국언어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