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

 1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
 2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2
 3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3
 4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4
 5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5
 6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6
 7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7
 8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8
 9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9
 10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0
 11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1
 12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2
 13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3
 14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4
 15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5
 16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6
 17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7
 18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8
 19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19
 20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의 배경 모티프
1) 설화기원설
2) 무가기원설

2. 의 연행방식 및 문체적 특징

3. 의 극적 구성과 음악적 짜임새

4. 의 주제

5. 현대적 재해석
1) 춘향과 몽룡은 왜 동년 동월 동일생이며, 부처님 오신 날에 태어났 을까?
2) 성춘향은 과연 열녀일까?
3) 열녀 춘향이 아닌 열부 몽룡이 아닐까?
4) 월매는 딸을 판 기회주의자?

6. 현대적 활용양상
1) 패러디의 원인
2) 패러디의 유형 및 양상
3) ‘방자전’
4) ‘쾌걸춘향’
본문내용
4. 의 주제

춘향가의 전통적 주제는 열(烈)이다. 절개가 굳은 여자를 상징하는 춘향은 이몽룡과의 신분을 뛰어넘는 사랑을 통해, 지고지순한 사랑을 보여준다. 하지만 또한 변사또에 대한 춘향의 저항에서 ‘상층 권력에 대한 하층의 저항’을 보여준다. 그리고 결말부에서는 양반부인이 되는 춘향의 신분 상승에서 하층의 신분 상승 의지를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조동일 조동일(1978),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우리 문학과의 만남』, 홍성사.
은 작품의 주제가 둘이라는 주장을 한다. 조동일은 ‘갈등에서 본 춘향전의 주제’라는 글에서, 춘향전에는 겉으로 드러난 주제와 함께 속에 감추어진 주제도 있다고 보고, 이를 표면적 주제와 이면적 주제로 분류하고, 춘향전의 갈등을 기생 아닌 춘향과 기생인 춘향의 구조로 본다. “기생의 딸이면, 급히 가 불너오너라.”,“내가 너를 기생으로 알음이 아니라 들으니 네가 글을 잘 한다기로 청하노라.”, “금석뇌약 맺으리라.”의 부분과 같이 춘향을 색정적으로 소유하기 위해서 기생 아닌 춘향을 인정한다. 또한 이별 대목에서도 이몽룡이 결국 신물을 내어주고, 다시 돌아오겠다고 태도를 변모하며, 기생 아닌 춘향이 승리한다. 춘향과 변학도의 갈등에서는 춘향의 항거는 개인적인 것이지만, “매질하던 집장 사령 매를 놓고, 내일부터 나가 빌어먹어도 이 짓은 못하겠다.” 라는 광대의 말을 통해 알 수 있듯, 춘향의 투쟁은 민중의 지지를 받으며 전개된다. 결국 춘향전은 기생 아닌 춘향이 승리하는 것으로 보고, 표면적 주제로는 ‘열녀의 교훈’이 드러나 있고, 이면적 주제로는 ‘신분적 제약에서 벗어난 인간적 해방을 이루자’는 주장이 나타나 있다고 본다.

이에 대해 정병설 이상택 외 (2005), 「한국 고전 소설의 세계」, 돌베개, p132.

역시 춘향가의 주제를 둘로 나누어 본다. 하나는 유교적 지배 질서로 들어가려는 구심적 운동이고, 다른 하나는 거기로부터 빠져나오는 원심적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주희(2000).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과 교육적 활용 :패러디 작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희(2000). 판소리 辭說의 판짜기 樣相와 機能 : 趙相賢 唱 판소리 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구 106(2000.7) pp.149-193.
박영산(2004).『춘향가』와 『소네자키신주(會根崎心中)』의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박찬익(2000). 춘향뎐 - 조상현 창본 춘향가-. 도서출판 깊은산.
반은경(2004), 「판소리계 소설의 주변 인물 연구 :열녀춘향수절가·심청전·흥부전·배비장전」,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5~77.
이상택 외 (2005), 「한국 고전 소설의 세계」, 돌베개, p132.
이영태 (2002).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불교적 내용에 관한 연구 : 신재효 본을 중심으로 . 中央大學校 大學院.
장성원(1999), 「춘향전에 나타난 인물의 형상과 갈등 양상 연구」, 강릉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2~69쪽.
조동일 (1978),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우리 문학과의 만남』, 홍성사.

판소리마당 - 문화관광 남원시청. 남원시국악연수원
방자전 http://www.bangja2010.co.kr
쾌걸춘향 http://www.kbs.co.kr/drama/qgi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