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

 1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1
 2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2
 3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3
 4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4
 5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5
 6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6
 7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7
 8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8
 9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9
 10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10
 11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11
 12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12
 13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13
 14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14
 15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15
 16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유학사] 화서(華西) 이항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화서의 생애
1. 초기 학문수학기(-21세)
2. 후기 학문수학기(22세-44세)
3. 저술, 강학과 구국활동기(45세-77세)
Ⅲ. 저술
Ⅳ. 철학사상
1. 理氣의 不雜과 主理的 인식방법
2. 心, 性, 情의 관계와 심통성정(心統性情)
3. 인심․도심(人心․道心)의 문제와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Ⅴ. 화서 이항로의 척사위정사상
1. 화이론적 의리론
2. 정사론正邪論과 서학의 윤리적 비판
3. 화이론과 서세의 거척拒斥
Ⅵ. 결론
Ⅶ. 참고자료
본문내용

Ⅳ. 화서 이항로의 철학사상

조선 후기에는 외형적으로 도학(주자학)의 정통이 유지되었으나, 이미 다양한 사상조류의 등장과 도전으로 사상적 다원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한말의 시기인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조선사회는 한층 더 격심한 사회적 혼란과 사상적 동요를 겪어야 했다. 이에 따라 도학에 대한 비판도 더욱 높은 수준으로, 더욱 다양한 양상으로 제기되고 있었으며, 한말 도학의 대응도 더욱 정밀하게 이론화되고 치열한 저항정신으로 무장되어 갔다. 바로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한말도학을 이끌어갔던 핵심적 인물의 한 사람인 華西 李恒老(1792~ 1868)는 정도인 유교를 옹위하고 사설(이단, 외세)을 물리친다는 ‘衛正斥邪’를 도학정신의 시대적 이념으로 표방하고, 그의 문하를 중심으로 화서학파를 형성하여 활동하였다. 강필선,『한국 철학 사상가 연구』(철학과 현실사, 2002), 355쪽
화서는 특이하게 기호학파의 학맥에 놓여 있으면서도 율곡을 비롯한 기호학통의 인물들을 모두 젖혀두고 우암을 끌어올려 주자에 직접 연결시키고 있는데, 이는 바로 그가 그의 핵심적 학풍인 위정척사의 의리론적 인식을 우암과 주자에서 찾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화서가 호락논쟁의 어느 한 쪽으로도 기울어지지 않은 것은 화서학파의 형이상학이 기호학파의 분파적 배경을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종합하고 지양하는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화서 이항로의 철학 사상 중에서 그의 이기론의 특징과 그가 이기를 어떤 식으로 인식했는지 알아보고, 심성정의 관계와 심통성정, 그리고 인심 도심의 문제와 인물성동이(同異)문제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理氣의 不雜과 主理的 인식방법

참고문헌
Ⅶ. 참고문헌
이항로,『華西集』
이항로,『華西文集』
이항로,『華西雅言』
오석원,『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금장태,『화서학파의 철학과 시대의식』(태학사, 2001)
유현종,『불멸의 횃불』(화서학회, 2010)
박성순,『조선후기 화서 이항로의 위정척사사상』(경인문화사, 2003)
강필선,『한국 철학 사상가 연구』(철학과 현실사, 2002)
장삼현,『화서학파의 척사사상연구』(화서학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