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

 1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1
 2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2
 3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3
 4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4
 5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5
 6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6
 7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7
 8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8
 9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9
 10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10
 11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11
 12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12
 13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13
 14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14
 15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15
 16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16
 17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론] 서정주와 화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들어가며

2. 서정주와 『화사』소개
2.1 서정주 시인 소개
2.2 서정주의 『화사』에 대한 보통의 평가
2.3 『화사』의 매체적 특징

3. 자전적 텍스트 「나의 방랑기」와 「속 나의 방랑기」를 바탕으로 한 시 해석
3.1 [자화상] 속 ‘자화상’
3.2 [화사] 속 ‘화사’, ‘문둥이’
3.3 [노래]와 [문] 속 ‘수대동시’, ‘벽’, ‘부활’: 욕망의 분출을 넘어서, 방랑을 극복하기까지의 과정

4. 『화사』의 통합적 의의와 구조적 특징에 대한 본 조의 해석
4.1 『화사』의 통합적 구조
4.2 구조적 특징에 대한 우리 조의 해석
4.2.2 표지의 ‘붉은 사과를 문 뱀’ 그림이 상징하는 바
4.2.3 시집에 목차와 쪽 번호가 없는 이유

5. 결론
본문내용
3.2 〈자화상〉 에 나타나는 젊은 시인 서정주의 자화상

『화사』는 총 5개의 장과 발문(跋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화상」,「화사」,「노래」,「지귀도시」,「문」으로 이어지는 총 5개의 장은 각 장의 제목이 쓰여 진 페이지를 통해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가장 앞에 수록된「자화상」은 1)하나의 시가 하나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2)시의 제목이 적혀있지 않다는 점, 3)시를 쓴 시기와 작가의 나이를 주를 통해 명확히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뒤의 다른 시들과 다른 특이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 조는 「자화상」이 왜 이러한 특이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의문을 느끼었고, 「나의 방랑기」,「속 나의 방랑기」의 작가의 자전기록과 함께 시를 읽으면서 그 이유를 나름대로 생각해 보았다.

애비는 종이었다. 밤이기퍼도 오지않었다.
파뿌리같이 늙은할머니와 대추꽃이 한주 서있을뿐이었다.
어매는 달을두고 풋살구가 꼭 하나만 먹고싶다하였으나… 흙으로 바람벽한 호롱불밑에 손톱이 깜한 에미의아들.
甲午年이라든가 바다에 나가서는 도라오지않는다 하는 外할아버지의 숯많은 머리털과 그 크다란 눈이 나는 닮었다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八割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가도 부끄럽기만하드라
어떤이는 내눈에서 罪人을 읽고가고
어떤이는 내입에서 天痴를 읽고가나
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진 않을란다.

찰란히 티워오는 어느아침에도
이마우에 언친 時의 이슬에는
멫방울의 피가 언제나 서껴있어
볓이거나 그늘이거나 혗바닥 느러트린
병든 숫개만양 헐덕어리며 나는 왔다.

註. 此一篇昭和十二年丁丑歲仲秋作. 作者時年二十三也

실제로 시집에는 제목이 실려 있지 않기 때문에 위에 실은 시에도 제목을 삽입하지 않았다. 시 전체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애비는 종이었다”이다. 상당히 도발적이고 충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승종, 「현대문학 : 사향의 질곡과 박하의 윤리 -미당 서정주의「화사(花蛇)」론-」, 『우리어문연구』33호, 우리어문학회, 2009.
박성현, 「현대문학 : 『화사집』에 나타난 "도시"의 담론 연구」,『겨레어문학』38호, 겨레어문학회, 2007.
방민호 외, 『시를 써야 시가 되느니라(젊은 시와 함께하는 서정주 시작법)』, 예옥, 2007.
서정주, 「나의방랑기」, 『인문평론』, 1940.
서정주, 「속 나의방랑기」, 『인문평론』, 1940.
서재길, 「『화사집』에 나타난 시인의 초상」, 『관악어문연구』27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2.
오영식, 「『花蛇集』의 正體 - 100부 한정판의 虛實」,『근대서지』 제1호 , 소명출판, 2010.
이상오, 「서정주의 시의 보들레르 수용 - 영원성의 상징과 의미를 중심으로」, 『인문과학』38호,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이희중, 「현대문학 : 『화사집』의 다중진술 연구」, 『한국언어문학』50호, 한국언어문학회, 2003.
임현순, 「서정주 시의 상징성 연구 - 보들레르 시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비교문학』28호, 한국비교문학회, 2002.
정영진, 서정주 자전적 텍스트와 『화사집』의 관계 연구, 인하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