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

 1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
 2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2
 3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3
 4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4
 5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5
 6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6
 7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7
 8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8
 9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9
 10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0
 11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1
 12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2
 13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3
 14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4
 15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5
 16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6
 17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7
 18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8
 19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19
 20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강원도,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주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상북도 경상남도 방언, 평안도,전라도 방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강원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Ⅱ. 함경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1. 음운
1) 음운체계
2) 음운 현상
2. 문법
1) 형태론적 특징
2) 통사적 특징
3) 어휘

Ⅲ. 경기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1. 음운론적 특성
1) 음운체계
2) 음운현상
2. 문법론적 특성
3. 어휘의 의미적 특성

Ⅳ. 제주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1. 제주 방언의 어미
1) 선어말 어미
2) 어말어미
3) 연결어미
4) 종결어미
2. 제주 방언의 격조사
1) 주격조사
2) 여격조사
3) 처격/방위격조사
4) 공동격조사
5) 비교격조사
6) 접속조사
7) 그 밖의 보조사들

Ⅴ. 경상북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Ⅵ. 경상남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1. 입천장소리되기로 인해 바뀐 어형
1) /ㄱ/입천장소리되기로 인해 바뀐 어형
2) /ㅎ/ 입천장소리되기로 인해 바뀐 어형
2. 자음의 간극동화로 인해 바뀐 어형
1) /ㄴ/의 간극동화로 인해 바뀐 어형
2) /ㄷ/의 간극동화로 인해 바뀐 어형
3. 전설모음화로 인해 바뀐 어형
1) /ㅡ/>/ㅣ/
2) /ㅜ/ > /ㅣ/

Ⅶ. 평안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1. 음운
1) 음운체계
2) 음운 현상
2. 활용
3. 문법 형태소
4. 어휘

Ⅷ. 전라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1. 같은 어원
2. 다른 어원
3. 중앙어에만 나타나는 토씨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강원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 정선지역 방언은 농경문화속의 생활용어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조사 대상 자료 중 학술, 학예 분야와 관련된 용어는 전무하다.
․ 현대어의 꾸준한 전국 표준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정선방언은 대다수가 아직까지 민중들 속에서 끊임없이 사용되고 있다.
․ 지역적, 인문적 특이성으로 인하여 구성원들의 실생활과 집단 내 사회 활동과정에서의 언어관습이 별다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는 언어의 무차별화 현상이 나타난다.
․ 명사형 접미사 "엥이, ~앵이"의 다양한 형태의 활용.
예) 고라댕이 → 골짜기, 나생이→ 냉이, 따뗑이 → 상처 등의 딱지
․ 각자의 단어에는 유성음이 적절히 녹아있어 바름이 매끄럽고 토속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한다.
․ 음두에 `ㄹ`로 시작하는 단어의 철저한 두음법칙 현상이 지켜진다.
․ 고어와 현대어의 과도기적 성격을 지닌다.
․ 순수국어가 많고 전체적으로 경음화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Ⅱ. 함경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흔히 함경남도의 영흥이남 지역(영흥‧고원‧문천‧안변)을 제외한, 함경남도 정평 이북의 함경도에서 말해지는 방언을 일컫는다. 학술적인 용어로는 흔히 동북 방언(東北方言)이라 한다.
함경도 방언권은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동해에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두만강과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 및 러시아와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험준한 낭림산맥을 경계로 평안도와 접하고 있다. 이에 비해 남쪽으로는 추가령지구곡을 따라 중부지역과의 왕래가 잦고, 또 태백산맥 동쪽으로는 강원도와 교류가 많은 편이다. 그밖에 평남과 함남의 고원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있으며, 북부의 함남 삼수군과 평북의 자성‧후창을 잇는 교통로가 압록강 연안으로 이어져 있다. 이러한 인문‧자연 지리적 요인으로 중앙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온 남부의 함남 안변‧문천‧고원‧영흥은 대체로 중부 방언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영흥이남 지역은 고려시대에는 동북 변경이었으며, 영흥 이북의 함경도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까지만 해도 여진족이 많이 거주하던 곳이었다. 또한, 함북 지방은 동북 변경의 주민이나
참고문헌
곽충구(1993), 함경도 방언의 친족명칭과 그 지리적 분화, 진단학보 76
이미재(1988), 언어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경기도 화성 방언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서울대
정승철(1995), 제주도방언의 통시음운론, 태학사
오종갑(1991), 전라도 방언의 자음 음운현상; 완판본 방각소설의 자료를 중심으로, 들메 서재극 박사 환갑기념논문집, 계명대출판부
정연찬(1975), 경상도 방언 성조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황대화(1986), 동해안방언연구―함북, 함남, 강원도의 일부 방언을 중심으로―, 평양 :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