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

 1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1
 2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2
 3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3
 4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4
 5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5
 6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6
 7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7
 8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8
 9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9
 10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10
 11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11
 12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12
 13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13
 14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14
 15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15
 16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화학공학]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복합재료 신규 사업 제안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현재 석유화학산업의 상황
1.2. 사업 선정 배경
1.3. 사업의 특성 및 목적

2. 신규사업 제안
2.1. 신기술 현황
2.1.1. 바이오에너지
2.1.1.1. 바이오에너지란
2.1.1.2. 해양 바이오매스
2.1.2. 바이오복합재료(biocomposite)
2.1.2.1. 바이오복합재료란?
2.1.2.2. 바이오복합재료의 기술동향
2.1.2.3. 바이오복합재료 응용
2.2. 해조류(algae)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연구와 복합제품개발 제안
2.2.1.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 소재
2.2.2. 해조류 섬유의 장점
2.2.3. 해조류의 이용가능 방향
2.2.4. 세계 각국의 해조류를 이용한 연구 동향
2.2.5. 유전자 변형된 바닷물 염생식물(앨지, algae)
2.3. 해조류(algae)산업의 현주소
2.3.1. OMEGA(Offshore Membrane Enclosures for Growing Algae) 프로젝트
2.3.2. NASA의 항공유
2.3.3. 자동차 내장재

3. 경제성 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1.1. 바이오복합재료(biocomposite)

1.1.1.1. 바이오복합재료란?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Reinforced Plastics, FRP)은 1908년에 개발된 페놀수지에 셀룰로오스 섬유를 첨가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어서 urea 수지, melamine 수지 등의 열경화성 물질에 적용되기도 하였으며 1940년대에 불포화 폴리에스터에 유리섬유를 함께 적용하면서 선박부품 낚시용품 및 일용품에도 FRP의 응용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연주용 기타, 스포츠용품, 자동차, 선방 등 각종 산업, 수송 및 스포츠/레저 분야로부터 초경량 비행기, 전자재료, 항공우주 및 국방소재 등 첨단 분야에 이르기까지 FRP 즉,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는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복합재료는 환경 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및 이에 따른 환경 규제의 강화와 함께 이러한 소재의 활용이 점점 제한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건축 산업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복합재료는 대부분 유리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고 있는데 유리섬유는 인체에 유해하며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 및 환경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최근 인체에 유해한 유리 섬유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는 바이오복합재료를 실용화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복합재료는 유리섬유 강화 고분자복합재료에 비해 약 30% 이상 경량이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에 적용될 경우, 연비 향상에 의한 에너지절약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천연섬유는 유리섬유와 달리 기계에 대한 마모율도 적고 가벼워서 제조공정에서도 80%의 생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천연섬유의 가격은 유리섬유의 약 1/4 정도이고 유리섬유(밀도: 2.55g/cm3)에 비해 가볍고 우수한 인성과 비강성(specific modulus)을 가진다. 따라서 바이오복합재료는 유리섬유 보강 고분자복합재료와 비교할 때 원재료 가격, 생산비용, 제품가격 면이 모두 저렴하며 BT와 ET 기술이 융합된 첨단신소재라고 할 수 있
참고문헌
1. 참고문헌

1. A. K. Mohanty, L.T. Drzal, D. Hokens, and M. Misra, Polym. Mater. Sci. Eng., 85, 594 (2001).
2. P. Wambua, J. Ivens, and I. Verpoest, Comp. Sci. Tech., 63, 1259 (2003).
3. S. V. Joshi, L. T. Drzal, A. K. Mohanty, and S. Arora, Composites Part A: Appl. Sci. Manufac., 35, 371 (2004).
4. T. Corbiere-Nicollier, B. G. Laban, L. Lundquist, Y. Leterrier, J. A. E. Manson, and O. Jolliet,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33, 267 (2001).
5. 10th European Conference on Composite Materials, Brugge, Belgium, June 3-7, 2002, ECOFINA: Ecoefficient Technologies and Products Based on Natural Fibre Composites, Debora Puglia, Jerico Biagiotti, and Jose M. Kenny, University of Perugia, Italy.
6. D. Cho, H. S. Lee, S. O. Han, and L. T. Drzal, Adv. Comp. Mater., 16, 315 (2007).
7. J. M. Seo, D. Cho, W. H. Park, S. O. Han, T. W. Hwang, C. H. Choi, S. J. Jung, and C. S. Lee, J. Biobased Mater. Bioener., 1, 331 (2007).
8. Y. H. Han, S. O. Han, D. Cho, and H.-I. Kim, Macromol. Res.,16, 253 (2008).
9. 한성옥, 미래선도기술이슈분석보고서.
10. 해양조류로부터 바이오 에너지 생산: 현황 및 전망, 박재일, 우희철, 이재화, 2008년 6월.
11.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소재, 한성옥, 2008년 12월.
12. 홍조류섬유보강 바이오복합재료의 이용, 이민우, 서영범, 2008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