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교육론] 전설

 1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
 2  [구비문학교육론] 전설-2
 3  [구비문학교육론] 전설-3
 4  [구비문학교육론] 전설-4
 5  [구비문학교육론] 전설-5
 6  [구비문학교육론] 전설-6
 7  [구비문학교육론] 전설-7
 8  [구비문학교육론] 전설-8
 9  [구비문학교육론] 전설-9
 10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0
 11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1
 12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2
 13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3
 14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4
 15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5
 16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6
 17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7
 18  [구비문학교육론] 전설-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교육론] 전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설이란 무엇인가?
2. 전설의 문체와 구조
1)전설의 문체
2)전설의 구조
3. 전설의 역사적 전개
1)삼국시대의 전설
2)고려시대의 전설
3)조선시대의 전설
4. 전설의 분류
5. 전설의 유형별 검토
1)지명․지형․마을형성 유래전설
2)광포전설
3)이인․고승전설
4)효자․열녀전설
5)원혼전설
6. 전설의 인간관 및 세계관
본문내용

3.2. 고려시대의 전설
고려 전기에는『구삼국사』, 『삼국사기』를 통해 전설이 역사서술의 자료로 적극 활용되었으며, 『삼국유사』를 통해 전설자료들이 상당수 문헌에 정착되었다. 문학적 수식이 풍부한 『수이전』은 역사인물과 관련한 기이한 경험을 다루고 있어 전설적 성격을 보여 주고 있으며, 고려후기에 출현한 시화집에는 인물전설에 해당되는 자료가 제법 나타나고 있다.
고려전기의 인물전설은 『고려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최응, 균여의 출생과 성장부분은 신화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고, 강감찬 전설은 후일 중국 사신에 의해 문곡성의 화신으로 인정되었다는 일화와 함께 도가적 면모를 강하게 보여 주고 있다. 또한 고려전기에 출현한 전설에는 풍수술의 수용과 정착을 알려주는 내용들이 뚜렷하여, 이후 막대한 양으로 전해지는 풍수설화의 연원을 이룬다. 민간전설의 양상은 먼저 보은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자라를 구해준 박세통의 후손이 3대 정승을 했다는 내용과 구해준 사슴이 잡아준 터에 묘를 쓰고 비범한 인물을 낳았다는 서신일 이야기는 당대적 특징을 드러내는 유형으로 보여 흥미가 있다.
한편 고려전기에 나타난 절혈전설은 외세에 유린당하는 민족적 현실을 탁월하게 형상화한 전설적 민족현실 인식의 구체적인 사례라 생각된다. 이 유형은 임란을 거치면서 이여송의 절혈행위로 말해지다가, 일제강점 이후에는 일본인에 의해 혈이 끊어진 것으로 변이되기도 한다.
고려후기가 되면서, 시화 및 잡록을 수록한 문헌들이 잇달아 편찬됨에 따라 지명 및 인물전설과 함께 단편적인 인물일화도 나타나기 시작한다. 또한 신유학의 수용으로 인한 사상적 변화의 조짐이 드러나고 있음도 주목된다.

3.3. 조선시대의 전설
조선전기에는 각 지역의 제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등 지리서가 간행됨에 따라 전설자료들도 광범위하게 조사 정리되면서 대폭적인 문헌정착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조선의 개국을 둘러싼 일련의 상황은 현전하는 구전설화에서 다양한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