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

 1  [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1
 2  [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2
 3  [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3
 4  [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4
 5  [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5
 6  [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6
 7  [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7
 8  [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사계획서]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선행연구의 비판적 고찰

5. 연구방법

(1) 연구문제와 연구 가설

(2) 조작적 정의와 측정

(3) 조사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선행연구의 비판적 고찰
자아존중감과 가출을 포함한 비행에 관련한 선행 연구와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먼저 Mason은 자기훼손이론을 기반으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소년비행과 자아
존중감의 관계를 재검증하였다. Mason의 연구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의 동기는 청소
년기에 강해지게 되는데 만약 가족이나 친구 같은 청소년의 준거집단 내에서 이런
동기가 충족되지 못하면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게 된다. 그래서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행또래집단에 가담하거나 비행행위를 하게 되며 이로써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낮은 자아존중감은 청소년들의 비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목되어 왔다(Mason, 2001).
이밖에도 자아존중감이 낮은 청소년들이 비행을 더 많이 저지르게 된다는 이러한
주장은 많은 국내외의 많은 경험연구에서 지지되고 있다. (Donnellan, M. B.,
Trzesniewski, K. H., Robins, R. W., Moffitt, T. E., & Caspi A., 2005; Mason,
2001; 김은경과 유가효, 2002; 김지영과 이형실, 2010; 심희옥, 1998; 정규석, 2004).
그러나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와 같은 연구결과
와는 달리 자아존중감이 비행과 관련이 없거나(Jang&Thornberry, 1998;Wells&
Rankin, 1983; 김희화와 김경연, 2000; 윤혜미와 박병금, 2005; 정익중, 박현선과 구인회, 2006) 간접적인 영향만 있는 것으로 보고되는 연구(이경님, 2002)도 있다.
이처럼 자아존중감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종단연구를 통해 낮은 자아존중감이 비행과 관련 있음을 입증하는 연구결과(Mason, 2001)도
여전히 제시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연구 문제를 다룬 우리나라 최신 연구 중, Mason의 연구와 동일하게 잠재성장모형을 방법으로 청소년비행의 발달궤적을 밝힘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석기(2005). 청소년의 대인관계태도, 자아존중감, 조절 및 인터넷 중독간 관계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6(1), 165-193.
김동기, 홍세희(2007). 한국 청소년의 최초 가출 발생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적 요인에 대한 검증 :비연속 시간 생존분석의 적용. 한국청소년연구, 18(3), 267-294
김은경, 유가효(2002). 아버지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간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5(1), 33-43.
김준호, 박정선(1993). 청소년의 가출과 비행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김지영 이형실(2010).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 요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1), 21-31
김희화, 김경연(2000). 청소년의 비행과 자아존중감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5), 15-24.
나동석, 이용교 역(1993). 가출청소년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연구원.
방은령(2003). 가정복귀 가출청소년들의 귀가요인 분석 및 가출청소년지도 방안모색(가출경험 대학생과 가출청소년전문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139.
배제현(1993). 비행 청소년과 정상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비교. 재활심리연구, 1(1), 71-83.
심희옥(1997). 아동 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내적 외적 문제행동인 우울성향과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아동학회지,18(1),39-52.
윤옥경(2008). 청소년 비행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영향력 비교
한국교정학회, 38, 107-138
윤혜미, 박병금(2005).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관련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8, 133-164.
이경님(2002).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인과모형. 생활과학연구논문집,10, 41-56.
이철(2009). 가정, 비행친구, 비행의 상호 인과관계에 대한 발전론적 연구: 숀베리 모델의 부분 검증. 한독사회과학논총, 19(1), 177-204.
장수한(1993). 상담사례분석을 통한 청소년 가출의 원인과 대책.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규석(2004), 청소년가출에 관한 다체계 모델 검증,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3(1), 297-312.
정소희(2009). 청소년비행의 발달궤적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20(2), 31-64.
정익중, 박현선, 구인회(2006).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한국사회복지학, 58(3), 223-244.
홍봉선, 남미애(2007). 청소년 복지론. 경기도: 양서원.
Christopher, T., sarah, J., Kristy, K., & Jessica, D.(2007). The relations among narcissism, self-esteem, and delinquency in a sample of at-risk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30, 933–942.
Coopersmith, S.(1981). Self-esteem Inventories, Palo Alto, CA: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Donnellan, M. B., Trzesniewski, K. H., Robins, R. W., Moffitt, T. E., & Caspi A.(2005). Low self-esteem is related to aggression, antisocial behavior, and delinquency. Psychological Science 16, 328-335.
Jang, S. J., & Thornberry, T. P.(1998). Self-esteem,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A test of the self-enhancement the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586-598.
McCarthy, J. D., & Hoge, D. R.(1984). The dynamics of self-esteem and delinquenc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0, 396-410.
Michael, K.(2010). Are violent people more likely to have low self-esteem or high self-esteem?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5, 69-75.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NJ:Princeton Press
Salmivalli, C.(1999). Feeling good about oneself, being bad to others? Remarks on self-esteem, hostility, and aggressive behavior.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6, 375-393.
Well, L. E & J. H. Rankin,.(1983). Direct Parental Control and Deliquency. Criminology 26, 263-28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