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

 1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1
 2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2
 3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3
 4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4
 5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5
 6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6
 7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7
 8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8
 9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9
 10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10
 11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11
 12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12
 13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터넷 공간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가능 할 것인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여론 형성 이론과 한국의 현주소
2) 2008년 촛불 집회를 통한 한국 여론 형성 과정의 긍정적 실제 사례 탐구
3) 2010년 ‘타블로 사태’를 통한 한국 여론 형성 과정의 부정적 실제 사례 탐구
3.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2. 본론

1)여론 형성 이론과 한국의 현주소

여론 형성과 관련하여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미디어 효과 모델은 여론을 개개인의 의견이나 동기의 단순한 산술적 합계로 이해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들은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들의 상이한 사회적 조건과 역동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집합적인 여론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를 통해 여론은 수용자 자신이 속한 사회에 따라 조건 지워진 성향과 같은 수용자들의 주관적 인식과 사회 현상을 묘사하는 언론 매체의 보도 내용과 상호 교차하는 집단적 의견이라고 할 수 있다(김재범 외, 1994). 개인의 지각과 관련해 미디어가 선정한 이슈가 개인들에게도 중요 이슈로 자리 잡는다는 미디어 의제 설정 이론, 그리고 의제 설정 이론의 확장된 형태로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 결과를 다룬 점화 효과와 틀 짓기 이론이 있다. 한국 여론 형성 과정과 현주소에 관련해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개인화되고 있는 미디어 현실에 초점을 맞춰 수용자들간의 상호작용적 지각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침묵의 나선이론, 다원적 무지 이론, 제 3자 효과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실제 한국 사례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론 형성 과정과 관련해 수용자와의 상호작용 측면에 초점을 맞춘 이론으로 침묵의 나선 이론(Spiral of silence)이 있다. 침묵의 나선 이론에 따르면 사회적 의견 분위기에 대한 지각이 여론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특정 의견이 특정 사회 내 지배적인 여론으로 구축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Noelle-Neumann, 1993; Schuefele & Moy, 2000).. 침묵의 나선 이론이 실제 한국 사회에서 적용된 사례로는 지난 6월에 치러진 지방선거를 들 수 있다. 지방 선거 결과가 여론 조사 결과와 10-20%의 차이를 보인 원인과 관련해 밴드왜건 효과(Bandwagon effect) 효과와 언더 독(Underdog effect)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해석 가운데 하나로 침묵의 나선 이론이 주목 받고 있다. 이번 지방 선거의 경우 ‘천안함’ 사건과 ‘안보 문제’가 결합되어 있어 이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은 의견을 표명하지 않고 침묵한 것으로, 실제로 의견 조사 응답률이 저조한 수치를 기록한 것을 통해서 그 원인 중 하나로 침묵의 나선 이론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결과를 온전히 침묵의 나선 이론 효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은 실제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이 이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가 발견 되었기 때문이다. 2000년 16대 총선에서 서울 지역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김무곤의 2001년 연구에 따르면, 여론 환경에서 소수라고 지각한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더 활발하게 의견 표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침묵의 나선 이론과 반대되는 ‘침묵하는 다수와 목소리 높이는 소수 현상’을 발견한 것이 그 예이다(김무곤 외, 2001). 즉, 의견 표명과 관련한 여론 지각의 영향력은 다수 지각과 소수 지각뿐 아니라 자신의 의견과 지각 여론이 어느 방향에서 차이가 있는가 하는 지각 편향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박선희, 2008).
위에서 살펴 본 침묵의 나선 이론이 가지는 또 하나의 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나온 것이 ‘다원적 무지 가설’이다. 다원적 무지가설은 침묵의 나선 이론이 개인의 여론 지각과 관련하여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가정하고 있다는 것을 들며 이 가정보다는 다른 사람들도 자신처럼 생각할 것이라고 잘못된 판단을 하고 있다는 가정을 근거로 여론 형성 과정을 해석한다(Allport F, 1937). 이와 관련해 Fields와 Schuman은 다수의 의견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편견과 거울 반사 인지 등의 사회 심리학적 성향에 의해 사람들이 영향을 받게 된다고 설명한다. 문화적 편견은 다수의 의견을 자신의 문화적 규범이나 가치관으로 생각하려는 경향이고 거울 반사 인지는 자신의 가치나 태도, 신념체계에 기초하여 다른 사람의 의견을 추정하는 것이다(Fields & Schuman, 1976). 다원적 무지 현상을 확인할
참고문헌
[참고 문헌]

1. 강명구 외(2008). 반목과 갈등 아닌 소통과 합의 공간으로. 『신문과 방송』,제 452회, 24- 31.
2. 김무곤 외(2001). 미디어와 투표행동. 서울: 삼성언론재단.
3. 김은미 외(2006). 읽기의 재발견: 인터넷 토론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한국언론학 보』, 제 50권 4호, 65-69.
4. 김익현(2008). '논객'의 시대 가고 '이웃'이 여론 주도.『신문과 방송』,제 452회, 38-41.
5. 김재범 외(1994). 여론과 미디어: 다원적 무지와 제 3자 가설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 보』, 제 31호. 66-73.
6. 김한중(연출). (2010, September, 27). 익명의 시민. 지식채널 e. EBS.
7. 박선희 외(2008). 의견, 여론지각, 지각편향이 공개적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한국언론 정보학보』,제 42호. 169-178.
8. 박정순 외(1987). 다원적 무지현상과 제 3자 효과에 대한 논의: 남북문제에 대한 대학생 들의 태도와 여론인식의 사례연구.『신문학보』,제 22호. 5-28.
9. 오관석(2010), 『전자 정부와 U 패러다임, 진한엠엔비』
10. 오미영(2005).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여론지각에 있어서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스미디어 그 리고 인터넷의 역할에 관한 연구: 다원적 무지 가설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 5권 1호, 195-230.
11. 윤명희(2007). 블로그의 사회적 유형분석. 『한국사회학』, 제 41권 1호, 156-193.
12. 임종수(2008). 진실을 보는 또 하나의 눈: 세상을 내 눈으로 보련다. 『신문과 방송』, 제 452회, 44-47.
13. 정보통신산업진흥원(IITA). 주요 SNS의 이용자수 전세계에서 큰 폭으로 증가. 정보통신연구진흥원.
14. 한국언론재단(2008).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미디어의 영향력과 신뢰도 조사. 『한국언론재 단』. 4-6.
15. Allport,F. (1937). Toward a Science of Public Opinion. in Public of Opinion Quarterly 1(1). 7-23.
16. Davison,W.P.(1983). The Third Person Effects in Communication, Public Opinion Quartely, 47. 1-15.
17. Fields,J. & Schuman,H(1976). Public Beliefs about the Belief of the Public. in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40. 427-488.
18. Habermas, J. (1962/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Cambridge, MA: MIT
19. Noelle-Neumann,E.(1955). Public opinion and rationality. in T.L. Glasser and C.T. Salmon(Eds.), Public opinion and the communication of consent.NY: The Guilford Press.33-54.
20. Noelle-Neumann,E.(1993). The Spiral of Silence: Public opinion-our social skill (2nd ed).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Scheufele, D.A & Moy,P.(2000). Twenty-five years of the spiral of silence: A conceptual review and empirical outlook. International Jou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2(1), 3-2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