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

 1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1
 2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2
 3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3
 4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4
 5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5
 6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6
 7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7
 8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8
 9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9
 10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10
 11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11
 12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학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더 리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 서론 : 교육자본과 문화자본

Ⅱ. 한나를 통해 보는 문화자본 소외계층의 단면

1. 일에서의 소외

2. 생활에서의 소외

3. 법에서의 소외

4. 문화자본의 권위


Ⅲ. 한나와 마이클의 비교를 통해 보는 문화자본계층의 차이

1. 한나와 마이클이 서로를 바라보는 시선

(1) 이름이 뭐예요?

(2) 트램, 두 번째 칸과 자전거 여행

(3) 책 읽어주는 남자와 목욕 시켜주는 여자

2. 재판과정에서 드러나는 제도적 장치가 한나와 마이클에게 미치는 영향

(1) 내부자와 외부자

(2) 내부자와 외부자 모두에게 좁고 차가운 제도

(3) 외부자의 운명을 좌우하는 제도

Ⅳ. “문자”와 “법”으로 나타나는 문자자본의 의미

1. 첫 번째 문화자본 - 문자

2. 두 번째 문화자본 - 법

3. 문화자본과 문화자본을 지니지 못한 소외자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3. 법에서의 소외

또한 한나는 문자 뿐 아니라 법과 도덕성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에 다른 동료 경비원들로부터 소외되고 모든 죄를 떠안게 된다. 그녀가 처음 SS 경비원의 일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단순히 생계유지를 위해서였다. 그녀는 경비원으로 취직하고자 아우슈비츠로 갔을 뿐, 정확히 SS가 어떤 곳이고, 무슨 일을 하는지 몰랐다. 또한 수용소에서 한나가 수감자로 어린 여자 아이들을 선발하는 것은 독서를 통하여 자신의 지적 욕구와 감수성을 충족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그녀는 그러한 행위가 곧 그 아이들을 죽음으로 내몬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할 만큼 무지한 인물이다. 자신의 과거를 최대한 숨기고 은폐하고 싶어 하는 다른 경비원들과는 달리 그녀는 재판에서 자신의 업무에 대해 떳떳하고 하나도 숨김없이 대답하였다. 한나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사고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결코 그녀가 도덕성이 결여된 인물은 아니었지만 어떤 행위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재판 과정에서 자신의 행위에 대해 당당하게 대답했던 것이다. 자신의 행위가 도덕적으로 올바른 것인지 판단할 수 없는 한나에게 법은 더욱 가혹하고 냉엄한 제도이다. 한나는 자신의 대답으로 인해 자신의 형량이 결정되고, 뿐만 아니라 다른 경비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이 때문에 그녀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없는 문맹이었지만, 자신의 형량을 최대한 줄이고 싶었던 다른 경비원들은 한나가 책임경비원이었으며 모든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몰아간다. 그러나 문맹임이 밝혀지는 것을 원치 않았던 한나는 그 죄를 모두 받게 된다. 즉, 교육 자본을 갖추고 있지 않은 자들은 그로 인해 받는 불이익을 고스란히 감당해야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한나가 재판을 통해 무기징역을 선고받게 된 것에 비해 다른 경비원들은 3년 징역 등의 가벼운 형벌에 그친다. 마이클의 교수님이 이야기했듯이 나치집권 당시 수많은 수용소가 있었고, 수많은 사람들이 SS에서 일을 했지만 모든 이들이 처벌을 받지는 않았다. 겨우 6명만이 살인 혐의를 인정받았을 뿐이다. 그런데 왜 한나는 SS의 경비원으로서 무기징역까지 받아야했을까. 한나는 다른 이들과 달리 문맹이자 교육에서 소외된, 한마디로 무지몽매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문자를 모르고 기초 교육을 받지 못한 한나는 오롯이 그 불이익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문자를 알고 법과 도덕을 배운 동료 경비원들은 똘똘 뭉쳐 그녀를 배척하고 자신들만 법의 보호를 받고자 하였다. 결국 법은 교육 자본을 가진 다수의 세력은 더욱 보호하면서 그렇지 못한 소수 세력은 더욱 소외시키는 제도가 된 것이다. 한나는 교육에서 소외되고, 법에서도 소외된 자이다. 법 앞에서 만인은 평등하
참고문헌
Ⅵ. 참고문헌

1. 하차순(2005). 󰡒가정의 교육자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 Schlink, Bernhard. 김재혁 역(2004).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이레.
3. Stephen Daldry(2009). 더 리더 [비디오녹화자료]. 누리픽쳐스.
4. 이건만(2006). 문화적 계급지배와 교육불평등 - Pierre Bourdieu 문화재생산이론의 음미. 교육사회학 연구 제 16권 제 2호 pp.111-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