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

 1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1
 2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2
 3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3
 4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4
 5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5
 6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6
 7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다공성 막의 표면형태 관찰

3.2. MGE Li-ion cell의 전기화학적 안정성

3.3. MGE Li-ion cell의 사이클 특성

3.4. MGE Li-ion cell의 율 특성

4.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3.1. 다공성 막의 표면형태 관찰
그림 1은 phase inversion으로 만든 다공성 막의 표면형태를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다. 그림 1a는 Kynar 막의 표면 이미지이고 그림 1b는 AMMA 막의 표면과 절단면의 이미지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Kynar 막은 표면에 큰 크기의 기공(open pore structure)이 형성되었고 AMMA 막은 표면보다는 절단면(body)에 손가락 모양의 거대기공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두 구조 모두 액체 전해질의 침투를 빠르게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AMMA 막의 경우 적은 표면기공(open pore)이 일종의 장벽의 역할을 하여, 침투된 액체 전해질의 많은 양을 축적하기 때문에 높은 밀도의 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림 2는 액체 전해질을 충분히 흡수시킨 막을 80℃ 진공에서 건조시킨 후의 SEM 이미지이다. 그림 2a는 Kynar 막에 액체 전해질(1.0 m LiBF4를 1:3의 EC (ethylene carbonate)와 GBL (γ-butyrolactone)에 녹인




그림. 2.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킨 후 80℃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킨 막의 SEM 이미지. a Kynar 막의 표면 이미지; b AMMA 막의 절단면(cross-section) 이미지
용액)이 흡수된 것으로 표면의 이미지이며, 120±5 wt%의 흡수율을 가진다. 그림 2
참고문헌
참고문헌

[1] Slane S, Salomon M (1995) J Power Sources 55:7
[2] Denton I, Frank R (1999) US Patent 5,962,168
[3] Gozdz AS, Schmutz C, Tarascon JM, Warren P (1995) US, Patent 5,418,091
[4] Zhang SS, Xu K, Foster DL, Ervin MH, Jow TR (2004) Electrochem Acta 48:241
[5]A. Du Pasquier, F. Disma, T. Bowmer, A.S. Gozdz, G. Amatucci, J.M. Tarascon, J. Electrochem. Soc. 145 (1988) 472.
[6] H. Maleki, G. Deng, A. Anani, J. Howard, J. Electrochem. Soc. 146 (1999) 3224. J Power Sources 125:114
[7] H. Akashi, K.I. Tanaka, K. Sekai, J. Electrochem. Soc. 145 (1998) 881.
[8] S.S. Zhang, T.R. Jow, J. Power Sources 109 (2002) 422.
[9] Christie AM, Christie L, Vincent CA (1998) J Power Sources 74:77
[10] Jang DH, Shin YJ, Oh SM (1996) J Electrochem Soc 143:2204
[11] Xia Y, Zhou Y, Yoshio M (1997) J Electrochem Soc 144:2593
[12] Yamada A, Tanaka M (1995) Mater Res Bull 30:715
[13] Zhang SS, Xu K, Foster DL, Ervin MH, Jow TR (2004) J Power Sources 125: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