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

 1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
 2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2
 3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3
 4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4
 5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5
 6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6
 7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7
 8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8
 9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9
 10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0
 11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1
 12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2
 13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3
 14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4
 15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5
 16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6
 17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7
 18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8
 19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식품발효공학] DL-lactate 조절을 통한 Sauerkraut의 생리학적 기능 향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설계 주제 선정 배경

2. 설계 목표



1. 개념 설계안 창안

2. 개념설계안 평가 및 선정

3. 상세 설계



1. 상세설계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그림 2. Expression of ldh genes in L. citreum CB2567(circles) and its transformant harboring the pLC18lld plasmid(triangles) as a function of growth.
㉡ LDH activity
먼저 L-LDH activity의 경우 대조구에서는 배양시간동안 거의 0으로 유지되었고 실험구에서는 exponential phase의 초기, 중기사이에서 최대 0.18 unit/mg protein으로 측정되었으나 stationary phase동안 서서히 감소하였다. D-LDH activity는 대조구에서 exponential phase 중기일 때 최대 22 unit/mg protein으로 측정되었으며 실험구에서는 exponential phase 말기일 때 최대 12 unit/mg protein으로 측정되었다(그림2).

㉢ Lactate content
대조구에서는 D-lactate(112.73 mM)가 L-lactate(5.25 mM)보다 약 20배 많이 생성하였고 이를 통해 L. citreum이 D-lactate를 주로 생산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험구에서는 총 lactate 함량은 유지되면서 D-lactate(102.65 mM)는 약간 감소하였고 L-lactate(7.28 mM)가 약간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모든 배양시간동안 D-/L-lactate값이 작게 얻어졌다(표1).
표 1. D-/L-lactate ratio in L citreum CB2567 and its transformant harboring the pLC18lld plasmid as a function of growth


참고문헌



T. Bhowmik, J. L. Steele.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insertional inactivation of the Lactobacillus helveticus D(-) lactate dehydrogenase gene. Appl Microbiol Biotechnol(1994) 41:432-439

Thierry Ferain, Dominique Garmyn, Nathanli Bernard, Pascal Hols, Jean Delcour. Lactobacillus plantarum ldhL Gene: Overexpression and Deletion. J. of Bacteriology(1994) 176:596-601

Kari Kyla-nikkila, Mervi Hujanen, Matti Leisola, Airi Palva. Metabolic Engineering of Lactobacillus helveticus CNRZ32 for Production of Pure L-(+)-Lactic A챵. Appl Environmental Microbiology(2000) 66:3835-3841

Niju Narayanan, Pradip K. Roychoudhury, Aradhana Srivastava. Isolation of adh mutant of Lactobacillus rhamnosus for production of L(+) Lactic acid. Electronic J. Biotechnology ISSN(2004) 7:717-3458

Chun Kim. Metabolic engineering of Leuconostoc spp. for biotechnological application: overexpression of L-lactate dehydrogenase gene and knock-out of dextransucrase gene. Doctoral dissertation of Chungbuk university(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