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

 1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1
 2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2
 3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3
 4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4
 5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5
 6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6
 7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7
 8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8
 9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9
 10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10
 11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11
 12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12
 13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13
 14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14
 15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15
 16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표준어(표준말)정의,특징, 표준어(표준말)역사, 표준어(표준말)기준,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 한자어, 표준어(표준말)정책과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표준어(표준말)의 정의

Ⅱ. 표준어(표준말)의 특징

Ⅲ. 표준어(표준말)의 역사
1. 조선어사전(1920)
2. 조선어 표준말 모음(1936)
3. ‘큰사전’(1947, 1957)

Ⅳ. 표준어(표준말)의 기준
1. 표준어의 사회적 기준: 교양 있는 사람들
2. 표준어의 시대적 기준: 현대
3. 표준어의 지리적 기준: 서울말

Ⅴ. 표준어(표준말)의 음성모음화

Ⅵ. 표준어(표준말)와 한자어

Ⅶ. 향후 표준어(표준말)의 정책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표준어(표준말)의 정의
우리말의 표준어가 맨 처음으로 제정된 것은 1936년이다. 일제 강점 시대, 우리말 수호를 위해 사전을 편찬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1933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만들고, 이어 1936년에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만들었다. 이 때 제정된 표준어는 6231개이다.(이 속에는 약어 134개, 한자어 100개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표준어가 광복 이후 학교 교육과 언론 매체에 널리 쓰이게 되어 공통어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게 되었다.
그 후 정부 차원에서, 지금까지 사용해 온 표준어를 개정하여 새로운 표준어를 제정하기 위해 만든 규정이 1988년 1월 19일에 고시된 ‘표준어 규정’이다. 1936년에 제정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은 방언 간에 차이가 있는 말을 사정하여 표준어를 정한 것이었으나, 1988년에 만들어진 ‘표준어 규정’은 표준어 사정을 하기 위한 원칙을 정한 것이다. 이 원칙에 따라 표준어를 사정하는 본격적인 작업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표준어는 1936년에 만들어진 표준어 사정 원칙에 따라 만들어진 ‘큰 사전’에 등재된 어휘들, 그리고 ‘큰 사전’의 어휘들에 준하여 교육에 의해 널리 통용되어 온 어휘의 표준어로서의 구실을 해 옴에 따라 표준어 어휘들은 대체로 정해진 셈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표준어라고 하면 표준 된 어휘만을 가리키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표준어는 표준 음운, 표준 어휘, 표준 문법을 모두 싸잡는 말이다. 그러므로 표준어에 관해 논의를 지속하려면 이 세 가지를 모두 다루지 않을 수 없다.
표준어의 음운은 1988년 1월 19일 문교부에서 고시한 ‘표준어 규정’의 제2부 표준 발음법속에 표준어의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에 관한 장이 마련되어 있고, 이 속에 표준어의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에 관한 자세한
참고문헌
김승곤(1992), 한국어 토씨와 씨끝, 서광학술자료사
고영근(1979), 표준 중세 국어문법론, 집문당
박갑수(1988), 현실언어를 수용한 체계화된 개정안-개정된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의 허실, 동양문학, 제2호, 동양문학사
박갑수(1994), 우리말 사랑 이야기, 한샘출판사
이익섭(1988), 국어 표준어의 형성과 변천, 국어생활 13, 국어연구소
이응백(1988), 표준어 규정 해설, 국어생활 제13호, 국어연구소
이병선(1967), 비모음화현상고 -경상도방언을 중심으로-국어국문학 37, 38, 국어국문학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