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

 1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1
 2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2
 3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3
 4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4
 5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5
 6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6
 7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7
 8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8
 9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9
 10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작가론] 허난설헌의 유선사(遊仙詞)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의 창작 배경

1. 개인적 배경

2. 사회적 배경

Ⅲ. 신선세계를 나타내는

1. 遊仙詞 또는 遊仙時의 개념

2. 그 외의 작품

3. 유선사의 구체적 내용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사회적 배경

조선 왕실에서의 도교는 정신적 지주로 신앙되었던 종교이다. 중종이 즉위하고 소격서를 없애라는 상소가 빈번하여 도교라는 종교를 없앨 수는 없어 소격서를 없앴는데 중종이 병을 입자, 이를 소격서를 없앴기 때문이라 생각하여 소격서를 부활시켰다. 또한 태조 때에는 서울을 옮긴다거나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지리풍수설에 원칙을 두고 행하였다. 이렇듯 왕실이 행하는 일은 그 파급효과가 굉장하기 때문에 왕실의 정신적 지주인 도교는 민간에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도교는 당시 민간신앙에 온존하고 있었으며, 풍수사상을 비롯한 기타 토속신앙은 주로 서민층에 침투되어 미신과 형식에 빠지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의 생을 영위했던 허蘭雪軒에게는 도교가 필연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최정은, , 국민대 석사논문, 2010, pp8-9

때문에 또한, 16세기에는 유독 도교의 영향을 받은 신선설화를 제재로 한 遊仙時 작품이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 우리나라의 遊仙時는 고려 때부터 간헐적으로 나타났고 16, 7 세기에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 이 시기에 遊仙時의 집중적인 창작은 여러 차례에 걸친 사화와 전란을 겪으며 조선초기의 안정이 와해되어 가고, 당풍의 진작이라는 문예사조적 측면과 도교사상 특히 내단학 심신의 수련을 통해 우주나 인간의 근원적 생명력인 원기를 체득하여 신선에 이른다는 내단학의 사상이다. 그런데 그들이 제시한 내용은 조선도교에서 독창저긍로 형성된 견해라기 보다는 중국도교로부터 전래된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따라서 조선초부터 중엽까지는 중국의 내단학 이론이 큰 굴절없이 수용된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 김낙필, , 宗敎硏究, 1989, p2 참조.
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간 사상적 측면, 몰락한 서인의 시세불우와 전쟁의 喪亂이 맞물린 작가의식의 측면 등 三合이 이루어져 빚어낸 결과이다. 곽선희,〈許蘭雪軒의 遊仙詞 硏究〉, 동국대 석사논문, 1999.


Ⅲ. 신선세계를 나타내는

1. 遊仙詞 또는 遊仙時의 개념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낙필, , 宗敎硏究, 1989.
김명희, , 질문당, 1987.
곽선희,〈許蘭雪軒의 遊仙詞 硏究〉, 동국대 석사논문, 1999.
남종훈, 《魏晉代 遊仙詩 硏究 》, 연세대 석사논문, 1992.
박영호, - 도교사상을 중심으로, 한양대 박사논문, 1992
최정은, , 국민대 석사논문, 2010.
표보영, , 충남대 석사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