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

 1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1
 2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2
 3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3
 4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4
 5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5
 6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6
 7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7
 8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8
 9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글의 정의

Ⅱ. 한글의 특징

Ⅲ. 한글의 우수성
1. 세종의 민주 사상과 한글
2. 제작 원리가 소상히 밝혀진 글자
3. 어버이와 생일을 가진 유일(唯一)한 글자
4. 참으로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발명 문자
5. 음소(音素) 문자와 음절(音節) 문자의 두 장점을 가진 글자
6.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는 글자
7. 일정한 소리를 가진 글자
8. 가장 익히기 쉬운 글자

Ⅳ. 한글맞춤법의 배경

Ⅴ. 한글맞춤법의 원칙
1.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
2.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
3. 파생어, 합성어는 어원을 밝혀 적는다
1) 홑받침(16개)
2) 겹받침(11개)

Ⅵ. 한글맞춤법의 단계

Ⅶ.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한글의 정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의 현대적 명칭. 󰡐한글󰡑을 애초에 󰡐훈민정음󰡑이라고 이름 하던 세종(世宗) 창제 28자는 언문(諺文)․언서(諺書)․반절(反切)․암클․아햇글․가갸글․국서(國書)․국문(國文)․조선글 등의 명칭으로 불렸다. 특히 언문이라는 명칭은 세종 당대부터 쓰였는데, 한글이라는 이름이 일반화하기 전까지는 그 이름이 널리 쓰였다. 그러다가 근대화 과정에서 민족의식의 각성과 더불어 국문이라고 주로 부르다가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었는데, 이 이름은 주시경(周時經)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으나 신문관(新文館)에서 발행된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1913)의 끝에 횡서(橫書) 제목으로 󰡐한글󰡑이라 한 것이 있다. 이 한글이라는 명칭이 일반화되기는 조선어학회(한글학회)가 주동이 되어 훈민정음 반포 8주갑(週甲)이 되는 해인 병인년(丙寅年:1926) 음력 9월 29일을 반포기념일로 정하여 󰡐가갸날󰡑로 이름 지은 뒤, 1928년에는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부르게 되면서부터이다. 󰡐한글󰡑이라는 말 자체의 뜻은 󰡐한(韓) 나라의 글󰡑 󰡐큰글󰡑 󰡐세상에서 첫째가는 글󰡑이란 뜻이다.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맞춤법통일안󰡑에 의하면, 한글은 자음(子音) 14자, 모음(母音) 10자, 합계 24자의 자모(字母)로 이루어져 있다. 1자 1음소(一字一音素)에 충실한 음소문자(音素文字)인 이 한글 자모 24자는 훈민정음 28자 가운데서 󰡐․, 壙, 咬, 胱󰡑의 네 글자가 제외된 24자인데, 그 중 ․[∧], 壙[z], 咬[솭鳧Ç 세 글자는 음운변화(音韻變化)의 결과 그 음(音)과 함께 문자로 쓰이지 않게 된 것이며, 胱[二鳧º 현대국어의 받침 󰡐ㅇ󰡑 속에 음가(音價)는 남아 있으나
참고문헌
김정남(2005), 서울대학교,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해석
김기혁 외 4명(2003), 우리말 알고 쓰기, 경진문화사
김석득(1992), 우리말 형태론-말본론, 서울 : 탑출판사
노석기(1990), 우리말 담화의 결속관계 연구, 한글 208, 한글학회
리의도(1995),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제어문학회
홍순성(1999), 현행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 몇 가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