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

 1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
 2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2
 3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3
 4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4
 5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5
 6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6
 7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7
 8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8
 9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9
 10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0
 11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1
 12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2
 13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3
 14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4
 15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5
 16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6
 17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7
 18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8
 19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19
 20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재 요약과 작품 분석
1. 한문학과 한국 한문학
2.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
3. 시대별 개관
1) 이식기의 한문학
2) 삼국의 한문학
3) 고려조의 한문학
4) 조선조의 한문학
4. 비평문학의 전개
Ⅲ. 쟁점 사항
1. 우리 문학에서 한문학의 위상
2. 정조 어찰에 대하여
3. 이규보의 농민시
Ⅳ. 나오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④憂國衷情과 抗日의 노래

19세기로 접어든 조선은 국론이 삼분오열하며 결국 경술국치에 이르게 되었다. 이처럼 위태로운 조국의 현실을 표출한 대표적 문사는 강위, 이건창, 황현, 김택영으로 이어지는 韓末四家들이다. 그 중에서도 강위와 이건창은 아직 망국 이전의 인물이라서 우국충정의 시보다는 중인들과의 교유(강위), 사회시와 농민시(이건창)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은 누구보다도 황현과 김택영인데, 황현은 향리에 은거하며 作詩에 전념했으므로 농촌생활 소재의 시가 많다. 하지만 이순신이나 많은 의병장들의 영웅적 행적을 찬양하여 의병장들을 고무하는 등 우국 충절의 마음이 돋보였고, 경술국치를 맞아 「절명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김택영은 특히 古詩에 뛰어나다고 하며, 시보다는 문장에 관심이 많았다. 김택영은 중국에 망명한 뒤에도 국내의 문단과 끊임없이 교류하며 한문학 분야의 정신적 지도자 역할을 하였으며 망명지 중국에서는 우리나라 한문학을 중국에 소개하는데 진력하는 한편 그와 교유한 남방의 문인들로부터 양계초(중국 청말 중화민국 초의 계몽 사상가이자 문학가)에 필적하는 대가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문인들의 충절에도 불구하고, 기울어가는 국운을 바로잡지 못하고 한국한문학은 한말 4가 이후 사실상 사문화되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와서 한문학은 문학사의 정면에서 퇴장하는 운명에 놓인다. 조선은 제국주의의 침략 앞에 서게 되었는데, 안으로 봉건체제를 청산하고 밖으로 제국주의의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민중의 각성과 계몽이 시대적 급무였으므로 그것의 유용한 도구는 한문이 아니라 국문일 수밖에 없었다. 갑오경장 때 과거제가 폐지되고 공식문언으로써의 한문의 지위가 박탈되자 한문학은 이에 따라 쇠퇴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물론 한문의 폐지와 국문의 사용을 둘러싸고 격렬한 논의가 벌어졌으나, 역사의 진행방향은 국문사용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이병혁, 위의 책, 368면.)


4. 비평문학의 전개

‘무엇이 문학이며 왜 그 것은 필요한가’라던가, 그 필요에 값하기 위해‘창작은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라는 문제는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문학행위의 출발이자 귀착점이기도 하다. 이론바 창작과 비평은 공동의 善을 지향하는 동반의 관계였겠으나. 객관적 보편성이라는 문학론으로 정착되니까 지는 精深한 사려와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다. 따라서 중국에서도 書經으로부터 魏文帝의 단편적인 언급(典論)을 거쳐,梁의 유협(文心調龍)과 周榮(詩品)에게서 초기 비평형태를 접하게 되었다가, 宋代 歐陽脩의 六一詩話 이후로 비평문학의 울흥을 보게 된다. 우리의 역시 고전비평 역시 신라가요에 대한‘其意心高·詞淸麗句·感動天地鬼神’이라던가,朴寅亮시에 ‘感動幽顯’등은 모두 작자의 창작력과 작품의 品格을 매김한 비평의
참고문헌

+ 참 고 문 헌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김갑기, 「김극기의 시세계」, 『현대문학』 4월호(통권 436), 1991.
김갑기, 「한문학」,『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2.
김문식, 「정조 말년의 정국 운영과 심환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제66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9.
김시업, 「무신집권기의 문학적 전환」,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김진영, 「이식기의 한문학」,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김진영 「古典批評」, 『국문학신강』, 새문사, 1990.
박성규, 「고려 전기의 귀족문학」, 『한국문학연구입문』,1982
박천욱, 『독학 국사』, 일빛, 2004.
박철상, 「새로 발굴한 정조어찰첩의 자료적 가치」,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제66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9.
백승호, 「새로 발굴한 정조 어찰첩의 내용 개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제66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9.
송재소, 『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돌베개, 2005.
안대회, 「민족문학으로서의 국문학 : 한문학에서의 민족적인 것과 세계적인 것 - 조선 후기 학자의 민족언어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2001.
안대회, 「어찰첩으로 본 정조의 인간적인 면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제66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9.
이병혁, 「여말선초의 관인문학과 처사문학」,『한국한문학 입문』
이병혁, 「한국한문학」,『한국문학개설』, 삼지원, 1995.
임형택, 「근대계몽기 국한문체의 발전과 한문의 위상」, 󰡔민족문학사연구 14󰡕, 민족문학사연구소, 1999.
임형택, 「조선전기의 한문학」,『한국문학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조동일, 『제 4판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2005.
한국문학개론편찬위원회, 『한국문학개론』,혜진서관, 1991.

『東國李相國集』· 22 및 『白雲小說』제26화.
김창협,『농암집』.景仁文化社, 2007.
김항흡, ,『삼영집』·23.
류재영, 『白雲小說』제25화 . 圓光大學校 出版局, 1979.
서거정,『東人詩話』· 下 .서울, 2000.
이수광, ·詩,『芝峰類說』, 景仁文化社, 1970.
최자, 『 補閑集』. 大洋書籍, 1972.
허균, ,『성소부부고』, 민족문화추진회 , 1982-198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