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

 1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1
 2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2
 3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3
 4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4
 5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5
 6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6
 7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7
 8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8
 9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9
 10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10
 11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11
 12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12
 13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헌정보] 한국 전자도서관의 실태 전자도서관의 정보서비스와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1. 전자도서관의 개념

2. 전자도서관 구축사업의 목적

3. 전자도서관 보편화의 효과


본 론

1. 국내외 전자도서관서비스종류와 그 개념

2. 전자참고서비스의 개념

3. 전자참고서비스의 특성

4. 전통적 도서관 서비스와 원문서비스 비교

5. 국내외 전자도서관 정보서비스 현황


결 론

1.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

2.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 서 론

현 21세기는 정보화사회, 정보시장의 변화와 함께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을 통한 일련 ‘디지털 혁명’ 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맞이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도서관도 기존의 방대한 장서를 자랑하는 장서중심형 도서관에서 벗어나 21세기 미래도서관의 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전자도서관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정보화사회의 변화의 격동기 위에 있는 전자도서관 개념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1. 전자도서관의 개념
전자도서관의 개념은 F.W.Lancaster가 그의 논제에서 처음으로 언급한 이후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전자화 된 도서관’, 또는 ‘전자화 된 정보의 축적고’ 등으로 집약할 수 있다. 전자도서관이라는 용어도 전자도서관(electronic library), 디지털도서관(digital library), 가상도서관(virtual library), 벽이 없는 도서관(library without the wall), 종이 없는 정보시스템(paperless information systems), 멀티미디어도서관(multimedia library), 텔레매틱도서관(telematic library), 하이퍼도서관(hyper library), 열린 도서관(open library)등 여러 측면에서 전자도서관의 개념을 제시하여 새로운 모형의 도서관을 모색하고 있다.
전자도서관으로 가기 위해서는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다시피, 다양한 정보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 고도의 정보기술과 정보통신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전자화 된 시스템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디지털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전자도서관은 종래의 도서관이 갖고 있는 문헌정보의 수집, 조직, 보존, 제공 등의 기능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전자화함은 물론이거니와 문헌정보 데이터베이스 이외에 음성, 화상, 동영상으로 된 멀티미디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색인화하여 검색할 수 있는 전자시스템으로서 정보관리 기술과 통신 기술을 결합하여 필요한 정보를 원격지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화 된 도서관을 일컫는 것이다.

2. 전자도서관 구축사업의 목적
전자도서관 구축사업은 정부의 주도 하에 추진되고 있는데 크게 세 가지의 목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국내에서 중심역할을 하는 국립중앙도서관 외 5개 주요 기관을 연계하여 국가의 정보능력을 신장시켜 지역 간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둘째, 전국 도서관들을 연결하여 국가 문헌 정보 유통 체제를 구축하는 정보화 기반을 확립하는 것이다.
셋째, 전자 도서관 정보 서비스 체계의 시범적 효과를 바탕으로 국가 정보 자원의 공유 체제를 확대, 발전시켜, 일반 국민들까지도 온라인으로 필요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취지로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초고속 정보 통신망 구축계획에 맞추어 1996년부터 진행되어 왔다.

3. 전자도서관 보편화의 효과
전자도서관이 전국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질 경우 여러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국가적측면, 도서관측면, 이용자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정진식외 지음, 한국도서관협회 2002.
디지털도서관론, 황금숙, 학문사 2003.
전자도서관의 발달과 전망. 김정현. 도서관학논집. 한국도서관정보학회 1995.
전자도서관의 출현과 전망. 김승태. 시민과 도서관. 도서관운동연구회 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