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

 1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1
 2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2
 3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3
 4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4
 5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5
 6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6
 7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7
 8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8
 9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9
 10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10
 11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11
 12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12
 13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13
 14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14
 15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15
 16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관법수행의 이론과 실제(오정심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오정심관
-오정심관의 의미
2. 부정관
-부정관의 개념
1) 3가지의 부정관
(1) 생체부정
(2) 현상부정
(3) 구의부정
2) 9가지의 부정관
3. 자비관
1) 자비관의 개념
2) 자비관 수행 방법
(1) 부처님의 자비관 수행
(2) 자비 수행의 방법
(3) 자비관 수행 시 주의할 점
4. 인연관
1) 인연관의 개념
- 인연관의 어원적 근거
2) 인연관 수행방법
(1) 인연관 수행의 방법
(2) 인연법으로서의 호흡
5. 계분별관
1) 계분별관의 개념
- 계분별관의 어원적 근거
2) 계분별관의 수행방법
6. 수식관
1) 수식관의 개념
(1) 수식관의 개념
(2) 수식관(호흡관)과 육묘문
2) 수식관의 수행방법

Ⅲ. 결론

본문내용
(3) 자비관 수행 시 주의할 점
자비관 수행 시 주의해야 할 것은 자비관은 죽은 사람에게 하면 안 되듯이 자기 자신에게만 해서도 안 된다. 자기 자신에게만 자비관을 하게 되면 깊은 선정(선정: 한마음으로 사물을 생각하여 마음이 하나의 경지에 정지하여 흐트러짐이 없음.)이 생겨나지 않는다. 이 자비의 마음은 나와 상대에 대한 자애를 폭넓게 가지면서 깊은 선정에 들어가는 것이지, 나만을 대상으로 하게 되면 깊은 선정에 들어가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자비의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내가 편안해지기를, 이것은 위빠사나 수행에서 내가 무엇을 경험하기를, 내가 무엇이 잘 됐으면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나라고 하는 잘못된 견해가 들어가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이 온전하게 대상에 머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모든 방향을 찾아보아도 나 자신의 몸보다 사랑하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다. 나 아닌 다른 사람들도 각기 각자 자기 몸을 이와 같이 사랑한다. 자신의 번영과 행복을 원하는 이는 다른 사람을 괴롭히지 말아야 한다.”고 하셨다.
자비의 마음을 가졌을 때는 세 가지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첫째는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은 다른 삶도 원치 않을 것이다.’ 하는 자비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두 번째는 자비의 마음을 가질 때 생각만을 가져선 안 되고, 행위로써 가져야 한다. 행우에서는 내가 몸을 돌보지 않을 만큼, 몸에 상처가 나도 돌보지 않을 수 있을 만큼 자비심을 펴고자 해야 한다. 세 번째는 목숨까지도 아끼지 않을 정도로 자비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단지 우리가 앉아서 자비의 마음을 갖는 것으로써는 자비의 마음이 커지지 못한다. 궁극적인 것은 자비의 마음을 행위로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자비를 행할 때 얼마만큼 행해야 하는지는 부처님 전생에 대한 것을 설해 놓은 자타카 경에서 부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도둑 강도들이 톱으로써 내 몸을 자르더라도 그 사람들에게 화냄을 가져선 안 된다. 만약 그 사람들에게 화냄을 가지게 되면 그것은 내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이 아니다.”

어느 사람이 내 몸을 자르려고 했을 때 그 사람에 대해서 화를 내지 않는 것은 쉽지 않다. 심지어는 사람들이 나에게 욕을 하는 것을 넘기는 것 역시 쉽지 않다. 그러나 자비의 마음을 갖게 되었을 때는 상대가 나에게 욕을 한다고 하더라도 나의 사지를 자른다 해도 내가 화냄을 갖지 않게 된다. 이것이 자비심에 대한 본질적인 것이다.

4. 인연관(因緣觀)
1)인연관의 개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