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1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
 2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2
 3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3
 4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4
 5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5
 6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6
 7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7
 8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8
 9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9
 10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0
 11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1
 12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2
 13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3
 14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4
 15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5
 16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6
 17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7
 18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8
 19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19
 20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복지조사론] 청년들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주제 선정과 이유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의 목적

Ⅱ. 본론
1. 개념정의
1) 일반적 정의
2) 조작적 정의
2. 이론적 논의
3. 종속변수와 관련된 연구들
4. 가설설정
5. 연구방법
1) 연구디자인
2) 대상자 선정
3) 변수의 측정 및 조작화
4) 자료수집방법
5) 자료분석방법

Ⅲ. 결론 -소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우울의 정의
우울의 사전적 정의로는 ‘근심스럽거나 답답하여 활기가 없는 상태’ 혹은 ‘반성과 공상이 따르는 가벼운 슬픔’이라고 말할 수 있다. 청년실업으로 인한 ‘우울’은 후자보다 전자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청년실업이 최근에 들어 급격히 증가한 이유는 구인, 구직자가 직장 탐색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자신의 반성으로 ‘우울’을 느끼는 형태가 아니라, IMF와 경제공황이후 경제가 후퇴와 불황을 자주 겪으면서 발생하는 ‘경기적 실업’에 의해 취직을 못하게 됨으로써 우울을 느끼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자세보다, 경기의 회복되지 않아 근심스럽거나 답답한 상태에 해당하는 ‘우울’에 해당한다. 또한 우울은 사전적 정의 외에도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학자들이 우울을 규정했다. 김정선(2005)은 우울은 부정적 정서상태로써 삶에서 실망의 결과로 나타난 슬픔, 낙담, 절망과 같은 느낌으로 정의하였고, 권석만(2000)은 기분이 언짢아 명랑하지 아니한 상태로 흔히 고민, 무능, 비관, 염세, 허무 관념 따위에 사로잡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또한 주계영(2002)은 우울증이 생각에 불안감이 스며들어 있는 기분장애를 의미한다고 말한다. 즉, 우울증을 갖게 되면 한 가지 생각에만 사로잡혀 그것에 집착을 하는 수가 있는데, 다양한 정서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도 우울증에 사로잡혀 사고의 폭이 좁아지고 너그러움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학자들의 연구 외에도 국제적으로 우울을 규정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 DSM-IV-TR에서는 우울이란 우울한 기분, 무쾌감증, 에너지 감소나 쉽게 피곤해지는 것 중에 적어도 2개의 증상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뒷부분의 조작적 정의에서 구체적인 우울의 척도를 알아보기로 하자.

2) 조작적 정의
(1) 정신건강의 조작적 정의

참고문헌
※ 참고문헌
권석만. 2000. “우울증”. 서울: 학지사
김민정. 2009. 취업준비생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성숙도가 무망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3
김봉환.2006. “대학생의진로결정수준과진로준비행동의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김범성. 2005. “청년실업에 대한 패널조사연구: 대졸 미취업자들의 구직 행태 및 정신 건강”. 연구논문. KRF
김영종. 2009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서울: 학지사 pp. 113-135, 203-236, 237~261
김정선. 2005.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 노인의 운동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 간호과학회.
김진영·최승미·서국희·조성진·김장규·조맹제. 2000. “한국인 우울증상표현의 횡문화적 차이: CES-D의 요인구조분석”.『정신병리학』9(1): 78-87.
김진환. 2004. “우리나라 청년실업의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tions of youth unemployment in Korea”. 학위논문(석사). 호서대학교
노컷뉴스 사회. 2010. 10. 06. “청년실업자 120만명, 정부 해결의지 실종”
박성애. 2006,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에 대한 성경적 상담-청년기 정신건강을 중심으로”,석사학위, 총신대학교.
박성숙. 2006. “광주ㆍ전남지역 새터민의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fe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Status of Saeteomins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전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미간행)
박세홍 외. “고용상태 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논문. 한양대
박영준. 2010. “청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장로회신학대학교
배성우·신원식. 2005. “CES-D 척도의 요인구조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의 적용”.『보건과 사회과학』18: 165-190.
신승철·김만권·윤관수·김진학·이명선·문수재·이민준·이호영·유계준. “한국에서의 CES-D의 사용”.『신경정신의학』30(4): 752-767.
신희천. 2008. “대학졸업 청년실업과 정신건강의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사회연구 통권16호 pp.43-75.
염남희. 2007.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우울에 관한 성경적 상담”. 석사학위. 총신대학교
옥정. 1998.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유현숙. 2005. “한국 노인의 재취업에 관한 연구”
이성우. 2007. “진로결정이 불안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총신대학교
이영호. 2003. 정신건강론. 현학사.
이영호·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韓國心理學會誌 : 臨床 』10(1) : 98-113.
장재윤 등. 2004. “청년실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장재윤·장은영·신희천. 2006. “대졸자들의 취업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5(1): 65-87.
전겸구·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Ⅰ”.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11(1): 65-76.
전겸구·최상진·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6(1): 59-76.
정민욱. 2007. 청년층 취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n the Revitalization Methods of the Youth Employment-. 학위논문(석사) 조선대학교.
정소영. 2009. “취업준비 과정, 개인배경, 성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조맹제·김계희. 1993. “주요우울증환자 예비평가시 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32(3): 381-399.
주계영. 2002. “우울증과 예방”. 서울:기독교 상담개발연구소
최정숙. 2007. “외상경험으로 인한 사회부적응 청년상담”. 석사학위. 총신대학교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대전. 통계청 사회통계국 2006.
통계청. 2008. 『2008년 2월 고용동향』
Nathan Mascaro, Natalie C. Arnette, M. Carmen Santana, and Nadine J. Kaslow. 2007.『Relations Between Employment and Depressive Symptoms in Low-Income, Suicidal African American Women』. 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Longitudinal
Osipow 1996. 『사례로 배우는 진로 및 직업상담』, 학지사.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 설문지 참고문헌
박성애.2006,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에 대한 성경적 상담-청년기 정신건강을 중심으로”,석사학위, 총신대학교.
박영준. 2010. “청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장로회신학대학교.
배성우·신원식. 2005. “CES-D 척도의 요인구조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의 적용”.『보건과 사회과학』18: 165-190.
신승철·김만권·윤관수·김진학·이명선·문수재·이민준·이호영·유계준. “한국에서의 CES-D의 사용”.『신경정신의학』30(4): 752-767.
이성우. 2007. “진로결정이 불안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총신대학교.
전겸구·최상진·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6(1): 59-76.
정소영 2009. “취업준비 과정, 개인배경, 성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2006 한국복지패널 아동용 부가조사표


2. 참고 웹 사이트
구글, http://www.cherrynet.co.kr/bbs_view.php?s=38&pseq=11&mnid=1
국회도서관
네이버 국어사전
네이버 지식인
RISS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