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

 1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1
 2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2
 3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3
 4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4
 5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5
 6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6
 7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7
 8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8
 9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9
 10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10
 11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11
 12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12
 13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주자학(성리학)성격, 주자학(성리학)마음관, 주자학(성리학)이기설, 주자학(성리학)내면화, 주자학(성리학)수용과정, 주자학과 사림파,호락논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주자학(성리학)의 성격

Ⅲ. 주자학(성리학)의 마음관

Ⅳ. 주자학(성리학)의 이기설

Ⅴ. 주자학(성리학)의 내면화

Ⅵ. 주자학(성리학)의 수용과정

Ⅶ. 주자학(성리학)과 사림파

Ⅷ. 주자학(성리학)과 호락논쟁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성리학은 중국에서 북송대에 일군의 학자들이 유교에 바탕하여 당시의 사회적 환경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관을 탐구하는 과정에 형성-발전하게 되었다. 주렴계, 소강절, 장횡거, 정명도, 정이천 등은 절충과 종합의 방식으로 기존의 유교에 도교, 불교적 요소를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학문체계로 성리학을 구성-발전시켰다. 이러한 성리학은 기존의 중국문화가 갖고 있는 다양한 성격들을 유교를 중심으로 재통합함으로써 정치적 통일, 문화적 결속, 사회적 안정을 기하고자 하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었다.
성리학은 남송대에 주자에 의해 집대성되는 것을 계기로 유가의 학문에서 천하의 학문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어 원대에 관학으로 채용됨으로써 학문적 정통성을 인정받게 되었고, 명대 초에 관학의 교과서로서 사서오경대전과 성리대전서가 간행-반포됨에 따라 더욱 확고한 지위를 점하게 되었고, 이러한 것은 청조가 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이와 함께 성리학은 원대 말에 고려로 전파되어 조선의 개국과 함께 국시로 자리하기 되었고, 동아시아사회에서 성리학적 유교문화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유교문화를 낳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리고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선의 성리학이 일본으로 전해져 성리학에 대한 연구와 실천을 촉발하게 되어 덕천막부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는 문화변동의 전체적 관점에서 성리학적 유교문화와 근대화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이해가 기초될 때, 문화의 각 부분에서 성리학적 유교문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근대화를 촉진하거나 저해하는지 따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을 위해서 무엇보다 먼저 성리학적 유교문화가 바탕하고 있는 인간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자들은 이러한 인간관을 통상적으로 `유교적 인본주의`로 불러 왔으나 아직도 정확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것에 대한 정밀한 이해가 가능하다면 동아시아문화가 어떠한 인간관에 바탕하여 근대화를 시작하게 되었으며, 그것의 과정과 결과로서 그것이 어떠한 모습으로 변화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동래 저, 안재호 옮김 :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2004
이민홍 : 성리학적 외물인식과 형상사유, 국어국문학, 1991
이진 : 퇴계성리학의 시문학적 변용양상연구, 동국대 박사, 1992
이진표 : 한국사상사, 학문사, 2002
정재훈 : 성학집요를 통해본 조선중기의 정치사상, 서울대학교 규장각 22,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9
한길사 : 한국사상의 탐구 - 인성물성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