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

 1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
 2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2
 3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3
 4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4
 5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5
 6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6
 7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7
 8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8
 9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9
 10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0
 11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1
 12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2
 13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3
 14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4
 15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5
 16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6
 17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7
 18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예방의학] 전자매체에 대한 노출과 초등학생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와의 관련성
  • [예방의학] 금연성공과 과거 흡연력 및 의료이용의 관련성
  •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
  • [예방의학] 인삼섭취와 암 발생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vs 도시지역 노인들의 치매 유병률에 관한 단면조사연구
  • [예방의학] 여성 대장암 발생과 비만의 관련성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 건강증진론4B) 미국의 건강증진(Healthy People 2020)에서 모성, 영유아보건을 중요시 하는 이유, 목표, 개요, 관련 지표 등에 대하여 알아보시오.
  • [근골격계질환, 직업병] 근골격계질환의 개념, 근골격계질환의 특징, 근골격계질환과 근골격계직업병, 근골격계질환의 업무관련성 평가, 업무상 근골격계직업병 인정기준의 문제, 근골격계질환의 대책 심층 분석
  • 병원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사례, 수술실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사례, 대우조선의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사례, 현대중공업의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사례,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사례
  • 유방암 예방행위 영상 캠페인의 메시지가 수용자의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여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근골격계질환(직업병) 환자의 문제의식과 차후관리, 근골격계질환(직업병) 환자의 요양, 근골격계질환(직업병) 환자의 예방법,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위험요인 평가방법, 근골격계질환(직업병) 환자의 대안 분석
  • 소개글
    [예방의학] 병원 소음 수준과 입원 환자 수면 양상과의 관련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대상과 방법

    연구 대상

    연구 대상 중증도 평가

    수면 영향 약물 투여 여부 조사

    소음 수준의 평가

    수면 장애 평가

    통계적 분석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병실 내 소음 노출 수준

    병실 내 소음 유발원

    연구 대상자 수면 평가

    소음 노출 수준과 수면 장애 정도와의 상관성

    고 찰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대상과 방법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연구 대상으로서 2009년 11월 1일부터 2009년 11월 8일 동안 충남 천안시의 단국대학교병원 내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 장애 평가 대상자 수는 총 103명이고, 총 29병실의 소음을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중 입원기간이 3일 미만인 환자, 청각 장애가 있는 환자, 치매, 혼수상태, 정신 질환 환자 및 본인의 의사표시에 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자 기본 정보로서는 성별, 나이, 해당 병실의 인원 수, 재원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 추가하여 기존 연구에서 입원 환자의 수면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제시된 바 있듯이 중증도와 수면 영향 약물 투여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술되어 있다.
    연구 대상 중증도 평가
    연구 대상 환자의 중증도 평가는 본원 간호부 평가 수치를 사용하였으며, 3점 척도(1:양호함 2:좋지 못함 3:매우 위중함)로서 하루에 한번, 매일 평가된 수치를 사용하였다.
    수면 영향 약물 투여 여부 조사
    연구 대상 환자에게 있어 수면 영향 약물의 투여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우리는 2009년 단국대학교병원 의약품집(단국대학교병원, 2009)에 의거하여 본원 내 처방 가능한 모든 의약품의 각기 다른 작용 및 부작용으로서, 1)졸음(수면)을 유도하는 약물군 2)불면증을 유도하는 약물군 3)졸음과 불면증을 모두 유발하는 약물을 모두 수면 영향 약물이라고 분류하였다.
    소음 수준의 평가
    소음 수준의 계측은 Dosimeter(SparkⓇ703, Larson Davis 703 series)를 사용하여 1997년 대한민국 환경부에서 제시한 기준에 맞추어 하루(24시간)동안 병실 내 소음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소음 정도를 측정 구간별로 나누어 세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전날 19시 - 다음날 19시 사이의 소음을 하루 소음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전날 19시 - 다음날 07시 사이의 소음을 야간 소음, 다음날 07시 - 다음날 19시 사이의 소음을 주간 소음이라고 정의하였다. Dosimeter를 이용한 소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1] O KH,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leep-pattern of patients[dissertation], Seoul: Ihwa University; 1998.(Korean)
    [2] Lee MH, Effects of Noise in Hospital on Patients and Employees[dissertation],Daegu: Yungnam University; 2005.(Korean)
    [3] Lee CH, Jung IS, Woo BW, Noise levels in a general hospital, Daegu: Keimyung University 2003.(Korean)
    [4] Kim JS, Nam UW, A study on patients' subjective response on hospital nois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1985; 14(3):21-26. (Korean)
    [5] World Health Organization. Seminaire interregional Sur 1'habitat dans ses rapports avee la sante. Publique WHO Geneva; 1966. p.185
    [6] Ministry of Environment, Regulation of Noise and Vibration, 1997 (Korean)
    [7] Tae YS, Bak JH, The relating factors influencing adult patients, Busan: Kosin University 2003; p.112-127 (Korean)
    [8] Yinnon, A.M, Yilian Tadmor, B Altrarescu, G& hershko, Quality of sleep in the medical department, British jounal of Clinical Practice 1992; 46(2):88-91.
    [9] Kim MY, Cho SH, Lee SM, Sleep pattern and related factors of before and after hospitalized eldery, Korean Nurses Association 1999; 29(1):61-71. (Korean)
    [10] Aitken RJ, Quantitative noise analysis in a modern hospital, Arch Environ Health 1982; 37:361-4.
    [11] Grumet G. Pandemonium in the modern hospital. N Engl J Med 1993; 328:433-7.
    [12] Southwell&Wistow, Sleep in hospitals at night arepatient needs being me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5.
    [13] Yang GH, The practice and prospect about elderly people's health management, Seoul: Soo-Mun Co.;2001
    [14] Park HS, Kim KH, Recognition of Uncomfortness and disturbance from noise in hospitalized patients, Korean Nursing Education, 1997; 150-162 (Korean)
    [15] D. J. Buysse, C. F. Reynolds III, T. H. Monk, S. R. Berman, and D. J. Kupfer Modified From: Rush J, et al: Handbook of Psychiatric Measures, APA, Washington DC; 2000.
    [16] Macias JA, Royuela R. La, Version espanola del indice de Calidad de Sueno de sueno de Pittsburgh Informaciones Psiquiatricas, 1996; 146:265-72.
    [17] Zisape N, Nir T., Determination of the minimal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a patient visual analog sellp quality scale, J Sleep Res 2003; 12:291-8.
    [18] Park SJ, The sources of noise in military hospital and reaction of hospitalized patients[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99 (Korean)
    [19] Kim SG, A study on normal sleep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n Korean [dissertation], Daejeon: Chungnam University; 1990 (Korean)
    [20] H.A. Lomeli, I. Perez-Olmos, C. Talero-cuitierrez, Sleep evaluation scales and questionnaires : a review, Actas Esp Psiquiatr 2008; 36(1):50-5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