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

 1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
 2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2
 3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3
 4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4
 5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5
 6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6
 7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7
 8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8
 9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9
 10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0
 11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1
 12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2
 13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3
 14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4
 15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5
 16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6
 17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7
 18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방의학] 초등학생의 학교 소음 노출 정도와 소음 민감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 수집 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2. 소음측정 결과 : 객관적 소음 수준

3. 소음민감도

4. 성격유형의 특성

5. 학교소음 노출수준과 소음 민감도 : 단변량 분석

6. 성격유형과 소음민감도 : 단변량 분석

7. 소음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들 : 단변량 분석

8. 소음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다변량 분석

Ⅳ.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Ⅵ. References


본문내용
② 소음 민감도 설문
소음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선행연구가 되어있는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자기보고식 소음민감도 검사로 Weinstein (1978)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이 척도가 개발될 당시에는 기숙사에 거주하고 있는 학생들이 환경소음에 대한 민감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소음과 관련된 연구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각 문항은 환경상의 문제가 되는 소음에 대하여 정서적 반응과 회피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8]
선행연구에 의하면 Kuder-Richardson 신뢰도가 0.84에서 0.87범위 내에 속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72에서 0.75로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문항 수는 14문항이다. [19] 본 설문에서는 Likert 4점 척도를 사용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0점, ‘약간 그렇다’ 1점, ‘꽤 그렇다’2점, ‘매우 그렇다’3점으로 하여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정도가 심한 것이다.

③ MMTIC 검사
사람들은 성격유형에 따라 행복감을 느끼는 정도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다르다. 특히 외향적인 성격이 내향적인 성격보다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정도나 개인의 행복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 유형에 따라 소음에 대한 반응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MTIC는 성인용 성격유형검사인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가 그 바탕을 두고 있는 Jung의 심리 유형 이론에 역시 근거하여 1990년 미국의 Murphy와 Meisgeier에 의해 개발되었다. MMTIC의 한국 표준화 작업은 김정택, 심혜숙 교수에 의해 1993년 만 8세부터 13세까지의 어린이 및 청소년 26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론적인 틀과 문항 구성에 있어서 MBTI의 선호 지표(E-I, S-N, T-F, J-P)를 그대로 적용하였다.[20] 한국심리검사연구소에서 제시하는 신뢰도는 아래 표와 같다.

참고문헌

Ⅵ. References

1. 김진영. 교내 소음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선교육대학원. 2006
2. 안주희. 학교시설지구 소음 영향평가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공주대학원. 2002
3. 김진영. 교내 소음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선교육대학원. 2006
4. 신미혜. 초등학교 학생의 학습권 침해 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2004
5. 이향선. 학교 소음의 실태 조사 및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 교육대학원. 2005
6. 이승훈. 소음수준, 소음민감성 및 과제복잡성이 짜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대학원. 1999
7. Agarwal A, Desai NR, Ruffoli R, Carpi A. Lifestyle and testicular dysfunction: A brief update. Center for Reproductive Medicine, Glickman Urological and Kidney Institute and Obst. Gyne and Women's Health Institute, Cleveland Clinic, Cleveland, OH, USA. Biomed Pharmacother. 2008
8. Ising H, Braun C. Acute and chronic endocrine effects of noise: Review of the research conducted at the Institute for Water, Soil and Air Hygiene. Institute for Water, Soil and Air Hygiene, Federal Environmental Agency Berlin, Corrensplatz 1, 14195 Berlin, Germany. Noise Health. 2000;2(7):7-24.
9. Ouis D. Annoyance Caused by Exposure to Road Traffic Noise: An Update.
School of Technology and Society, Malmo University, S-205 06, Malmo, Sweden. Noise Health. 2002;4(15):69-79.
10. Ising H, Babisch W, Kruppa B. Noise-Induced Endocrine Effects and Cardiovascular Risk. Federal Environmental Agency, Institute for Water, Soil and Air Hygiene, Corrensplatz 1, D - 14191 Berlin, Germany. Noise Health. 1999;1(4):37-48.
11. Eggemann C, Koester M, Zorowka P. Hearing loss due to leisure time noise is on the rise. The ear also needs a rest period. Abt. Hor-, Stimm- und Sprachstorungen, Universitatsklinik Innsbruck. MMW Fortschr Med. 2002 Dec 5;144(49):30-3.Links
12. 김연화.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3. 박정한. 군비행장 및 사격장 주변학교 소음피해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대구 가톨릭대학교. 2005
14. 이향선. 학교소음실태조사 및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최영길. 철도연변 소음, 진동에 관한 효율적 저감방안 연구. 한남대 정보산업대학원. 2003
16. 황일환. 학교주변 환경소음이 학습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동대교육대학원. 2002
17. 박양옥. 도심지 초등학교의 소음 실태및 특성에 관한 연구. 경성대 교육대학원. 2001.
18. Dornic S, Ekehammar B.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noise sensitiv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11, no.9, 1990, pp.989-992
19. 조선미. 항공기 소음이 아동의 인지기능 및 생리적 반응레 미치는 영향. 고려대 대학원. 2000.
20. 김정택,심혜숙. MBTI 안내서. 한국심리건사연구소. 1995.
21. 신정숙. 초등학생의 성격유형과 학업성취의 관계연구 : MMTIC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강원대교육대학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