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

 1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1
 2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2
 3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3
 4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4
 5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5
 6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6
 7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7
 8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8
 9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9
 10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10
 11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11
 12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12
 13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13
 14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14
 15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15
 16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방의학] 우리나라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과 우울 증상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목적 및 가설

1. 연구 목적

2. 연구 가설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Ⅳ. 결과

1. 조사 대상의 인구학적 특성

2. BMI와 우울 증상의 상관성(by correlate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3. 각각의 변수와 우울 증상의 상관성(by χ2 - test)

4. BMI와 우울 증상의 상관성(교란 변수 보정,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Ⅴ. 결론 및 고찰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Ⅱ. 연구 목적 및 가설

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에 정신적인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비만도와 우울 증상의 구체적 상관성의 경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높여 청소년의 정신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1) 우리나라 청소년의 비만도와 우울 증상의 상관성을 파악한다.
2) 이 상관성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파악한다.
3)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에 따라 상관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4) 지역에 따라(서울, 지방으로 구분) 상관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2. 연구 가설
위의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한 연구 가설은 아래와 같다.
가설 1. 우리나라 청소년의 비만도와 우울 증상 간에는 상관성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성별에 따라 비만도와 우울 증상의 상관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학년(연령)에 따라 상관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지역에 따라 비만도와 우울 증상의 상관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지역을 크게 대도시(서울특별시), 지방(경기도 평택시, 충남 천안시)의 2지역으로 구분하고, 세분하여서는 3개의 지역에서 총 11개의 초, 중, 고등학교를 선택하였다. 각 지역의 학교에서 표본을 임의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특별시에서는 청담중학교, 청담고등학교, 경기도 평택시에서는 소사벌초등학교, 한광중학교, 한광여자중학교, 한광고등학교, 한광여자고등학교를 선택하였다. 충청남도 천안시에서는 용곡초등학교, 두정중학교, 천안북일고등학교, 천안북일여자고등학교를 선택하였다. 초등학생의 경우 설문 조사에 응할 수준이 된다고 판단되는 4, 5, 6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중학생은 1, 2, 3학년 모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등학생의 경우 3학년은 설문 조사가 대학수학능력시험에 가까운 기간에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여 제외하고 1, 2학년만을 조사하여 총 8개의 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지역에 할당된 초, 중, 고등학생의 수는 일정하게 하였다. 남녀 비율을 맞추기 위
참고문헌
Ⅵ. 참고 문헌

[1] Hedley AA, Odgen CL, Johnson CL, Carroll MD, Curtin LR, Flegal KM.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US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1999-2002. JAMA 2004;291(23):2847-2850.
[2] Lobstein T, Frelut ML. Prevalence of overweight among children in Europe. Obes Rev 2003;4(4):195-200.
[3] Ogden CL, Flegal KM, Carroll MD, Johnson CL. Prevalence and trends in overweight among US children and adolescents, 1999-2000. JAMA 2002;288:1728-1732.
[4] Ogden CL, Carroll MD, Curtin LR, McDowell MA, Tabak CJ, Flegal KM.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1999-2004. JAMA 2006;295:1549-55.
[5] Wang Y, Monteiro C, Popkin BM. Trends of obesity and underweight in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Brazil, China, and Russia. Am J Clin Nutr 2002;75:971-7.
[6] 오경원, 장명진, 이나연, 문진수, 이종국, 유명환, 김영택. 한국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률 추이: 1997년과 2005년의 비교.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950-955.
[7] Ogden CL, Yanovski SZ, Carroll MD, Flegal KM. The epidemiology of obesity. Gastroenterology 2007;132:2087-2102.
[8] Kang, S. Y. Appearance complex and body-imag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2003.
[9] Ross CE. Overweight and depression. J Health Soc Behav 1994;35(1):63-79.
[10] Hayes D, Ross CE. body and mind: the effect of exercise, overweight, and physical health on psychological well-being. J Health Soc Behav 1986;27(4):387-400.
[11] Cooley CH.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Schocken Books. 1964.
[12] Stephanie R. Pabst, Sonya Negriff, Lorah D. Dorn, Elizabeth J Susman, and Bin Huang. Depression and anxiety in adolescent females: The impact of sleep preference and body mass index.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9;44:554-560.
[13] Eryn T. Liem, Pieter J.J. Saucer, Albertine J. Oldehinkel, Ronald P. Stolk.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overweight in later life. Arch Pediatr Adolesc Med 2008;162:981-988.
[14] Pine DS, Cohen P, Brook J, Coplan JD. Psychiatric symptoms of adolescence as predictors of obesity in early adulthood : a longitudinal study. Am J public Health 1997;7:1303-10.
[15] Falkner NH, Neumark-Sztainer D, Story M. Social,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rrelates of weight status in adolescents. Obes Res 2001;9:32-42.
[16] Anderson SE, Cohen P, Naumova EN, Must A.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with weight change in a prospective community-based study of children followed up into adulthood. Arch Pediatr Adolesc Med 2006;160:285-91.
[17] Brewis A. Biocultural aspects of obesity in young Mexican schoolchildren. Am J Hum Biol 2003;15:446-60.
[18] Eisenberg ME, Neumark-Sztainer D, Story M. Associations of weight-based teasing and emotion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Arch Pediatr Adolesc Med 2003;157:733-8.
[19] Leonore M de Wit, Annemieke van Straten, Marieke van Herten, Brenda WJH Penninx and Pim Cuijpers. Depression and body mass index, a u-shaped association. BMC Public health 2009;9:14-19.
[20] 박지은, 김성주, 조여원. 여고생의 BMI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폭식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9;14(2):175-181.
[21] 권영숙. 여대생의 비만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8;19(3):431-442.
[22] 박선미, 김은영, 노영일, 박상기, 박영봉, 문경래, 표경식. 학동기 소아에서의 비만과 우울 성향과의 관계. 소아과 2002;45(1):10-15.
[23] Belinda L. Needham, M.A., and Robert Crosnoe, Ph.d. Overweight status and depressive symptom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5;36:48-55.
[24] BMI지수 검사, KBS 프로그램 비타민 자가진단 게시판,
http://www.kbs.co.kr/2tv/enter/vitamin/selftest/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