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

 1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
 2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2
 3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3
 4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4
 5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5
 6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6
 7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7
 8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8
 9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9
 10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0
 11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1
 12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2
 13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3
 14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4
 15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5
 16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6
 17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7
 18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8
 19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계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표와 연구 의의
2. 선행 연구와 연구 방법

Ⅱ. ‘기계’와 ‘기계관’의 정의
1. ‘기계’의 정의
2. ‘기계관’의 정의

Ⅲ. 미야자키 하야오와 그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사상적 배경
1. 미야자키 하야오 소개
2.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사상적 배경

Ⅳ. 미야자키 하야오의 기계관
1. 낭만주의로 본 의 비행기, 의 메베 : 동반자적 관계
2. 신토(神道)로 본 의 총과 제철소 : 인간문명의 상징물
3.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본 의 하울의 성 : 유기체적 존재
4. 마르크스주의로 본 의 라퓨타 성 : 자연과 기계의 결합

Ⅴ. 미야자키 하야오의 기계관이 주는 시사점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와 같은 관계는 비단 포르코 뿐만이 아니라 에 나오는 비행기 조종사 전체에서도 나타난다. 에는 비행사가 죽게 되면 그들이 조종하던 비행기와 함께 죽음의 세계로 날아가는 굉장히 인상적인 장면이 있다. 이는 인간의 영혼만이 죽음의 세계로 가게 된다는 기존의 관념과는 다르게 비행사는 죽어서 영혼이 되어서도 ‘비행기’와 혼연일체의 상태로서 비행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한다는 뜻이며 비행기가 단순한 기계가 아닌 인간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징하며 그들과 동반자적인 관계라는 것을 뜻한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이점을 단순히 수단으로서의 기계의 역할만을 강조하여 표현했던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기계가 인간을 표현하고 인간과 동반자적인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낭만주의적 상징의 방법으로 표현했다.
또 다른 작품 에서도 역시 동반자적 관계가 낭만주의적 사조에 기반하여 드러난다. 에서 나우시카는 항상 소형 비행선인 메베를 타고 다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메베는 비록 생각하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기계일 뿐이지만, 나우시카가 테토와 함께 겪는 대부분의 일을 함께하는 존재로 나온다. 그녀와 메베의 유착은 중요한 극의 요소로 메베라는 비행선을 잘 다루는 것은 바람 계곡의 지도자로서의 나우시카의 정체성을 의미한다. 영화에 유명한 검사로 나오는 유파라는 캐릭터가 나우시카가 메베를 타고 잘 나는 모습을 보고 그녀가 성장했음을 판단하고 기뻐하는 장면도 이와 관련된 것이다. 기류가 안 좋음에도 나우시카는 메베를 타고 잘 난다. 유파의 반응은 “말은 그래도 바람은 잘 읽는구나”라고 말하면서 뿌듯해한다.
부해와의 공감을 통해 오무와 인간과의 화해를 도모해서 세계를 구하는 구세주인 나우시카, 그녀의 곁에는 그녀가 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구세주로서의 면모를 실행시켜 주는 동반자인 작은 비행기 메베가 있으며, 이 역시 메베가 나우시카와의 유착을 통해 마치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낭만주의적 상징의 표현 방식에 기반하여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보면 , 에 나타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기계에 대한 표현 방식은 기계가 단순히 수단적 존재가 아니라 인간과 기계의 유착을 통해 동반자적인 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비행기가 혼을 담고 있어 죽음의 세계로 함께 가게 되는 것, 메베를 잘 다루는 것이 나우시카의 성장을 의미한다는 것 등 기존의 형식적인 표현방식이 아닌 특유의 상식적인 표현 방식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낭만주의적인 경향이 있다. 감독이 이러한 낭만주의 표현방식을 통해 무엇보다도 강조하고자 한 것은 기계가 인간과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정체성을 형성하여 동반자적인
참고문헌

Ⅶ. 참고문헌
김윤아, 『미야자키 하야오』, 살림, 2005.
김준수,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혼종적 이미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 8 No. 12, 2008.
황인웅,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 도서출판 예솔, 1997.
키리도시 리사쿠, 『미야자키 하야오론』, 써드아이, 2002.
C. 스콧 리틀턴, 『일본 정신의 고향, 신도』, 박규태 옮김, 유토피아, 2007.
M. 칼리니쿠스,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이영욱 외 3인 옮김, 시각과 언어, 1998.
루스 베테딕트, 『국화와 칼』, 박규태 옮김, 문예출판사, 2004.
http://blog.naver.com/arrti0505?Redirect=Log&logNo=140007762847
http://blog.naver.com/iloveski80?Redirect=Log&logNo=150039716133
http://blog.naver.com/naljava69?Redirect=Log&logNo=60107389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