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

 1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1
 2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2
 3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3
 4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4
 5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5
 6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6
 7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7
 8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8
 9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9
 10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10
 11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11
 12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12
 13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교과의 수행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수-학습 과정에 있어서 평가의 중요성
2. 수행평가의 역사
3. 수행평가의 정의
4. 수행평가의 도입 배경
(1) 객관식 선다형 평가에 대한 비판과 반성
(2) 상대주의적 세계관: 다양성의 존중과 질적 연구
(3) 인지적 구성주의의 영향
(4)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
5. 사회 과목에서의 수행평가
(1) 사회 과목에서의 수행평가의 필요성
(2) 사회 과목에서의 수행평가의 유형
가. 논술형 검사
나. 포트폴리오
6. 수행평가의 한계
(1) 타당성/신뢰성/공정성
(2) 교육 현장의 문제
(3) 사고력 중심의 수업
7. 수행평가의 실례
(1) 수행평가 과제와 평가 기준의 실례
(2) 수행평가 과제와 평가 기준의 분석과 비판
8. 결론
본문내용
1. 교수-학습 과정에 있어서 평가의 중요성

“학생은 교사가 의도한 대로가 아니라, 교사가 평가하는 대로 학습한다”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학습에 있어서 평가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평가는 학습의 결과를 판단하는 도구인 동시에, 다음 학습을 준비하기 위한 지침이 되기 때문이다.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의 일부분으로서, 종착점도 아니고 시작점도 아닌, 일련의 순환적인 교육의 한 과정이다. 그런데 오늘날 지식 산업사회에서 인간에 대한 평가는 어떤 사실을 아는 정도는 물론, 알고 있는 지식을 얼마만큼 잘 행하는지를 평가하는 수준까지 요구한다. 따라서 학생을 평가할 때에는 어떤 지식을 이해하고 기억하며 재생하는 능력 뿐만 아니라 지식을 수행하는 정도까지 평가해야 한다.

2. 수행평가의 역사

미국에서는 1980년대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활동을 통합지향하기 위해 수행평가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90년대에 오면서 수행평가의 개념이 도입되어 1996년에는 국립교육평가원이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라는 책을 발간했고, 1997년에는 서울시의 초, 중등학교에서 새물결운동이 전개되면서 수행평가가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1999년 3월에는 교육부에서 새학교 문화창조라는 기치를 내걸고 교원, 입시제도 등 여러 가지에 관해서 교육발전 5개년 계획의 시안을 발표하였는데,
참고문헌
남명호, 김성숙, 지은림.『수행평가: 이해와 적용』문음사, 2000.
배호순.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초』학지사, 2000.
백순근. 『수행평가: 이론적 측면』교육과학사, 2002.
백순근. 『수행평가의 원리』교육과학사, 2000.
이종일. 『과정 중심 사회과 교육』교육과학사, 2001.
전숙자.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해: 통합적 접근의 쟁점, 방법 및 적용사례』교육과학사,
2001.
전숙자. 『사회과 교육의 통합적 구성과 교수-학습 설계』교육과학사, 2002.
정문성. 『사회과 수행중심 평가: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학문출판사, 2001.
차경수. 『21세기 사회과 교육과정과 지도법』학문사, 2000.
한면희. 『새로운 패러다임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교육과학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