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

 1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
 2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2
 3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3
 4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4
 5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5
 6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6
 7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7
 8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8
 9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9
 10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0
 11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1
 12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2
 13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3
 14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4
 15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5
 16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6
 17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7
 18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8
 19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19
 20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인의 가치관 -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한계

본론
1. 집단주의
2. 가족주의
3. 학벌주의
4. 지역주의

결론

한계점
참조자료 출처

본문내용
이 표는 1급 공무원의 상위 10개 대학교 출신자수와 그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정부 각계각층의 사람들과 1급 공무원들의 학벌을 보면 학벌주의가 권력의 독점과 사회적 불평등을 가져다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학벌주의는 과다한 사교육비의 부담과 사회계층간 불평등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사회는 학벌을 정점으로 하여 권력이 차등 분배되고 그에 따라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이 발생하는 사회이다. 동시에 경제적 차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경제적 여유가 없다면 사교육을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뒤처지게 되며 낮은 사회적 지위에 머물게 되기 때문이다. 김현정, 한국의 학벌주의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즉, 학벌은 모든 종류의 권력을 불평등하게 배치하는 기제인 동시에 경제적 불평등을 결정하는 배치기제이기도 한 것이다. 권력과 자본이 가지는 이러한 연관성은 한국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학벌주의와 그대로 적용이 되어서 좋은 학벌이 권력의 중심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돈이 중심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사교육에 과열양상을 띄게 되는 것은 앞에서 말한 권력의 독점과 사회적 불평등의 문제와 관련이 깊다. 좋은 학벌이 좋은 사회적 위치를 점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사교육은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학벌주의가 태동하면서 좋은 학벌을 취하려는 일환으로 사교육이 늘어났는데 그 증가 추세를 다음 표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Ⅳ. 참조자료 출처


고영복, 한국인의 성격: 그 변혁을 위한 과제, 사회문화연구소, 2001, 64p
김광기, 대한민국은 도덕적인가, 동아시아, 2009
김동훈, 한국의 학벌 또 하나의 카스트인가, 책세상, 2001, 9p
김현정, 한국의 학벌주의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네이버 국어사전, 가족주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07300&re=y
네이버 백과사전, 집단주의, http://100.naver.com/
박재환, 현대 한국인의 생활원리, 한울 아카데미, 2004
새뮤얼 P. 헌팅턴·로렌스 E. 해리슨, 문화가 중요하다, 김영사, 2001, 199p-205p
세이무어 마틴 리프셋․가브리엘 샐먼 렌즈, 부패․문화․그리고 시장, 김영사, 2001, 189p-209p
이두아, 괴물-영화와 현실, 조선일보, 2006. 8. 7, A30면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사, 1998, 4255p
장 자크 루소, 사회계약론(Du contrat social, ou principes du droit politique), 1761
카를 마르크스,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1858


표 1 정태화, "학벌주의: 쟁점과 개선 대책에 관한 논의", 앤드라고지투데이, 제7권, 제2호, 한국성인교육학회, 2004, 99p
표 2 김상봉, 학벌사회, 한길사, 2004, 70p
표 3 정태화 “학벌주의 극복을 위한 종합대책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82p
표 4 정태화 “학벌주의 극복을 위한 종합대책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66p
표 5 한국기업의 평가제도 및 인적자원 관리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한국노동연구원 199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