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

 1  [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1
 2  [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2
 3  [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3
 4  [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4
 5  [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5
 6  [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6
 7  [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7
 8  [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 언어문화교육, 한국문화중심교육,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통일문화교육

Ⅲ. 시각문화교육
1. 19세기 패러다임의 소멸-미술이라는 용어의 사망선고
2. 20세기 후반의 새로운 시각문화환경
3. 미술 개념의 폐기와 시각적 리터러시 개념의 도입

Ⅳ. 언어문화교육

Ⅴ. 한국문화중심교육

Ⅵ. 한국문화정체성교육
1. 한국문화 정체성 교육의 목적
2. 기본방침
3. 지도상의 유의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문화교육은 교육위기를 공교육 내부에서 극복하려는 진보적 기획이다. 우리는 정규교육 외곽에서 부분적인 대안교육을 실천하자고 제안하는 것이 아니다. 문화교육은 공교육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평가 등 교육 전반의 틀을 개혁하자는 운동이다. 문화교육운동은 따라서 ‘지식사회’, ‘다품종소량생산’의 시장논리에 따라 학교형태의 다양화, 대안적 사교육 강화를 주장하며 공교육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는 ‘교육의 시장화’ 논리에 정면으로 맞선다. ‘교육의 시장화’ 논리는 입시중심교육에 따른 서열화도 모자라, ‘국가경쟁력’ 운운하며 학교의 서열화를 강제하려 하고, 초등학교 교육마저 무한경쟁의 논리로 재편하려 하고 있다. 학교와 사회 전체를 시장화하고 서열화하는 것이 국가경쟁력 강화에 이로울 리도 없다. 학교교육 전체를 입시지옥으로 몰아가 오히려 사회문화적 자원을 황폐화시킬 것이다.
우리는 이와는 다른 길을 걷고자 한다. 왜곡된 입시 중심의 교육목표․교육과정․평가제도로 일그러져 학생과 학부모로부터도 외면당하고, 교사들의 자긍심과 교육열까지 사라지게 만들고 있는 지금의 교육현장을 ‘문화교육’을 통해 바꾸는 길이 그것이다. 우리는 ‘문화교육’이 오늘의 뒤틀린 교육현장을 즐겁고 모험적이며 생생한 상호교육의 장소로, 학생과 학부모와 교사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것으로 믿는다.
국민 모두가 ‘교육위기’를 피부로 느끼고 있다. 그러나 이 위기는 이제까지 교육부나 교육전문가, 교육단체, 학부모단체만이 관심을 가지고 다뤄야 할 부분적 문제로 간주된 탓에 사회 전체의 의제로까지 부상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교육위기 극복은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사회적 과제이다. 우리가 맞은 21세기는 ‘문화와 정보의 지구화’의 세기로서 다면적 능력과 민주적․생태적 태도를 지닌 건강한 시민이 필요한 시대가 아닌가. 입시중심 지식편향교육을 역동적인 문화교육으로 전환하여 이런 시민을 길러내는 작업은 환경위기나 사회위기 극복
참고문헌
◎ 김수기 외, 문화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 김영철(1998), 전통문화 교육. 한국교육 문화사
◎ 민족통일연구원(1994), 통일문화
◎ 성기철(2001),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주형일(1999), 문화의 세계화, 한울
◎ 존 스토리지음, 박모 옮김(1995),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 문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