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

 1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
 2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2
 3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3
 4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4
 5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5
 6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6
 7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7
 8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8
 9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9
 10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0
 11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1
 12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2
 13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3
 14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4
 15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5
 16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6
 17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7
 18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8
 19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19
 20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운동조직론] 도서관활성화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도서관 활성화 운동

Ⅱ. 운동의 시작
Ⅱ-1. 도서관 활성화 운동의 시작
Ⅱ-2. 도서관 활성화 운동의 출현요소
1. 미시적 출현 요소
2. 거시적 출현 요소
Ⅱ-3. 도서관 활성화 운동 출현의 전략
1. 도서관 활성화 운동의 목표
1. 미시적 출현 요소와 운동 전략
2. 거시적 출현요소와 운동 전략

Ⅲ. 운동의 유지․발전․변화
Ⅲ-1. 도서관 활성화 운동의 유지․발전․변화의 요소
1. 거시적 유지․발전․변화 요소
2. 미시적 유지․발전․변화 요소
Ⅲ-2. 도서관 활성화 운동의 유지․발전․변화의 구체적 전략
1. 거시적 유지․발전․변화 요소와 운동 전략 - 운동 상품을 어떻게 만들까?
2. 미시적 유지․발전․변화 요소와 운동 전략

Ⅳ. 운동 조직

Ⅴ. 마무리

부록 1. 구체적 운동 사례 : 신간도서 안내와 신청
부록 2. 설문지
본문내용
Ⅰ. 서론 : 도서관 활성화 운동

오늘도 많은 학생들은 ‘도서관’(圖書館)으로 향한다. 고려대학교의 도서관의 각 열람실(閱覽室)은 늦은 밤까지 환하게 불이 켜져 있다. 쌀쌀한 날씨 속에서도 ‘도서관’을 가기 위해 종종걸음을 옮기는 학생들은 모두 등에 큼지막한 가방을 울러 매고 있거나, ‘책’을 몇 권씩 손에 들고 간다. ‘책’을 들고 가서 보아야 하는 ‘도서관’으로 학생들은 가고 있는 것이다. ‘도서관’은 이제 학생들에게 ‘도서관’은 더 이상 ‘책’을 가진 저장소(貯藏所) 그리고 그것이 품고 있는 ‘책’을 통해 지식(智識)을 재생산하는 곳이 아니다. 누구나 몇 번쯤은 도서관에서 원하는 자료를 찾지 못해, 교수님께 책을 빌리거나 다른 학교에서 책을 구하거나, 아니면 서점에서 구입한 경우가 있을 것이다. 매월 도서관에서는 홈페이지를 통해 학생들과 교수들이 신청한 도서를 구입하고 그것을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한다. 과학 도서관의 경우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매월 신간 구입을 학생에게 알린다. 이러한 제도가 분명히 존재하고,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가 없는 경우가 많다. 이는 크게 보아서는 학교와 학생간의 소통(疏通)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도서관이 학생들에게, 학생들이 도서관에게 서로 다가가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도서관을 학생들에게 다가오게 만드는 일련(一連)의 방법을 모색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방법을 통해 실제적으로 도서관과 학생이 소통할 수 있는 창구(窓口)를 열고자 하는 하나의 ‘운동’을 계획해 보고자 한다.


Ⅱ. 운동의 시작

Ⅱ-1. 도서관 활성화 운동의 시작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낙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요인은 대학도서관의 중요성에 대한 대학과 사회의 인식 저하라고 볼 수 있다. 대학도서관은 교육․연구를 위한 핵심시설이나, 이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낮은 인식으로 투자의 우선순위가 낮고
(단위 : 천원)
구 분
1999
2000
2001
2002
4년 평균
예 산 액
167,190,533
159,391,595
179,106,654
183,769,112
172,364,473
대 학 수
354
372
374
376
369
대학 당 평균
472,290
428,472
478,895
488,748
467,112

(자료: 교육통계연보 1999-2002)
대학교육 또한 다양한 정보의 이용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 단편적 교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연구는 적은 양을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등 낙후된 교육방법과 연구 환경

장서수
연간 이용책수
연간 이용자 수
공공도서관
25,163,436
101,608,141
84,740,414
대학도서관
75,837,882
106,986,736
60,525,449

(자료: 한국도서관통계 2001)
또한 큰 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겠다.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는 도서관 무용론 ‘학위논문 쓰는데 대학도서관 갈 필요 없다’, ‘대학도서관은 고시방’ 등을 생각해보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과 대학 경험을 회고해 보면 이러한 문제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반적인 요인들 외에 학내에서 특별히 도서관 활성화 운동이 시작될 수 있는 출현요소들이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거시적, 미시적 출현요소를 알아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