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

 1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1
 2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2
 3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3
 4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4
 5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5
 6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6
 7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7
 8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8
 9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9
 10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10
 11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개념,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원칙,기법, 학교통일교육의 쟁점,독일 사례, 학교통일교육의 제고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학교통일교육의 개념

Ⅲ. 학교통일교육의 필요성

Ⅳ. 학교통일교육의 원칙
1. 실생활 관련 소재를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
2. 학생의 유의미성(meaningfulness)과 호기심을 중시해야 한다
3. 협동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업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4. 적절한 실천 기회 및 체험 활동의 기회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Ⅴ. 학교통일교육의 기법
1. 집단 조사 활동(group investigations)
2. PMR(plus minus reconstruction)
3. 디스코그래피(discography)
4. 문화 이해지(culture assimilator)
5. 시사 자료 활용 수업 모형
6. 포트폴리오
7. 개념분석 수업 모형
8. 확언하기(affirming)
9. 북한 어린이 초대하기(초대장 만들기)

Ⅵ. 학교통일교육의 쟁점

Ⅶ. 학교통일교육의 독일 사례

Ⅷ. 향후 학교통일교육의 제고 방향
1. 통일 교육 내용의 점진적 변경
2. 통일 교육 교수‧학습 방법 개선
3. 통일 교육을 위한 학교 행사 추진
1) `통일 발언대` 운영
2) `우리는 통일 세대` 소감문 쓰기
3) `통일 문집` 작성 활용
4) 통일 `훈화 교육`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학교 통일 교육은 통일 문제에 대한 정서적 헌신이나 당위성 등의 인식이 이미 형성되어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 통일교육과는 달라야 한다. 정보화 세례를 어릴 적부터 받고 자라난 새로운 생활방식과 사고방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통일 문제에 대해 어떤 공감이나 신념은커녕 흥미조차 갖고 있지 않은 후속 세대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기 때문이다.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확신은커녕 관심조차 갖지 않은 분단 제3세대인 학생들에게 북한 주민을 󰡐동포󰡑라고 강조하면서 함께 잘 살아야만 한다고 등 떠미는 것은 아무런 감동을 주지 못하며, 북한에 대해 좀더 알게 되는 지식은 별다른 가치가 없어 생활과 유리된 암기사항일 뿐이다.
이들에게는 좀더 흥미롭고, 자신의 관심사와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내용이 필요하다. 북한의 정치제도나 군사력 규모, 경제현황에 등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을 갖지 않지만, 북한의 유행가요나 만화영화 북한 체육인과 연예인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지금의 학생의 모습이다. 학교 통일 교육은 이러한 점에서 무의미하고 거부감만을 주는 전통적인 지식들만 주입하려고 해왔다는 점에서 실패의 원인을 찾을 수 있겠다. 나아가서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서는 보다 다원적이고 기능주의적인 접근으로 학생들에게 관심을 끌 수 있는 지식과 정보로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이를 효과적인 교수기법을 통해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김학준(1998) : 통일과 21세기, 통일교육원
박찬석 외(2000) : 통일교육론, 서울 : 도서출판 백의
서재진(1996) : 북한사회의 변화전망과 통일교육의 방향, 교육부, 교육월보, 통권 제174호
이향림(1995) : 한국의 통일 정책 변천과 통일 교육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세구 외(1999) : 통일교육 교수기법, 서울 : 통일교육원
통일부(2000) : 통일교육 지침서, 통일부 정책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