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

 1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
 2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2
 3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3
 4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4
 5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5
 6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6
 7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7
 8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8
 9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9
 10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0
 11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1
 12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2
 13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3
 14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4
 15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5
 16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6
 17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7
 18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8
 19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19
 20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론] 조선 후기 고전 소설의 전개 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조선 시대에서 고전소설의 시대구분


2. 시대마다 나타난 고전소설의 분류
1) 중세에서 근대로의 전환기 소설

2) 근대 초기의 소설
3) 근대 중기의 소설
3. 고전 소설의 대표적 작품들의 세부적 분석
허 균의 소설
(1) 허 균의 사상

(2) 허 균의 작품들
1)홍길동전

2)남궁선생전

3)장생전

4)장산인전

5)엄처사전

6)손곡산인전

서포 김만중의 소설과 창선감의록

연암 박지원의 소설
(1) 연암소설의 특징

(2) 연암소설의 분석
1) 호질

2) 허생전

3) 양반전
4) 광문자전

5) 예덕선생전

6) 민옹전

① 인습적 사고방식

② 초현실주의(신선사상)

③ 인간(양반)의 폐해

④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지 않는 사회

7) 김신선전

8) 우상전

9) 마장전

10) 열녀함양박씨전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1) 애정소설들의 특징

(2) 애정소설들의 분석
1) 고전소설에 나타난 기녀 욕망 - ,

2) 궁중적 질서 속에 갇힌 애정 - 과

3. 신작 구소설 - , ,

판소리계 소설
(1) 판소리계 소설의 개념

(2)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3) 판소리계 소설의 분석

1) 춘향전
2)심청전
3)흥부전
군담 소설

(1) 역사군담소설

1) 역사 군담 소설의 특징
2) 임경업전

(2) 여성영웅의 군담소설
1)여성영웅이 등장하는 군담소설의 특징

2)박씨전
3)금방울전
(3) 창작 군담소설

1)창작군담소설의 특징
2)유충렬전

3)조웅전

4)소대성전
사회 풍자(세태) 소설

(1) 사회풍자 소설의 개념과 특징
(2) 사회풍자 소설의 분석
1) 배비장전

2) 이춘풍전

3) 옹고집전

4) 文無子小說
기타 소설들
(1)몽유소설
1)몽유소설의 연구

2)달천몽유록
3)금화사몽유록
4)강도몽유록
5)피생명몽록
6)안빙몽유록
(2)의인소설
1)의인소설의 특징

2)화사
3)천군연의
4)서동지전

5)장끼전

6)섬동지전
7)천군본기

4. 조선 후기 고전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 참고문헌 -



본문내용
9) 마장전
방경각외전에 실린 마장전은 유생들의 위선적 교우 풍자를 주제로 삼고 있다. 마장전에서 하층민으로 보이는 인물들이 광통교 위에서 벗과 사귀는 법을 논하면서 상층민이 말거간꾼들 이상으로 술수를 써서 벗을 사귐을 비판하였는데, 마장전은 이러한 모습을 화자가 관찰하는 형식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장전은 연암의 초기 작품으로서 이론적이고 관념적인 정의를 개진한 작품이다. 참된 인간성에 대한 연암의 관심은 자서에서 분명히 천명된 바 있었다. 오륜에 있어서 신(信)이 인의예지의 끝에 오지만, 그러나 사단의 바탕이 되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작품 안에서 상기시켜준다. 신은 부자, 군신, 부부의 관계에 있어서 무관하다고 말할 수는 없으나 붕우 간에 있어서 강조된 덕목이며 나아가 인간관계 전반에 걸친 바탕이 된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신의를 바탕으로 한 원만하고 건강한 정신이 넘칠 때 인의에지도 꽃필 수 있고 바른 사회도 형성된다. 그러기에 인간이 인간다운 행동에서 벗어났을 대 벗이야말로 이를 바로잡아 주는 유일한 존재이며 이러한 행동의 근원은 신(信)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연암은 평민과의 호흡을 통하여 평민에게도 이상적 인간상인 군자의 진실이 공유되어 있음을 자각한다. 농, 공, 상에게 공헌하려는 실학사상도 이러한 자각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현실의 사대부들에게 느낄 수 없었던 평민의 인간다운 세계가 연암의 의식내부에 선명히 떠오른 것이다. 평민 생활의 갖가지 양상과 그 뼈저린 체험은 연암에게 있어 신발견의 세게였으며 그의 소설에 무한한 진원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천민들에게 유가적 이념을 구현시켜 지주계층을 풍자하는 진구로 삼았던 것이다. 김인수, 「마장전 연구 : 윤리의식을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0, pp.25~35.


10) 열녀함양박씨전
연상각선본에 실린 열녀함양박씨전은 개가 금지의 반대를 주제로 삼고 있다. 이 작품에는
참고문헌
- 참고문헌 -


『조선 후기의 대중소설, 임성래, 보고사, 2008
『韓國古小說史와 論』, 김광순, 새문사, 1990
『古典小說硏究의 方向』, 한국고전문학연구회, 새문사, 1985
『한국의 여성영웅소설』, 정병헌, 이유경, 태학사, 2001
『한국문학과 윤리의식』, 김현룡, 박이정, 2000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박일용, 집문당, 1993
『한국 고소설과 섹슈얼리티』, 한국고소설학회, 보고사, 2010
『한국문학통사3』,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조선 후기 재자가인소설과 통속적 한문소설』, 김정숙, 보고사, 2006
『개정판 한국 고소설 연구』, 최운식, 보고사, 2004
『고전소설 속 역사기행, 돌베개』, 신병주, 2002
『小說의 構造와 實相』, 성현경, 영남대학교출판부, 1981
『한국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서대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國際大學論文集 12』, 崔雲植, 國際大學 人文社會科學硏究所, 1984


안창수, 『「이춘풍전」연구』,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제10집 1983.12
심치열, 『이춘풍전 연구』, 돈암어문학회, 돈암어문학, 제1호 1988.2
백도기, 『홍길동전(洪吉童傳) - 근대적 소설의 기틀 놓은 고대소설』, 새가정사, 새가정, 통권 470호 1996.7
이재영, 『「옹고집전」의 이데올로기 재현 전략과 ‘길들이기’ 』,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제40집 2007.8


여세주, 『여장군 등장의 고소설 연구』,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1
손연자, 『조선조 여장군형 소설 연구』, 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82
전용문, 『여성영웅소설의 계통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988
이미자, 『여성영웅소설의 연구-사대부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88
박명희, 『고소설의 여성중심적 시각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990
김인수, 「마장전 연구 : 윤리의식을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0,
김태원, 「호질(虎叱)연구 : 사상 기반과 작품구조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1.
김지현, 「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박지예, 「연암소설의 선비상 연구 : 과 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9.
신현길, 「에 투영된 박지원의 내면의식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이경숙,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9.
이안나, 「연구 -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9.
정미정, 「연암 박지원의 삶과 사상에 담긴 상담요소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0.
정재욱, 「연암소설에 나타난 문학사상 연구」, 조선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7.
최숙재, 「열녀함양박씨전」연구 : 여성지위의 역사적 변천과 관련하여,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2001.
김세경, 「고소설에 나타나는 기녀 욕망 연구 : , , 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5
박일용, 「운영전의 비극적 성격과 그 사회적 의미」, 국어국문학회, 1987
김연정, 「운영전과 영영전의 애정 구현 양상 비교 연구」,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5
정상진, 「의 재조명」, 문창어문학회, 1998
이정원, 「신작 구소설의 근대성 - , , 을 대상으로」, 한국고소설학회, 2009
조윤형, 「의 교육적 성격」, 청람어문교육 30집,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권순긍, 「의 근대적 지향」, 반교어문연구 1집, 반교어문학회, 1988
조광국, 「 연구 - 구성적 특징과 갈등 구조 및 사회적 의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관악어문연구 23집,1998
박일용, 「유충렬전'의 문체적 특징과 그 소설사적 의미」, 홍익대학교 출판부, 1993
성현경, 「'유충렬전' 검토」, 고전문학연구회, 1974
서대석, 「군담 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5
김현우, 「국가 영웅의 '영웅성' 고찰 -을 중심으로」, 한국어문연구학회, 2005. 12
박재민, 「『임경업전』의 형성시기 - 을 주목하며 -」, 국문학회, 2004. 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